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기업은행, 글로벌 ESG ‘상위 1%’...ESG 평가기관서 최고등급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IBK기업은행이 국내 금융기관 가운데 유일하게 글로벌 ESG 평가기관으로부터 최고등급을 획득했다. 전 세계 1만8000여개 기업 가운데 최고등급을 받은 기업이 1.6%(283개사)인 점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성과다.IBK기업은행은 글로벌 ESG평가기관 CDP의 기후변화 대응부분 2022년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Leadership A’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CDP(Carbon Disclosure Project)는 영국에 본사를 둔 비영리기구로, 전 세계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대응 및 탄소경영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ESG평가기관이다.올해 ‘Leadership A’ 등급은 약 1만8000개의 기업 중 1.6%인 283개의 기업이 획득했다. 국내 금융기관 중에서는 기업은행이 유일하다.기업은행은 지난해 자체 ‘2040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하고 에너지경영시스템 국제표준(ISO50001)을 획득해 체계적인 활동을 이행하고 있다.올해는 PCAF(탄소회계금융협회) 방법론을 통해 금융자산 배출량을 측정·공개하고, SBTi(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 방법론을 반영한 2050 금융자산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다. 여기에 글로벌 탄소중립 이니셔티브인 GFANZ(글래스고 탄소중립 금융연합), NZBA(넷제로 은행연합)에도 가입해 대응해 나가고 있다.기업은행은 ‘OECD 지속가능 중기금융 플랫폼’의 공동의장으로, 국제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지원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녹색전환을 지원해 고객과 함께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리금융, UN CBD와 ‘생물다양성 보호’ 공동성명서 지지...협력방안 모색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우리금융그룹은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위한 ‘UN CBD(유엔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 금융부문 공동 성명서에 서명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통한 ESG경영 강화, 지속가능한 금융 실천에 대해 국제사회와 협력방안을 모색했다고 14일 밝혔다. UN CBD(유엔생물다양성협약)는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자연생태계 회복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1992년에 채택된 협약이다. 기후변화협약, 사막화방지협약과 함께 UN(유엔)의 3대 환경협약 중 하나다. 이달 7일부터 19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UN CBD COP15)’에서는 2030년까지 새로운 생물다양성 전략계획인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가 채택될 전망이다. 우리금융그룹은 생물다양성 손실을 멈추기 위한‘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채택을 지지하고, 협약 이행을 촉구하는 금융회사의 약속을 담은 ‘생물다양성협약 금융부문 성명서’에 서명했다. 또한, 우리금융은 UNEP FI(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 UN PRI(유엔 책임투자원칙) 등 주요 국제기구들과 금융부문의 협력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이번 성명서에는 우리금융그룹을 비롯해 BNP Paribas, UBS, AXA Group 등 글로벌 150개 금융회사가 참여했다. 이들 회사의 총 자산만 24조 달러에 달한다. 손태승 회장은 "자연과 조화로운 삶(Living in harmony with Nature)을 위해 자연에 긍정적인 방식(Nature Positive)으로 행동을 바꿔야 한다"며, "세계가 직면한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오염 및 폐기물 등 3대 환경위기를 극복하는데 우리금융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우리금융그룹

