전체기사

HD한국조선해양, 분기 실적개선 기대…목표가 17만원으로↑[KB증권]

KB증권은 30일 HD한국조선해양에 대해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목표주가를 기조 13만원에서 17만원으로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서준모 KB증권 연구원은 “HD한국조선해양의 올해 1~4월 누적 신규수주(연결기준)는 전년 동기 113억7000만 달러 대비 4.4% 증가했다"며 “연초 제시한 올해 신규수주 목표 158억3000만 달러 대비 달성률 75.0% 수준을 기록해 목표치를 크게 초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서 연구원은 “HD한국조선해양의 2024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1022억원, 230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11.9%, 223.6%% 오를 것"이면서 “매출액은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하고 영업이익은 시장예상치를 소폭 하회할 전망이나 차이가 크지는 않아 이슈가 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 연구원은 “세전이익은 지난 5월 17일에 있었던 HD현대중공업 지분매각에서 발생한 일회성 이익 약 1400억원의 영향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웃돌 것"이라면서 “주요 자회사들이 신조선가가 상승하고 양호한 환율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대량 수주를 확보함에 따라 올해부터는 중장기적 실적개선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그룹 내 기자재 내재화와 대량 구매에 따른 원가경쟁력을 확보해 경쟁사 대비 추가적인 이익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디오, 수익성 개선보다는 체질개선 고통 따를 것[다올투자증권]

최근 사모펀드에 인수된 인플란트 전문업체 디오의 수익성 개선 속도가 늦어지리라는 증권가의 전망이 나온다.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30일 보고서를 통해 “디오에 대한 에이치PE의 전환사채(CB) 700억원 납입이 완료됐고 경쟁사 해외 영업 출신 신규 대표이사도 취임했다"며 “체질 개선 위한 비용 증가와 유동성 지표 개선이 불가피하 투자의견을 매수(BUY)에서 보유(HOLD)로 내리고 목표주가는 기존 3만9000원에서 1만9000원으로 51% 하향한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오스템임플란트와 MBK파트너스의 사례를 보면 잉여현금흐름(FCF) 창출력 확보에 집중했듯이 디오도 매출채권·재고자산 회전일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며 “올해는 수익성 개선보다는 대무상태와 유동성 개선이 먼저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현재 경쟁사 대비 인건비가 과다하고 대리점 위주의 판매 방식, 디오나비가 타사 대비 차별화 포인트를 주지 못하는 시점이기에 인건비 절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유동성 확보를 위한 매출채권/재고자산 회전일 단축, 해외 영업 확대를 위한 영업 활동 강화, 인건비 절감이 나타날 예정"이라며 “단기적으로 수익성 개선을 포함한 실적 기대감이 없다"고 내다봤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크래프톤, 하반기 신작 다수 출시 예정…게임 최선호주 유지 [대신증권]

대신증권은 30일 크래프톤에 대해 하반기부터 신작이 다수 출시되는 등 실적과 신작 모멘텀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목표주가는 34만원을 유지했다. 게임주 내 최선호주도 유지했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크래프톤의 전통적인 최대 성수기는 1분기, 비수기는 2분기와 4분기였으나 최근 들어 그 구분이 옅어지고 있다"며 “펍지 PC 트래픽이 지난해 4분기부터 현재까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도 시장도 4분기 '디왈리' 기간에 성수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통상 4분기에 가장 이익률이 낮았던 크래프톤의 이익률을 제고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주가도 꾸준히 우상향을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크래프톤의 주가는 꾸준히 우상향할 것"이라면서 “펀더멘탈에 기반한 신작 모멘텀에 따라 주가 상승에도 밸류에이션 부담은 적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부터 신작이 매년 공백기 없이 출시될 예정으로 신작 모멘텀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SPC삼립, 제품라인업 강화·브랜드 구조조정으로 수익성 ‘UP’ [IBK투자증권]

