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건설업계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이 제대로 실천되지 않아, ESG 가이드라인 준수 등 실질적인 실천 및 그에 따른 적절한 평가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ESG 가이드라인은 건설산업 특성상 수많은 온실가스 배출 및 과도한 에너지 사용량, 안전사고, 부실시공 등의 문제가 큰 만큼 실질적인 지침이 마련되고, 건설사들의 적극적인 준수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건설산업 ESG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를 열고 최근 ESG 확산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건설산업에 있어 환경과 사회, 거버넌스 분야의 주요 쟁점 및 이슈들과 건설기업 등 건설산업 차원의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이날 김영덕 건산연 선임연구위원은 "(국내)건설기업 대부분이 B등급 이하(한국ESG기준원) 수준이기에 이를 가이드라인에 맞춰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참고로 한국ESG기준원이 평가하는 ESG 등급은 S(탁월), A+(매우 우수), A(우수), B+(양호), B(보통), C(취약), D(매우 취약)로 나뉜다.주로 E(환경)는 리더십과 거버넌스, 위험관리, 운영 및 성과, 이해관계자 소통 등을 평가한다. S(사회)는 노동관행과 직장 내 안전보건, 인권, 공정운영 관행, 지속가능한 소비 등을 평가하고, G(거버넌스)는 이사회 리더십과 주주권 보호, 감사기구 및 내부통제, 이해관계자 소통 등을 다루고 있다. 보통 유가증권시장 상장회사나 코스닥 상장사 일부, 금융사 지배구조법이 적용되는 비상장사들이 대상이 된다.
건설기업 중에는 최근 GS건설과 DL이앤씨가 각각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근로자 사망사고, 지속적 안전사고 발생으로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GS건설은 S(사회) 부문에서 ‘A+’서 ‘B+’로, DL이앤씨는 ‘A’에서 ‘B+’로 떨어졌다. SGC이테크건설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계열사 부당지원·특수관계인 사익편취에 대해 과징금 35억5000만원을 부과받아 G(거버넌스) 부문과 통합 부문이 ‘B’에서 ‘C’로 등급이 강등됐다.다만 DL이앤씨와 GS건설은 안전사고로 S 부문은 떨어졌으나 통합등급은 ‘A’를 유지했다. 또 대우건설이 작년 B+에서 올해 A등급으로 상승했다. 아울러 삼성엔지니어링, 태영건설, 현대건설이 ‘A’를 유지했다.B+등급에는 계룡건설산업, 동부건설, 신세계건설, IS동서, 한미글로벌 등이 있다. B등급에는 금호건설, 도화엔지니어링 등이 있고 C등급에는 삼부토건, SGC이테크건설, 코오롱글로벌 등이 있다. D등급에는 범양건영, 일성건설, 한신공영 등이 자리하고 있다.그나마 일부 중견 건설사에서는 ESG 관리를 어느 정도 하고 있으나 중소 건설기업 ESG관리는 처참한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다.이와 관련해 김영덕 선임연구위원은 환경, 사회, 거버넌스 부문별 건설산업의 특성과 핵심 요구사항을 반영한 환경부문 7개, 사회부문 7개, 거버넌스 부문 4개 등 18개 활동영역과 86개 항목의 건설업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는 "건설산업의 적극적인 ESG 대응 노력이 필요한 상황으로 이때 요구되는 것이 건설산업 ESG 가이드라인"이라고 강조했다.ESG는 탄소중립과 연결되는 만큼 환경 중요성도 강조됐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자원 및 에너지 사용량 최소화, 자연환경 및 생물다양성 보존, 친환경 건설상품 생산 및 친환경자재 사용을 제시했다. 이어 최은정 연구위원은 불공정관행과 건설안전사고, 생산성 저하 등을 지적하며 건설기업 경영의 투명성 제고와 윤리문화 정착에 대한 외부 요구를 수용할 것도 힘주어 말했다. kjh123@ekn.kr7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산업 ESG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발표 현장에서 건설기업의 ESG 가이드라인 등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