새마을금고, 기업용 앱 ‘MG더뱅킹기업’ 출시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새마을금고는 사업자 고객 대상 모바일 앱 서비스 ‘MG더뱅킹기업’을 15일 신규 출시한다. 14일 새마을금고에 따르면 MG더뱅킹기업은 개인사업자와 법인 고객 대상 모바일 앱으로 새마을금고 자체 최초의 기업용 스마트뱅킹 서비스다. 기존 기업 인터넷뱅킹 사용자들 요구 사항을 적극 반영해 약 1년에 걸쳐 신규 구축했다. 새마을금고는 ‘편리하게 또 안전하게’라는 방향성 하에 앱을 출시했다. MG더뱅킹기업의 주요 특징은 △직관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UI)·사용자경험(UX) △모바일 결재함 △간편인증 △비대면센터 등이다. UI·UX는 사용자 관점에서 직관적인 디자인을 추구했다. 사업자 유형별 맞춤형 메인 화면을 구성했으며, 이체 등 주요 메뉴에서 페이지 이동 없이 단일 화면에서 완결할 수 있다. 기업의 내부통제를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결재함도 제공한다. 사업체 내 다수의 사용자가 금융업무 이용 시 결재 요청·승인을 통해 거래를 완결하는 서비스로, 앱을 이용한 결재 처리와 조회가 가능하다. 개인사업자 대상 간편인증과 비대면센터도 제공한다. 1일 1000만원 이하의 소액 이체 거래에 대해 추가 인증 절차를 배제한 ‘간편패스’를 도입했으며 간편 로그인과 간편 출금 등이 가능하다. 또 비대면센터를 통해 디지털 일회용 비밀번호(OTP) 발급과 예적금 상품 개설 등이 가능하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기존의 개인용 MG더뱅킹에 이번 출시되는 사업자용 MG더뱅킹기업으로 새마을금고의 비대면 채널이 다각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새마을금고의 모든 개인·기업 고객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dsk@ekn.kr기업은행

NH농협은행, CBDC 대응 파일럿테스트 종료보고회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NH농협은행은 지난 4월부터 착수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대응 파일럿시스템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주요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종료보고회를 지난 13일 개최했다. 농협은행은 지난 8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을 완료하고 자체 CBDC 모의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11월에는 최근 Web3.0 시대에 각광받는 대체불가능토큰(NFT)와 자체 개발한 디지털화폐인 NHDC, 멀티자산 전자지갑 등 다양한 미래 금융 신사업 모델을 검증했다. 또 농협은행은 한국은행 주관 CBDC 금융기관 연계실험에 적극 참여했고, 9월 말 열린 2022 코리아핀테크위크에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상래 농협은행 데이터·디지털플랫폼부문 부행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자산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과 역량을 내재화한 것이 큰 성과"라며 "Web3.0 시대에도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생활금융 플랫폼이 되도록 블록체인 금융서비스를 꾸준히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sk@ekn.kr13일 NH농협은행 본사에서 열린 CBDC 대응 파일럿테스트 종료보고회에서 이상래 농협은행 부행장(왼쪽 네번째)과 직원들, LG CNS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한은행, 일본 SMBC은행과 외화 ESG 커미티드라인 약정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신한은행은 일본 미쓰이스미토모 은행(SMBC)과 100억엔(7300만 달러·약 960억원) 규모의 외화 ESG(환경·사회·거버넌스) 커미티드라인 약정을 신규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커미티드라인은 약정을 맺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약속한 한도 내에서 외화를 공급받을 수 있는 조달라인을 의미한다.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유동성 경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인 외화 확보 수단으로 여겨진다. 신한은행은 외화 유동성 관리를 위해 커미티드라인을 꾸준히 확대해 왔다. 이번 약정체결로 기존의 미 달러화, 유로화, 위안화 외 엔화를 추가해 비상조달라인의 통화 다변화에 성공했다. 이로써 신한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중 최대 규모인 미화 환산 기준 약 11억 달러의 외화 커미티드라인을 보유하게 됐다.특히 이번 약정은 국내 최초로 커미티드라인 약정에 ESG를 연계해 조달된 자금을 친환경·사회적책임 등 지속가능 관련 자산에 활용할 수 있어 향후 유사시에도 ESG 경영을 지속할 수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ESG 커미티드라인 신규 약정을 계기로 자금거래와 ESG 분야에서 두 은행간의 협력관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국제금융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 외화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dsk@ekn.kr신한은행.