IBK투자증권은 SPC삼립에 대해 베이커리 제품 라인업 강화와 푸드 부문 구조조정을 통한 이익개선이 전망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8만원을 유지한다고 30일 밝혔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제품라인업 강화에 대해 “4월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브레드 31'을 론칭하면서 포켓몬빵 매출 공백 보완 측면에서 도움이 될 전망"이라며 “냉동 제품 라인업을 강화해 이커머스 채널과 해외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 중 베트남 등 동남아와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 성과가 나올 여지가 있고, 중기적으로는 미주 지역 진출도 준비중인 것으로 확인된다"고 덧붙였다. 푸드부문 구조조정도 이익개선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푸드부문도 연간 영업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수익성 제고 측면에서 외식 브랜드 에그슬럿과 씨티델리 사업을 6월 말 종료할 예정"이라며 “이와 관련해 약 25억원의 하반기 영업이익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는 과매도 국면으로 기존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SPC삼립의 2분기 예상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5%, 11.1% 증가한 8918억원, 294억원이다. 이는 기존 IBK투자증권 추정치인 8643억원, 285억원 대비 소폭 상향된 수치다. 김 연구원은 “베이커리 부문의 부진을 푸드와 유통 부문이 상쇄하는 이전 분기와 유사한 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베이커리 매출과 영업익은 각각 +3.2%, -9.2%가 늘고 줄어든 2391억원, 201억원이 전망된다. 영업익 감소는 이는 고마진인 포켓몬빵 판매 감소 때문이다. 반면 크림빵 등 기타 양산빵의 판매 호조와 기업대기업(B2B) 채널용 식빵과 햄버거빵 수요 증가세로 인해 매출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푸드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057억원, 12억원으로 매출은 4.2%가 증가하고, 영업익은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원맥 매입 비용 하락 효과가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돼 수익성 개선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유통 부문도 식자재 물동량이 증가하는 한편, 저수익 거래처 축소 효과로 영업마진율 개선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말했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ekn.kr

기업대출은 ‘과열’...자산관리 강화 총력전 펼치는 KB금융지주

KB금융지주가 전사적으로 자산관리(WM) 분야에 사활을 걸고 있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로 KB국민은행이 1분기 부진한 실적을 거둔 가운데 그룹의 강점인 비은행 분야를 살려 비이자이익에서 활로를 찾겠다는 구상으로 해석된다. 최근 은행들이 기업대출에서 과열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KB국민은행은 대출 성장을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전략을 가동 중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1분기 KB금융의 그룹 비이자이익은 1조26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감소했다. 신한금융지주(1조25억원·0.3%↑), 하나금융지주(7126억원·8.5%↓), 우리금융지주(3510억원·5.7%↑)보다 감소 폭이 컸다. 1분기 KB금융의 비이자이익을 세부적으로 보면 증권업수입수수료는 1년 전보다 26.7% 증가했고, 기타수수료(13%↑), 기타수수료(13%↑), 신용카드수수료이익(9.7%↑)도 큰 폭으로 성장했다. 반면 신탁이익과 방카슈랑스 등 대리사무취급수수료는 각각 15.4%, 7.8% 감소했다. 펀드판매 등 증권대행수수료도 1년 전보다 4.6% 감소했다. 다만 KB금융은 다른 지주사와 달리 생명보험, 손해보험, 증권 등 비은행부문이 탄탄하다. 1분기 그룹의 수수료이익을 보면 비은행 비중이 69%로 은행(31%)을 앞선다. 비은행 수수료이익 비중은 작년 1분기 65.6%였지만, 현재는 70%에 육박한다. 비은행 비중이 커지면서 은행 수수료이익 비중은 지난해 1분기 34.4%에서 올해 1분기 31%로 축소됐다. KB금융이 최근 은행, 증권, 생명보험 업무를 한 곳에 처리할 수 있는 복합자문 모델을 선보인 것은 비은행 부문의 강점을 살리는 동시에 비이자이익을 끌어올리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KB금융은 최근 서울 역삼동 KB라이프 타워에 'KB GOLD&WISE 역삼 PB센터'와 'KB STAR WM 프레스티지 라운지'를 개소했다. 이 곳에는 KB국민은행, KB증권, KB라이프생명의 프라이빗뱅커(PB)와 웰스 매니저들이 고객들에게 은행, 증권의 PB서비스는 물론 생명보험 상품 청약, 자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은행, 증권의 PB센터에서 취급하지 않는 종신보험, 연금 등의 다양한 상품을 인근에 위치한 KB라이프생명에서 컨설팅 받고 가입할 수 있다. 금융권 내에 은행, 증권 간 복합점포 모델은 보편화됐지만, 은행, 증권, 보험을 아우르는 자문모델이 출시된 것은 이례적이다. 현재도 방카슈랑스를 통해 은행에서 보험 상품을 일부 판매할 수 있지만 규제가 만만치 않고, 여전히 고액자산가 위주로 대면 상담을 원하는 고객들이 있는 만큼 KB금융은 해당 영업점을 통해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겠다는 행보로 해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객들이 편리하지 않으면 금융사가 아무리 좋은 상품, 서비스를 내놔도 효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며 “고객들이 (해당 영업점에서) 편리함을 느낀다면 비이자이익은 자연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KB국민은행도 종합자산관리 브랜드 'KB GOLD&WISE the FIRST'를 꾸준히 확장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22년 8월 the FIRST 압구정센터를 오픈한 데 이어 올해 4월에는 서울 반포동에 두 번째 the FIRST인 반포센터를 신설했다. 오는 11월에는 서울 강남구에 the FIRST 3호점인 도곡센터를 오픈할 예정이다. 이 중 반포센터는 KB국민은행, KB증권 프라이빗뱅커는 물론 투자, 세무, 부동산, 법률, 신탁 등 금융, 비금융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 팀을 이뤘다. 특히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은 최근 개소한 영업점 오픈식에 직접 참석하며 임직원들이 고객들에게 초개인화된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KB금융의 자산관리 육성 행보는 최근 경쟁사들이 기업대출에 사활을 거는 것과 대비된다. 국민은행은 올해 1분기 기업대출이 작년 말보다 0.7% 증가하는데 그쳤다. 신한은행(3.9%), 하나은행(3.5%), 우리은행(2.9%) 등 경쟁사보다 성장 폭이 미미하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은행권이 역마진까지 제시하며 공격적으로 기업대출을 늘리는 것과 달리 국민은행은 상대적으로 기업대출을 '관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향후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대출을 갈아타려는 기업들의 수요가 있을 수 있어 적절한 기회를 보고 있다는 후문이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SK텔레콤, 올해도 자사주 매입 전망 [하나증권]

