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12월 통화량 7개월 연속 증가...수익증권·수시입출식예금에 자금 몰려

지난해 12월 통화량이 7개월 연속 늘었다. 주식형, 채권형 펀드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수익증권에 12조원 넘는 자금이 몰렸고,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도 11조원 넘게 불었다. 한국은행이 16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평균 광의통화(M2)는 3925조4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9조7000억원(0.8%) 증가했다. 광의통화량은 지난해 6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세다. 다만 증가율은 11월 0.9%에서 12월 0.8% 증가로 증가 폭이 소폭 하락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인 M2에는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시장형상품,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기타통화성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상품별로는 수익증권과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요구불예금이 각각 12조7000억원, 11조4000억원, 10조8000억원 늘었다. MMF와 정기예적금은 각각 4조5000억원, 3조4000억원 감소했다. 수익증권은 주식형, 채권형, 파생형 펀드의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늘었다.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은 일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치노력과 정기예적금 금리하락에 따른 투자 대기자금 유입 등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MMF는 국고 여유자금 회수 등으로, 정기예적금은 지자체 재정 집행자금 인출 및 기업 연말 자금수요 등으로 감소했다.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와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 통화량이 각각 12조6000억원, 9조4000억원 늘었다. 기타금융기관도 7조1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기업은 5조9000억원 감소했다.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으로 구성된 좁은 의미의 협의통화(M1)는 1225조4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3조7000억원(2.0%) 증가했다. 협의통화량은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다. 금융기관유동성(Lf)은 전월보다 71조3000억원 늘었고, 광의유동성(L)은 전월 말 대비 5000억원 감소했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국제유가, 환율 상승에...수출입물가 3개월만에 상승 전환

국제유가,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수출입물가가 지난해 10월 이후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1월 수출물가지수는 118.63(원화 기준 잠정치, 2015년=100)으로 지난해 12월(114.95) 대비 3.2% 올랐다. 수출물가지수가 상승한 것은 지난해 10월(0.6%) 이후 처음이다. 원/달러 평균 환율이 전월 대비 1.5% 오른 가운데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오르면서 수출물가가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공산품이 전월 대비 3.2% 올랐고 농림수산품이 0.4% 상승했다. 공산품 가운데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가 7.4% 올랐고 석탄 및 석유제품도 4.2% 상승했다. 화학제품도 2.3% 올랐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D램 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가 전월 대비 17%, 16.9% 상승했다. 반도체 수출 물가는 전월 대비로 6개월 연속 상승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플래시메모리는 45% 상승했고, D램도 9.4% 올랐다. 벤젠(9.3%), 경유(5.6%), 제트유(5.4%)도 오름 폭이 컸다. 1월 수입물가는 135.44로 전월 대비 2.2% 올랐다. 수입물가 역시 지난해 10월(0.9%) 이후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두바이유가 전월 대비 2% 오른데다 원달러 환율도 상승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원재료는 광산품(3.5%)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3.5% 올랐고, 중간재는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3.7%)와 석탄 및 석유제품(2.7%) 등이 오르면서 1.6%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전월 대비 각각 1.2%, 1.8% 올랐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화학제품 가운데 부타디엔이 14.6% 상승했다. 제트유(9.3%), 견과가공품(7.4%), 천연가스(LNG·7.2%), 커피(7.1%)도 상승 폭이 컸다. 환율 효과를 뺀 계약통화기준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1.8% 올랐다.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8% 상승했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1월 취업자수 노인 35만명, 청년 ‘-8.5만명’

취업자 수가 3개월 만에 30만명대 증가세를 회복한 가운데 제조업 취업자도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다만 일자리는 노년층 중심으로 늘고 청년층에서 위축되는 흐름이었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774만 3000명이었다. 이는 작년 동월 대비 38만명 증가한 수준이다. 작년 대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작년 10월 34만 6000명에서 11월(27만 7000명)·12월(28만 5000명) 줄었다가 30만명대로 회복했다. 1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작년 3월(46만 9000명)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35만명 늘어 일자리 증가세를 주도했다. 이들 고령층 가운데서는 60대가 19만 2000명 증가했고 70세 이상은 15만 8000명 늘었다. 이밖에 30대도 8만 5000명, 50대도 7만 1000명 늘었다. 그러나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8만 5000명 줄었다. 이는 2022년 11월(-5000명)부터 15개월 연속 감소세다. 40대도 4만 2000명 줄어 19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0만 4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7만 3000명), 건설업(7만 3000명) 등에서 증가했다. 제조업 취업자도 2만명 늘어 전월(1만명)에 이어 두 달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은 4만 5000명 줄었다. 부동산업과 교육서비스업에서도 각각 2만 8000명, 1만 3000명 감소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 수요 증가와 함께 전문과학·건설업 등에서 취업자가 늘면서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1.0%로 1년 전보다 0.7%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작성 이후 1월 기준 가장 높다.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9%p 상승한 68.7%였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1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업자는 107만 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 8000명 증가했다. 작년 11월(1만 1000명)부터 세 달 연속 늘고 있다. 실업자 규모는 2022년 1월 114만 3000명 이후로 가장 많았다. 실업률은 3.7%로 전년 동월 대비 0.1%p 올랐다. 실업률은 2022년 1월(4.1%) 이후 가장 높다. 이와 관련 통계청은 “최근에 고용률이 좋고 실업자는 감소하는 상황이 누적되면서 (실업자 수가) 기저효과로 증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말연초 채용시장이 활발해지고 1월 조사 기간 공공기관 공채가 있던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구직활동을 하게 되면 실업자로 분류된다. 안효건 기자 hg3to8@ekn.kr