신보, 스타트업 종합 컨퍼런스 ‘SOUND 2022’ 개최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신용보증기금은 15∼16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스타트업 종합 컨퍼런스 ‘SOUND 2022’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올해 처음 열리는데 ‘우리 모두가 만드는 스타트업 중심의 세상’을 컨셉으로 열린다. 이번 행사를 통해 신보는 2014년부터 운영해온 스타트업 지원 전담 프로그램들을 통합·확대하고, 다양한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원을 위한 네트워킹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스타트업, 민간투자자, 공공기관, 대학교 등 다양한 분야별 플레이어들이 참여하는 창업경진대회, 브랜드 선포식, 네트워킹 프로그램, 투자 IR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된다. 행사 첫날인 15일에는 49대1의 경쟁률을 뚫은 6개 유망 스타트업의 창업경진대회와 신보의 대표 스타트업 보육 프로그램인 Start-up NEST 참여기업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16일에는 신보의 새로운 스타트업 지원 통합 브랜드 선포식과 민간 투자유치 플랫폼 U-CONNECT 예선과 본선을 거쳐 최종 선발된 10개 기업의 IR피칭이 예정됐다. 신보 관계자는 "신보는 국가 경제의 미래 성장엔진인 스타트업에 대한 빈틈 없는 지원을 위해 사업 규모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며 "이번 SOUND 2022 행사를 통해 위축된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 창업에서 유니콘까지, 스타트업 라이프 타임 파트너로서 신보가 공공부문 최고의 스타트업 종합지원기관으로 함께 성장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dsk@ekn.kr신용보증기금

카뱅 ‘증권사 주식 계좌 개설서비스’에 교보증권 추가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카카오뱅크는 주식 계좌 개설 서비스 대상 증권사에 ‘교보증권’을 추가했다고 14일 밝혔다.카카오뱅크의 증권사 주식 계좌 개설 서비스는 고객이 입출금 계좌 개설 시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식 계좌와 연결할 입출금 계좌를 선택하고, 계좌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제휴 증권사 계좌 개설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다.이번 교보증권과의 제휴로 카카오뱅크 모바일 앱에서 주식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증권사는 총 8곳으로 늘었다. 2019년 3월 한국투자증권을 시작으로, 2020년 2월 NH투자증권, 같은 해 6월 KB증권, 지난해 6월 하나증권, 같은 해 11월 신한투자증권, 올해 3월 삼성증권, 9월 미래에셋증권 등 8곳의 증권사 계좌 개설을 지원하고 있다.카카오뱅크는 교보증권 신규 고객을 위한 이벤트도 마련했다. 2023년 6월 30일까지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교보증권 계좌를 최초 개설한 고객에 국내 주식 주문 시 사용할 수 있는 ‘금융투자상품권 2만원’을 지급한다.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국내 주식 수수료는 평생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카카오뱅크를 통해 개설된 주식 계좌가 누적 607만개를 돌파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금융회사와 꾸준히 협력해 고객 혜택을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dsk@ekn.kr

현대카드, 실물카드 없이 통행료 결제…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현대카드가 14일 국내 카드업계 최초로 실물 카드 없이 유료도로 통행료 결제가 가능한 현대자동차 ‘e hi-pass’를 새롭게 내놨다고 밝혔다.‘e hi-pass’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차량 내 결제서비스(In Car Payment) 카페이가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로 기존 플라스틱 하이패스카드의 발급, 배송, 이용내역조회 등의 번거로움을 없앴다.기존에는 하이패스를 이용하기 위해 선불하이패스카드를 발급해 이용 금액을 충전하거나, 카드사 후불하이패스카드를 차량 내 하이패스 단말기에 카드를 장착해 이용해야 했다. 하이패스 이용 내역은 익일부터 조회 가능한 불편함이 있었다.‘e hi-pass’는 이런 번거로운 과정을 모두 없앴다. ‘e hi-pass’는 현대자동차의 카페이 앱에서 신청 즉시 실물 카드 없이 발급되고, 차량 시동 후 바로 이용할 수 있다.결제 후 이용 내역도 카페이 앱과 차량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실물 카드가 없어 도난·분실 우려가 없고, 한 해 수십만장 규모로 제작되는 플라스틱 카드의 사용도 줄일 수 있어 친환경 서비스로의 전환도 기대할 수 있다.