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작년 60세 이상 자영업자 200만명 첫 돌파…개인택시·택배 등 고령층 급증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가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개인택시·택배 등 운수업에 뛰어든 고령층이 급증한 영향으로 보인다. 15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작년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전년(199만8000명)보다 7만5000명 늘어난 20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60세 이상 자영업자가 2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60세 이상 자영업자가 더 빠르게 늘면서 전체 자영업자에서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35.5%)보다 0.9%포인트(p) 상승한 36.4%를 기록했다. 자영업자는 60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50대(155만명), 40대(116만명), 30대(70만6000명), 20대(18만8000명) 등 순이었다.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8명 이상(175만명·84.8%)은 고용원 없는 '나홀로' 자영업자인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원 있는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31만5000명이었다. 50대(45만2000명), 40대(37만8000명)에 이어 3번째로 많았다. 아울러 자영업자 가운데 60세 이상 비중은 지난 2018년 29.4%에서 작년 36.8%로 높아지는 등 고령화 현상이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운수·창고업에서 최근 고령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운수창고업에 종사하는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지난 2018년 19만500명에서 작년 30만5800명으로 약 11만명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지난 2018년 농림어업, 도소매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지만 지난해 도소매업을 추월했다. 은퇴자들이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개인택시·화물차, 택배운송 등으로 흘러든 결과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운수업 취업자 중 최근 50대 이상 비중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고령자들이 다른 고령자를 돌보는 '노노케어' 등 돌봄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자영업자가 늘어난 점도 고령 자영업자가 늘어난 원인으로 분석됐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GS, 지난해 영업익 3조7179억원…전년비 27.4% 하락

㈜GS는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25조9785억원·영업이익 3조7179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9.1%, 영업이익은 27.4% 하락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5835억원으로 같은 기간 36.2% 감소했다. GS칼텍스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8조6075억원·1조6838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17%, 영업이익은 58% 줄었다. GS에너지는 매출 6조5190억원·영업이익 2조6415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16%, 영업이익은 31% 축소됐다. 여기에는 GS칼텍스 지분법평가손익이 포함된 것으로, 전력도매가격(SMP) 하락도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 GS리테일은 매출 1조6215억원·영업이익 405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5%, 영업이익은 12% 증가했다. 편의점과 수퍼의 신규 점포 출점 효과가 발생하고 호텔 나인트리 및 제주 호텔 투숙율도 향상된 덕분이다. GS EPS는 매출 1조9843억원·영업이익 4592억원을 냈다.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25% 감소했다. GS ENR은 매출 1조9201억원·영업이익 173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31% 줄었다. GS글로벌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9165억원·765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원자재값 하락 때문에 23% 축소된 반면, 영업이익은 9% 개선됐다. ㈜GS 관계자는 “계열사 배당금 수익 증가에 힘입어 별도 매출(1조48억원)과 영업이익(9184억원)이 각각 78%, 92% 확대됐다"며 “당기순이익(8773억원)도 97% 상승했고,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은 2500원으로 지난해와 동일하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1보]㈜GS, 지난해 영업익 3조7179억원…전년비 27.4%↓

㈜GS는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25조9785억원·영업이익 3조7179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9.1%, 영업이익은 27.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5835억원으로 같은 기간 36.2% 줄었다. 국제유가·정제마진·전력도매가격(SMP)이 하락한 영향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5593억원·695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영업이익은 22.5% 낮아졌다. 당기순이익은 1263억원으로 46.8% 축소됐다. GS 관계자는 “올해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정유 및 화학 제품 수요 부진 등 시장 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세계 경제의 경기 회복이 향후 실적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근로·자녀장려금, 올해 558만 가구 혜택…80만 가구 늘어