보조금 부정수급 700억원 적발 ‘역대 최대’…중복지급·오남용 등 사례

지난해 중복 지급과 집행 오·남용 등 부당한 사례를 통해 지급된 국고보조금이 700억원 상당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제5차 재정집행 점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보조금 부정수급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인' e나라도움'의 부정징후 탐지시스템(SFDS)을 활용해 2022년 하반기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집행된 보조사업을 대상으로 부정 징후 의심 사업 7521건을 추출해 점검했다. 점검 결과 집행 오·남용과 가족 간 거래, 중복지급, 계약 절차 위반 등 총 493건의 부정 수급 사례가 적발됐다. 작년 적발 건수(260건)와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적발 금액 역시 699억8000만원으로 작년(98억1000만원)의 7배에 달했다. 지난 2018년 탐지시스템 가동 이래 최대 금액이다. 점검을 통해 적발된 부정수급은 소관 부처에서 부정수급 심의위원회 또는 경찰 수사 등을 통해 추가 확인할 수 있다. 부정 수급으로 최종 확정되면 보조금 환수와 제재부가금 징수, 명단공표 등 제재가 이뤄진다. 정부는 작년 부정 징후 의심 사업 추출을 대폭 확대하고 기재부·부처 합동 현장점검을 강화한 결과 역대 최대 규모의 적발 실적을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보조금 부정수급 점검은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감시 사각지대 점검' 이행을 위한 조치"라며 “단 1원의 보조금도 낭비되지 않도록 끝까지 추적해 적발하겠다"고 밝혔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작년 세수 전년보다 52조원 덜 걷혀…나라살림 적자 65조원 육박

지난해 국세 수입이 1년 전보다 52조원 가까이 줄어든 가운데 11월 기준 집계한 나라살림 적자는 65조원에 육박했다. 15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2월호'에 따르면 작년 국세 수입은 344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1조9000억원 감소했다. 토지·주택 거래 감소 등에 따라 소득세가 12조9000억원 줄었고 기업실적 악화로 법인세도 23조2000억원 감소했다. 작년 세외수입은 28조5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조3000억원 줄었다. 금융영업 이자 수입이 1조5000억원 늘었지만 한국은행 잉여금이 3조7000억원 줄어든 영향이다. 국세 수입과 세외 수입, 기금 수입을 합친 총수입은 작년 1∼11월 기준 529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42조4000억원 줄었다. 같은 기간 총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73조8000억원 감소한 548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출 규모가 수입 규모를 웃돌면서 작년 11월 누적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는 19조5000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 수지를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64조9000억원 적자였다. 작년 11월 말 중앙정부 채무는 1천109조5000억원으로 전월보다 4조원 늘었다. 전년 말 대비로는 76조원 증가했다. 정부는 중앙정부 채무가 작년 말 기준으로 정부의 전망치 1101조7000억원에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2조5000억원이다. 1월 외국인 국고채 투자는 1조6000억원 순유입됐다. 기재부는 작년 말 기준 총수입·총지출, 재정수지·국가채무를 기금 결산을 거쳐 오는 4월 국가결산 발표 시 공개할 예정이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작년 제조업 국내 공급 2.4%↓…13년만에 역대 최대폭 감소