하나증권은 SK텔레콤의 주주이익 환원 정책의 신뢰도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며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각각 '7만원'과 '매수'로 유지했다. 29일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SKT는 연결 실적 기준 순이익의 50% 이상을 배당하겠다는 중장기 배당 정책과 더불어 1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는 성장을 위한 투자가 필요한데 지난해 주주이익환원 수준을 지속하기엔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면서 “이에 따라 투자가들 사이에선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이 어려운 것이 아니냐, 올해 추정 이익 및 배당 성향으로 보면 오히려 배당금이 줄어드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그는 “하지만 설사 단기 이익 감소가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올해도 자사주 매입·소각이 이루어질 공산이 크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이러한 판단을 하는 이유는 이익 정체에도 불구하고 설비투자 감소로 올해 현금흐름은 오히려 개선될 것이며 연결 기준 배당 성향 50%는 하한선일 뿐 과거와 달리 상한선은 정해진 것이 없고 현 주가 및 조달 금리 수준에선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한 주식수 줄이기가 유효할 수 있기 때문"이라면서 “여전히 올해 2천억원 수준의 자사주 매입·소각이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삼성화재가 쏘아올린 ‘약관대출’ 중단…업계 파장 아직 미미

삼성화재가 보험약관대출 판매의 일부 중단에 나섰다. 불황형 대출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환경 속에서 업계 1위의 결정 배경에 시선이 모이는 한편 업계에선 리스크 관리상 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내달 26일부터 순수 보장성 상품 5종의 보험약관(계약) 대출 판매의 중단에 나선다. 약관대출은 상품 가입자가 가입한 보험의 해약환급금 범위 내에서 대출을 내주는 제도다. 별도의 대출 심사가 없고 중도상환 수수료나 연체이자가 없는데다 은행권 대출과 비교해 금리차가 크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대상은 무배당삼성80평생보험, 무배당삼성80평생보험Ⅱ, 무배당삼성80평생보험Ⅲ, 무배당삼성80평생보험Ⅳ, 무배당 유비무암보험이다. 이들 상품의 약관대출 가능 비율은 해약환급금의 30%였으나 이를 0%로 줄이면서 약관대출 판매가 사실상 중단될 예정이다. 앞서 삼성화재는 약관대출 가능 비율을 꾸준히 낮춰왔다. 지난 2022년 6월 대출 가능 비율은 해약환급금의 60%에서 50%로 낮췄고 지난해 6월에도 30%로 내렸다. 삼성화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약환급금이 감소하는 것과 보장성 계약이탈 등과 관련해 리스크 관리에 나서는 것이란 설명이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현재 유지 중인 대출은 만기까지 가져가는 것이며 신규 대출자 대상으로 중단되는 것이기에 사실상 축소 규모가 크지 않다"며 “전체 잔액으로 따져도 0.7% 수준이기에 소비자에게 여파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출이 나가면 환급금이 없어지는 구조의 상품이기에 계약이탈방지 등 리스크 관리 차원이다"고 부연했다. 업계에선 약관대출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이를 감당하기 위한 현금 대비도 부담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삼성화재는 보장성보험 판매가 많은 만큼 약관대출에서 금리연동형 취급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저축성보험 약관대출은 금리확정형이 많다. 실제로 약관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나 저신용등급층이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보험사로선 잠재적인 부실 가능성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가 따른다. 불황형 대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삼성화재의 이번 행보가 업권에 영향을 주게 될 지에도 시선이 모인다. 약관대출 판매 규모가 큰 보험사의 경우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규모를 관리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최근 고금리와 고물가가 장기화되면서 주로 서민이 이용하는 '불황형 대출'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1금융권에 이어 저축은행 등 2금융권 대출 문턱마저 높아지며 서민 급전창구로 불리는 보험 약관대출에 대한 수요도 크게 높아지는 추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68조830억원가량이던 약관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70조9533억원으로 증가했다. 2022년과 비교해서는 3조원, 전분기 말 대비로는 1조원 늘어나며 빠른 증가 추세다. 