근로·자녀 장려금은 올해 558만 가구에 총 6조1000억원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국세청에 따르면 근로·자녀 장려금은 작년과 비교해 지급액이 9000억원, 지급 대상 가구는 80만 가구가 늘어난다. 작년 근로·자녀장려금은 478만 가구에 총 5조2000억원이 지급됐다. 근로·자녀 장려금은 저소득 가정의 생계와 자녀 양육을 돕는 지원금이다. 국세청은 장려금 지급 기준 총소득이 4000만원 미만에서 7000만원 미만으로 완화되면서 지급 대상이 47만 가구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작년 주택 공시가격이 전년보다 18.6% 하락한 영향으로 32만 가구가 총소득 기준을 충족해 장려금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세청은 매년 반복해서 장려금을 신청해야 하는 불편을 줄이고 실수로 신청을 누락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장려금 자동 신청 제도를 시행 중이다. 작년까지 65세 이상 고령자와 중증장애인이 자동 신청 대상이었지만 올해부터 고령자 기준이 60세 이상으로 확대됐다. 국세청은 올해 165만명이 자동 신청 제도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세청 관계자는 “민생경제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저소득 가구의 근로·자녀 장려금 신청 편의를 지속해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고금리 극복’에 76조원 지원…中企 대출 금리 최대 2%로 낮춰

정부와 국민의힘은 민간은행 등과 협력해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 지원을 위한 총 76조원 규모의 맞춤형 기업 금융을 마련하기로 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도 총 20조원 규모로 기업금융 지원에 동참한다. 당정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 민당정 협의회'에서 이같이 합의했다고 유의동 정책위의장이 발표했다. 당정은 중소기업 고금리 부담 완화에 19조 4000억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특히 은행 공동의 중소기업 전용 금리인하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대출금리가 5%를 넘는 대출에 대해 1년간 최대 2%까지 금리를 인하한다는 계획이다. 또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간 전환이 가능한 저리의 고정금리 상품을 2조 원 규모로 공급하는 등 고금리 부담 완화에 11조 3000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을 겪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신속 정상화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3조 원 규모로 가동해 가산금리 면제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신산업 전환 지원에도 56조 3000억원을 지원한다. 당정은 대규모 시설 투자가 필요한 첨단 산업에 대해 '20조원+α'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공급망 안정화 기금을 5조원 조성해 국내 유턴 기업 등을 지원하고, 반도체, 이차전지 등 초격차 주력 사업에 15조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당정은 중견기업 지원 방안도 발표했다. 유 의장은 “산업의 허리인 중견기업에 15조 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며 “신사업 진출에 부담을 느끼는 중견기업의 애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5대 은행 공동의 중견기업 전용 펀드를 5조 원 규모로 최초 조성한다. 2조원 규모의 회사채 유동화 프로그램을 운영해 첨단 전략산업 분야 중견기업의 직접금융을 지원하고, 중소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 과정에서 단계별로 맞춤형 보증 2조 원을 지원한다. 당정은 중소기업의 신사업 진출과 설비 투자 확대 등을 위해 21조 3000억 원을 지원하고, 은행은 신산업 진출, 사업 확장 등의 중소기업에 대해 우대금리 자금을 5조 원 규모로 공급하기로 했다. 정책금융기관 역시 중소기업의 신산업 진출과 기술 기반 자금 지원을 위해 16조 3000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우대 금리 조건 등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유 의장은 민간은행의 적극적인 동참을 평가하며 “정부도 기업금융 관련 규제를 합리화하고 기업이 기업금융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함으로써 은행의 자체적인 기업금융 활성화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HD현대, 대형 액화수소운반선 개발 박차