현대카드 관계자는 "현대자동차와 함께 ‘e hi-pass’를 지난 달 14일 출시한 디 올 뉴 그랜저에 처음으로 적용했다"며 "향후 출시될 제네시스, 현대차, 기아 차종에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yhn7704@ekn.kr현대카드가 국내 카드업계 최초로 실물 카드 없이 유료도로 통행료 결제가 가능한 현대자동차 ‘e hi-pass’를 새롭게 내놨다. 사진제공=현대카드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사실상 연임...23일 사원총회서 확정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이 사실상 연임에 성공했다. 보험연구원 원장후보추천위원회는 보험연구원 제6대 원장으로 안철경 현 원장을 추천했다고 14일 밝혔다. 보험연구원 원장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3월 보험연구원장 후보를 공모한 결과, 총 4명의 원장 후보가 공모했다. 후보추천위원회는 이후 서류전형을 통해 선발된 3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이날(14일) 면접전형을 실시해 안철경 현 원장을 최종 후보자로 총회에 단수 추천했다. 보험연구원 사원총회는 오는 23일 보험연구원 제6대 원장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보험연구원 사원사에는 22개 생명보험회사와 18개 손해보험회사가 있다.안철경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월 최대 2000원 캐시백"…케이뱅크, 청소년 전용 선불서비스 출시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케이뱅크는 청소년을 위한 선불 서비스 ‘하이틴(Hi teen)’을 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하이틴은 케이뱅크가 처음 내놓은 만 14세에서 만 18세 미만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불전자지급수단 서비스다. 케이뱅크 앱에서 휴대폰 본인인증, 약관동의, 비밀번호 설정 등으로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다. 입금, 출금, 이체 등 계좌처럼 사용 가능하다. 하이틴에 연결된 ‘하이틴 카드’의 이용한도는 하루 50만원으로 월 총 200만원이다. 하이틴에 보관할 수 있는 금액 한도는 50만원이다. 선불 충전 교통카드 캐시비를 탑재했으며, 청소년이 입장할 수 없는 주점, 숙박업소 등 청소년유해업종은 이용할 수 없다. 또 전국 은행과 GS25 편의점 현금자동입출금기(ATM) 기기를 통해 현금 입출금도 무료로 가능하다. 하이틴 카드의 가장 큰 특징은 10대 청소년들이 주로 사용하는 온·오프라인에서 특별한 실적 조건 없이 결제 캐시백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하이틴 카드로 결제하면 캐시백을 월 최대 2000원까지 받을 수 있다. 청소년들이 편의점을 자주 이용한다는 것에서 착안해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 등 전국 편의점 5개 브랜드에서 결제 금액 상관없이 이용할 때마다 100원씩 월 최대 10회(1000원)을 캐시백 받을 수 있다. 편의점 브랜드별 1일 1회 적용된다. 10대 인기 패션 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 지그재그, 무신사 뿐만 아니라 네이버웹툰 등 온라인 전 업종에서도 결제금액 관계 없이 100원씩 월 최대 5회(500원) 캐시백 된다. 전월 결제 합계가 10만원 이상이 되고 총 결제 횟수가 5회 이상이면 500원 캐시백이 다음달 10일 이내 지급된다. 이렇게 월 최대 2000원 캐시백 혜택을 받으면 연간 최대 2만4000원의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만 14세 생일날 가입해 만 18세까지 매달 캐시백을 받는다면 총 9만6000원의 캐시백 혜택을 받는 셈이다. 다양한 편의 기능도 제공한다. 먼저 ‘용돈요청하기’ 기능은 청소년이 메시지카드 4종에 자유롭게 메시지를 입력해 카카오톡으로 전달하면 된다. 카카오톡을 받는 사람은 메시지카드만을 눌러 용돈을 보낼 수 있다. 송금 기능도 제공한다. ‘연락처 송금’은 상대방의 계좌번호를 모르더라도 이름과 휴대폰 번호로 간편하게 송금하고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기능이다. 상대방이 다음날 자정까지 돈을 받지 않으면 보낸 송금은 자동 취소돼 입금된다. 하이틴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가입 이벤트도 진행한다. 교통비 최대 만원 캐시백, SNS 후기 영상 50만원 상금, 편의점 5000원 캐시백, 롯데월드 종합이용권, 뚜레쥬르 케이크 등의 경품을 준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사용 실적에 관계없이 캐시백 혜택을 제공받는 것이 청소년들에게 큰 장점이다"람녀 "청소년들이 올바른 금융 소비 습관을 기르고 좀 더 편리하고 좋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dsk@ekn.kr케이뱅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