올해 2월 말 기준으로 생명보험사 22곳의 보험약관대출 잔액만 61조1345억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4.9%(2조8283억원) 늘어나기도 했다. 다만 현재까지 삼성화재의 이 같은 방침이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 약관대출은 해지환급금을 사실상 담보로 설정해 받는 대출로 보험사가 받게 되는 리스크는 사실상 크지 않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저신용자가 카드사의 카드론을 이용하는 것과는 다르다"며 “카드사의 경우 이자율이 매우 높아 저신용자들의 연체율이 높아지면 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지만 보험사가 제공하는 약관대출은 은행권 대출과 이자율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데다 어차피 주게 되는 해약환급금에서 빠져나가는 개념이기에 대출 규모 증가가 곧장 건전성 악화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삼성화재가 이자율 하락에 따라 수익성 방어상 전략을 취하는 것일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최근 상생금융 차원에서 올 상반기 대형 생보사가 일제히 약관대출의 이자를 내리거나 납입 유예 제도를 시행하는 분위기가 나타나기도 했다. 다만, 불황이 계속되면서 약관대출이 보험해지로 이어질 수 있는 점은 보험사들로선 우려할 만한 점이다. 연체가 발생하게 되면 가입자들의 보험 해지로 연결될 가능성 또한 높아지기 때문이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22개 생명보험사에서 고객이 해약하거나 효력이 상실된 보험은 114만7369건으로 집계됐다. 2022년 같은 기간에는 90만3754건이었고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12만4224건을 기록해 매년 늘어나고 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증시 종합] 삼전·삼바·LG엔솔·포스코홀딩스, 셀트리온·제약, 에코프로·비엠 등 주가↓

29일 코스피가 전장보다 45.55p(1.67%) 내린 2677.30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수는 전장보다 3.29p(0.12%) 내린 2719.56으로 출발한 뒤 낙폭을 확대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 443억원, 기관은 2649억원을 순매도했고, 개인이 1조 2727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200 선물도 1조 5424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이날 외국인 순매도 금액은 유가증권시장 기준으로는 지난해 7월 25일 1조 3534억원 이후 최대다. 선물 기준으로는 지난해 8월 22일 2조 2952억원 이후 최대 규모다.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6.5원 오른 1365.0원에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3.09%), LG에너지솔루션(-5.00%), 현대차(-1.51%), 삼성바이오로직스(-2.42%), 기아(-0.33%), 셀트리온(-1.11%), POSCO홀딩스(-2.35%), NAVER(-1.18%) 등이 일제히 내렸다. SK하이닉스는 보합세였고 KB금융은 1.30% 상승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2.54%). 의료정밀(-2.13%), 유통업(-2.07%) 등 대부분 업종이 약세였고, 증권(0.05%)만 소폭 올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56p(1.48%) 내린 838.45에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41p(0.17%) 내린 849.60으로 출발한 뒤 하락세가 강해졌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외국인은 724억원, 기관은 1681억원을 순매도했고, 개인이 2530억원을 순매수했다. 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 HLB(2.16%)를 제외한 에코프로비엠(-5.59%), 에코프로(-4.65%), 알테오젠(-2.10%), 엔켐(-5.21%), 리노공업(-1.27%), 셀트리온제약(-3.01%) HPSP(-3.65%), 레인보우로보틱스(-3.79%), 클래시스(-3.74%) 등 대부분 종목이 약세였다. 이날 거래대금은 유가증권시장 12조 7826억원, 코스닥시장 10조 5844억원으로 집계됐다. 안효건 기자 hg3to8@ekn.kr