HD현대가 국내외 기업들과 글로벌 수소 운송 시장 선점에 나선다. HD현대의 조선 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은 호주 우드사이드에너지·현대글로비스·일본 MOL과 액화수소 운송 밸류체인 개발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HD한국조선해양은 2022년부터 우드사이드에너지 및 현대글로비스와 손잡고 액화수소 수출입 환경과 선박 운용을 고려한 해상 밸류체인 솔루션을 공동 개발 중이다. 여기에 MOL이 새롭게 합류함에 따라 사업 모델이 더욱 고도화될 전망이다. 이들은 2030년까지 수소 해상 운송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기술적·상업적으로 운용 가능한 대형 액화수소운반선 개발을 담당한다. HD한국조선해양은 2022년 국내 최초로 액화천연가스(LNG)·수소 혼소엔진을 개발했고, 지난해 자체 개발한 대형 수소운반선 수소화물시스템에 대해 DNV선급으로부터 개념승인(AIP)도 받았다. 우드사이드에너지는 액화수소 시장을 개발한다. 현대글로비스와 MOL은 액화수소 운반선 운영에 대한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선박 운항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한다.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원장은 “가스선 분야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액화수소 운송 밸류체인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 뿐 아니라 실질적인 사업 기회까지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NAMU EnR, 한국형 자발적 탄소크레딧 등급 평가모형 개발

NAMU EnR이 국내 최초로 '한국형 자발적 탄소크레딧 등급 평가모형(K-VCCRM)'을 개발했다. 14일 NAMU EnR에 따르면 이는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과 RE100 캠페인 및 ESG 경영 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베이직·마켓·프로젝트·밸류에이션·리스크 섹터 등 5개 대분류와 18개 소분류를 토대로 멀티 팩터 등급 평가모형을 구축한 것도 특징이다. 특히 △자발적 탄소크레딧 수급 요인 △감축 프로젝트에 대한 재무적 요인 △프로젝트 위험 분석 △핵심탄소원칙(CCP) 준수 등 정량·정성적 데이터들을 계량화해 적용했다. 가중치 결정과 점수 분포 및 등급 기준은 비선형 최적해, 요인분석, 계량통계 분석모형, 로그노멀 분포적용, 인버스 모형, Max-Min Threshold 등을 적용했다. 탄소크레딧 등급단계는 5분위를 기준으로 A+등급에서 D등급까지 총 10개다. 김태선 NAMU EnR 대표는 “그린워싱 문제 해결 및 탄소크레딧 공정가격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요 협력기관들과 평가모형 고도화 및 선진화를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서울 등 수도권에 인구 50.7% 거주…취업자도 절반 넘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우리나라 인구의 50.7%가 살고 취업자 수도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본사도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있고 수출 비중은 70%를 웃돌았고 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은 6억6000만원으로 비수도권보다 2억원 이상 많았다. 14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행정안전부,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주민등록인구는 2601만명으로 전체의 50.7%에 달했다. 서울 939만명, 경기 1363만명, 인천 300만명 등이다. 서울 인구는 줄고 있지만 경기와 인천 인구가 늘면서 수도권 인구 비중은 계속 커지고 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지난 2018년(매년 12월 기준) 49.8%에서 2019년 50.0%로 처음 과반을 차지한 이후 2020년 50.2%, 2021년 50.4%, 2022년 50.5%에 이어 작년 더 커졌다. 경제활동을 하는 취업자도 작년 12월 기준 수도권이 1448만명으로 전체의 51.6%를 차지했다. 서울 519만명, 경기 765만명, 인천 165만명 등이다. 사업체는 2022년 기준 서울 118만개, 경기 151만개, 인천 32만개 등 수도권에 전체의 49.1%인 301만개가 자리 잡고 있다. 사업체 중에서도 본사·본점 등은 서울 등 수도권에 전체의 55.9%인 5만2725개가 있어 절반이 넘었다. 수출도 수도권에 집중됐다. 우리나라의 2022년 기준 총수출 6836억달러 중 서울 등 수도권 비중이 72.3%에 달했다. 서울이 2269억달러로 33.2%, 경기는 2124억달러로 31.1%, 인천은 550억달러로 8.0%를 각각 차지했다. 특히 대기업의 수도권 수출 비중은 79.0%로 더 높았다. 서울이 전체의 40.0%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의 수도권 수출 비중은 62.7%, 중견기업은 57.6%로 각각 집계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 간 자산 격차도 컸다. 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은 작년 3월 말 기준 6억5908만원으로 비수도권 가구(3억9947만원)보다 2억5961만원(65.0%) 많았다. 부채는 수도권이 1억1754만원으로 비수도권(6697만원)보다 5057만원 많았다. 순자산은 수도권 5억4154만원, 비수도권 3억3250만원으로 2억원 이상 격차가 있었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작년 코로나에 급성장한 배달음식시장 엔데믹으로 첫 ‘역성장’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고성장했던 온라인 배달 음식 시장이 처음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음식 서비스(배달 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26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음식 서비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지난 2017년 이후 첫 감소다. 음식 서비스 온라인 거래액은 지난 2017년 2조7000억원에서 2018년 5조3000억원, 2019년 9조70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다가 코로나19 사태로 외부 활동이 줄고 재택근무가 늘어 지난 2020년 17조3000억원으로 급증한 데 이어 2021년 26조20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이에 따라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의민족과 위대한상상의 요기요, 쿠팡의 쿠팡이츠 등 배달앱 3사도 성장세를 보였다. 우아한형제들의 영업수익(매출)은 지난 2015년 495억원 수준에서 2022년 2조9516억원으로 약 60배로 늘었고 영업손익은 249억원 적자에서 4643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엔데믹 이후 외부 활동이 재개되며 음식 서비스 온라인 거래액은 지난 2022년 26조6000억원으로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치다가 작년 더 성장하지 못하고 감소세로 돌아섰다.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가 해제된 이후 외식 수요가 늘면서 음식을 배달해 먹는 경우는 다소 줄었다. 또 고물가·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지갑이 가벼워지다 보니 배달비가 부담 요인으로 다가온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작년 11월 배달비 분석 현황을 보면 2km 미만 거리에서 최빈 배달비는 쿠팡이츠(세이브배달)가 3900원, 배민 2500원, 배민(한집배달) 3000원, 요기요(가게배달) 2500원, 요기요(한집배달) 3300원 등이다. 작년 음식 서비스에 음식료품, 농축수산물을 합한 전체 온라인 식품시장 거래액은 67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7.0% 늘었다. 이 거래액은 2017년 13조2000억원에서 2018년 18조7000억원, 2019년 26조9000억원에 이어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42조5000억원으로 급증했고 2021년 57조4000억원, 2022년 62조7000억원 등으로 성장했다. 코로나19로 식품시장에서도 비대면 소비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최근에는 성장 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습이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다중채무자 450만명 ‘역대 최다’…금리 인하 아직 멀었는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부담으로 인해 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지고 있는 사이, 더 이상 빌릴 곳도 없고 갚을 길도 없는 한계 대출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450만명이 3곳 이상에서 최대한 대출을 끌어 썼으며, 279만명은 소득의 대부분을 빚 갚는 데 써야 할 처지로 추정된다. 이 같은 금융 취약계층 증가는 결국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한국은행의 경고다. 12일 한은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로,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를 말한다. 이들은 고금리에 가장 취약한 만큼 한은·금융당국의 집중 감시·관리 대상이다. 450만명은 직전 분기(2023년 2분기 448만명)보다 2만명 증가한 역대 최다 기록이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22.7%) 또한 사상 최대 수준이다. 다만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568조1000억원)과 1인당 평균 대출액(1억2625만원)은 직전 분기(572조4000억원·1억2785만원) 대비 3개월 사이 각각 4조3000억원, 160만원 감소했다. 각종 지표상 다주채무자들의 상환 능력도 한계에 이르렀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대출 한도 및 고금리 등으로 추가 대출을 통한 돌려막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5%로 추산됐다. 이는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들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로,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상황이다. DSR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로, 해당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보통 당국과 금융기관 등은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으로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때문에 상당수 다중채무자의 형편이 한계(70%)의 문턱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상황에 다중채무자의 26.2%(118만명)는 DSR이 70%를 넘었고, 14.2%(64만명)는 100%를 웃돌았다. 갚아야 할 원리금이 소득보다 많다는 뜻이다. 전체 가계대출자로 대상을 넓히면, DSR이 70%를 넘은 차주는 279만명(14.0%·70∼100% 117만명+100% 이상 162만명)에 이른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소득과 신용도까지 낮은 대출자들의 상환 부담은 더 심각한 수준이다.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다중채무자를 '취약 차주'로 정의하는데,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이들은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를 차지했다. 직전 분기(6.4%)보다 0.1%포인트(p) 늘어 비중이 2020년 3분기(6.5%)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을 세웠다. 3분기 말 현재 취약 차주의 평균 DSR은 63.6%였고, 취약 차주 가운데 35.5%(46만명)의 DSR이 70% 이상이었다. 이들의 대출은 전체 취약 차주 대출액의 65.8%(63조4000억원)를 차지했다. 한은도 지난해 말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취약 차주,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등 취약 부문의 대출 건전성이 저하되고 있다"며 “차주의 DSR이 오르면서 소비 임계 수준을 상회하는 고DSR 차주가 늘어날 경우, 이는 차주의 소비성향 하락으로 이어져 장기에 걸쳐 가계소비를 제약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