노브메타파마, 코스닥 입성 또 좌절...‘예견된 4수 실패’

코스닥 상장사를 꿈꿨던 노브메타파마의 4수 도전이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공식적인 사유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상장 심사 기준이 엄격해진 상황에서 노브메타파마의 불안정한 재무구조가 발목을 잡았을 것으로 분석된다. 노브메타파마 측은 주주서한을 통해 다시금 이전상장 도전 의지를 밝혔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포털을 보면 SK증권제8호스팩과 노브메타파마 간 합병결정 철회 사실이 전날 공시됐다. 작년 7월 스팩 합병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으나, 약 10개월의 오랜 기다림 끝에 결국 고배를 마신 것이다. 노브메타파마의 코스닥 입성 시도는 이번이 네 번째다. 지난 2015년 코넥스 시장에 상장한 후 2018년부터 오랜 기간 코스닥 상장을 추진해 왔다. 2018년 4월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 것이 첫 시도였으나, 이듬해 초 스스로 철회 신고서를 제출하며 무산됐다. 이윽고 2019년 9월 다시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내며 2020년 2월 본격적인 IPO 일정을 시작하기도 했다. 그런데 당시 증시는 코로나19 사태 초기 폭락 사태를 겪고 있어, 정당한 몸값을 받지 못할 것을 우려한 노브메타파마가 다시 철회 신고서를 제출했다. 2020년 하반기에도 재차 도전했지만 역시 좌절됐다. 업계에서는 이번 노브메타파마의 스팩 합병 실패가 사실상 예견된 수순이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노브메타파마의 재무 불안정성 때문이다. 노브메타파마는 지난 2021년 매출 7448만원을 기록했다. 2022년에는 그마저도 줄어든 3148만원, 2023년에는 1385만원에 그쳤다. 한 회사가 1년 동안 직원 1명의 연봉조차 벌어들이지 못한 것이다. 그나마 건강기능식품인 '프로지골드' 판매 실적으로 간신히 매출 '0원'을 면했을 뿐이다. 그러는 동안 연구개발비 지출은 계속되며 손실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다. 2021년~2023년 동안 노브메타파마의 영업손실은 69억원, 75억원, 78억원으로 확대됐다. 2022년 노브메타파마의 자본총계는 -42억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이는 2023년 두 차례의 유상증자, 수 차례의 전환사채 보통주 전환 청구로 극복했지만 작년 말 기준 자본금 55억원, 자본총계 56억원으로 여전히 자본잠식 위기는 잔존한다. 결손금 규모는 710억원에 달한다. 이미 금융당국 측은 작년 '파두 사태' 이후로 심사 기준을 강화해 갈수록 스팩합병 상장사라 할지라도 일정 규모의 실적을 요구하고 있다. 고평가 및 실적 뻥튀기 논란을 잠재우기 위함이다. 이미 올해만 7건의 스팩합병 취소가 발생했으며, 특히 이달에는 노브메타파마 외에도 루리텍·케이에스인텍의 합병상장이 좌절됐다. 현재 노브메타파마의 개발 중인 신약들은 10종이 넘지만 3상을 마친 품목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미 이와 비슷한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코스닥에 여럿 기술특례상장됐는데, 오랜 기간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자금조달로 주가만 희석되는 상황이 많아 비판이 많은 상황이다. 노브메타파마의 시가총액도 빈번한 자금조달에 의한 주가 희석, 연이은 상장 좌절로 처참한 상태다. 한때 노브메타파마는 시가총액 7000억원을 상회하며 코넥스 1위를 차지했으나, 오랜만에 주식 매매가 재개된 이날 기준 현재는 967억원에 불과하다. 이번 합병상장 당시 제시된 예상 시가총액이 1800억원대였으니 몸값 고평가 논란이 나오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합병상장을 미승인된 사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다. 한국거래소, SK제8호스팩, 노브메타파마 측이 모두 기업 비밀 보호를 들어 자세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서다. 노브메타파마 측은 전날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지를 통해 “상장위원회 진행 이후 한국거래소와의 이견 차이를 줄이기 위해 최종 시장위원회까지 진행했음에도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다"며 “향후 보다 나은 모습을 통하여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재상장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서학개미 ‘픽’은 스타벅스·MS…“굿바이 엔비디아”

서학개미 순매수 종목 순위가 달라졌다. 기존 서학개미의 '최애' 종목이었던 엔비디아와 테슬라가 아닌 스타벅스, 마이크로소프트(MS), 게임스탑 등으로 관심이 옮겨가면서다. ETF 중에서는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와 구리 가격 급등에 따라 구리 관련 ETF 등이 서학개미 선호 종목으로 새롭게 떠올랐다. 29일 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에 따르면 이달 들어 서학개미들은 스타벅스를 가장 많이 사들였다. 지난 1일부터 28일까지 스타벅스를 8536만달러(약 1164억원)어치 순매수했다. 2위는 마이크로소프트(7545만달러)가 차지했다. 인텔(6364만달러)과 밈주식으로 유명한 게임스탑(4086만달러) 등도 상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순매수 상위에 엔비디아와 테슬라 등 기술주 일색이던 지난달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지난달 서학개미 순매수 1위는 테슬라였다. 4월 한 달간 3억4920만달러를 순매수했지만 이달에는 상위 50위권에도 진입하지 못했다. 이 기간 엔비디아도 순매수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는데 대신 엔비디아와 테슬라는 나란히 서학개미 순매도 2위와 3위에 올랐다. 서학개미는 이달 들어 엔비디아와 테슬라를 각각 10억9401만달러, 8억6073만달러어치 팔아치웠다. 순매수 순위에 변화가 나타난 데는 차익 실현과 저점 매수가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엔비디아 주가가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자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섰다. 현재가 고점이라고 인식한 것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22일 실적 발표 이후 처음으로 1000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1100달러도 넘어서면서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시가총액도 2조8000억달러로 불어나면서 나스닥 시총 2위인 애플(2조9130억달러)과의 격차를 1100억달러대로 좁혔다. 반면 스타벅스가 순매수 1위에 오른 것은 주가가 하향 곡선을 그리자 저점 매수 움직임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는 1분기 실적 부진에 주가가 곤두박질쳤다. 스타벅스 1분기 매출은 85억6000만달러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하회했다. 실적 충격 여파에 연초 90달러선에 거래되던 주가는 이달 들어 70달러대로 떨어졌다. 지난 28일 종가는 77.48달러로 연초(93.67달러) 대비 17.3%가 하락한 수준이다. 또 서학개미들은 밈 주식(Meme Stocks, 인터넷 상에서 입소문이 나면서 유행하는 종목) 매수에도 열을 올렸다. 대표적인 종목이 게임스탑이다. 서학개미는 이달에만 게임스탑을 4086만달러어치 사들였다. 게임스탑은 대표적인 미국 밈 주식으로 지난 2021년 키스 질의 주도 하에 개인 투자자들이 하나둘씩 게임스탑 주식을 사들이면서 주가가 폭등한 바 있다. 당시 주가는 장중 120.75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3년 전 유행한 밈주식인 게임스탑이 다시 떠오른 데는 지난 2021년 게임스탑 폭등을 일으켰던 키스 질(Keith Gill)이 지난 13일 3년 만에 X(옛 트위터) 계정에 게시물을 올리면서부터다. 지난 13일 게임스탑 주가는 하루 만에 74.4%가 폭등했다. 게임스탑 주가가 반등하자 서학개미들이 주가 급등을 노리고 매수에 뛰어든 것이다. 게임스탑은 이달 서학개미 순매수 9위를 차지했다. 개별 종목 외에 ETF 중에서는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뱅가드 SP 500 ETF(VOO)'와 구리 가격 급등 영향을 받아 구리 관련 ETF인 '글로벌X구리 채굴 ETF' 등이 상위권에 새롭게 등장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