지난해 제조업 제품의 국내 공급이 1년 전보다 2.4% 감소하며 통계 작성 이후 13년 만에 최대폭으로 줄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4분기 및 연간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에 따르면 작년 제조업 국내 공급지수는 105.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4% 감소했다. 지난 201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제조업 국내 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돼 국내로 출하됐거나 외국에서 생산돼 국내로 유통된 제조업 제품의 실질 공급 금액을 지수화한 지표다. 연간 지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2020년(-1.3%) 이후 3년 만이다. 업종별로는 전자·통신 분야의 국내 공급 감소가 두드러졌다. 국산(-12.3%)과 수입(-8.6%)이 모두 줄어 전년보다 10.3% 감소했다. 기계 장비의 국내 공급 역시 1년 전보다 6.6% 줄었다. 반면 자동차는 국산(8.7%)과 수입(8.6%)이 모두 늘어 전년보다 8.7% 증가했다. 재화 종류별로는 최종재(-3.4%)와 중간재(-1.6%) 모두 전년보다 공급이 감소했다. 국내 공급 제품 중 수입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7.8%로 전년보다 0.9%포인트(p) 하락했다. 화학제품(2.1%p)과 의료정밀광학(1.7%p) 등의 수입 점유비는 전년보다 상승했지만 의약품(-3.2%p)과 비금속광물(-2.6%p) 등은 하락했다. 작년 4분기 제조업 국내 공급지수는 105.6(2020년=100)으로 1년전 분기와 비교해 3.7%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기타운송장비 공급이 23.7% 증가했지만 전자·통신(-12.5%)과 기계 장비(-10.7%) 공급은 감소했다. 제조업 국내 공급 중 수입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전보다 1.6%p 하락해 27.0%를 기록했다. 재화 종류별로는 최종재가 4.1% 감소했고 중간재도 3.1% 줄었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작년 60세 이상 자영업자 200만명 첫 돌파…개인택시·택배 등 고령층 급증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가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개인택시·택배 등 운수업에 뛰어든 고령층이 급증한 영향으로 보인다. 15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작년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전년(199만8000명)보다 7만5000명 늘어난 20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60세 이상 자영업자가 2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60세 이상 자영업자가 더 빠르게 늘면서 전체 자영업자에서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35.5%)보다 0.9%포인트(p) 상승한 36.4%를 기록했다. 자영업자는 60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50대(155만명), 40대(116만명), 30대(70만6000명), 20대(18만8000명) 등 순이었다.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8명 이상(175만명·84.8%)은 고용원 없는 '나홀로' 자영업자인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원 있는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31만5000명이었다. 50대(45만2000명), 40대(37만8000명)에 이어 3번째로 많았다. 아울러 자영업자 가운데 60세 이상 비중은 지난 2018년 29.4%에서 작년 36.8%로 높아지는 등 고령화 현상이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운수·창고업에서 최근 고령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운수창고업에 종사하는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지난 2018년 19만500명에서 작년 30만5800명으로 약 11만명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지난 2018년 농림어업, 도소매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지만 지난해 도소매업을 추월했다. 은퇴자들이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개인택시·화물차, 택배운송 등으로 흘러든 결과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운수업 취업자 중 최근 50대 이상 비중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고령자들이 다른 고령자를 돌보는 '노노케어' 등 돌봄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자영업자가 늘어난 점도 고령 자영업자가 늘어난 원인으로 분석됐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

㈜GS, 지난해 영업익 3조7179억원…전년비 27.4% 하락

㈜GS는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25조9785억원·영업이익 3조7179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9.1%, 영업이익은 27.4% 하락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5835억원으로 같은 기간 36.2% 감소했다. GS칼텍스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8조6075억원·1조6838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17%, 영업이익은 58% 줄었다. GS에너지는 매출 6조5190억원·영업이익 2조6415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16%, 영업이익은 31% 축소됐다. 여기에는 GS칼텍스 지분법평가손익이 포함된 것으로, 전력도매가격(SMP) 하락도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 GS리테일은 매출 1조6215억원·영업이익 405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5%, 영업이익은 12% 증가했다. 편의점과 수퍼의 신규 점포 출점 효과가 발생하고 호텔 나인트리 및 제주 호텔 투숙율도 향상된 덕분이다. GS EPS는 매출 1조9843억원·영업이익 4592억원을 냈다.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25% 감소했다. GS ENR은 매출 1조9201억원·영업이익 173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31% 줄었다. GS글로벌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9165억원·765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원자재값 하락 때문에 23% 축소된 반면, 영업이익은 9% 개선됐다. ㈜GS 관계자는 “계열사 배당금 수익 증가에 힘입어 별도 매출(1조48억원)과 영업이익(9184억원)이 각각 78%, 92% 확대됐다"며 “당기순이익(8773억원)도 97% 상승했고,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은 2500원으로 지난해와 동일하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1보]㈜GS, 지난해 영업익 3조7179억원…전년비 27.4%↓

㈜GS는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25조9785억원·영업이익 3조7179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9.1%, 영업이익은 27.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5835억원으로 같은 기간 36.2% 줄었다. 국제유가·정제마진·전력도매가격(SMP)이 하락한 영향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5593억원·695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영업이익은 22.5% 낮아졌다. 당기순이익은 1263억원으로 46.8% 축소됐다. GS 관계자는 “올해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정유 및 화학 제품 수요 부진 등 시장 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세계 경제의 경기 회복이 향후 실적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근로·자녀장려금, 올해 558만 가구 혜택…80만 가구 늘어

근로·자녀 장려금은 올해 558만 가구에 총 6조1000억원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국세청에 따르면 근로·자녀 장려금은 작년과 비교해 지급액이 9000억원, 지급 대상 가구는 80만 가구가 늘어난다. 작년 근로·자녀장려금은 478만 가구에 총 5조2000억원이 지급됐다. 근로·자녀 장려금은 저소득 가정의 생계와 자녀 양육을 돕는 지원금이다. 국세청은 장려금 지급 기준 총소득이 4000만원 미만에서 7000만원 미만으로 완화되면서 지급 대상이 47만 가구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작년 주택 공시가격이 전년보다 18.6% 하락한 영향으로 32만 가구가 총소득 기준을 충족해 장려금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세청은 매년 반복해서 장려금을 신청해야 하는 불편을 줄이고 실수로 신청을 누락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장려금 자동 신청 제도를 시행 중이다. 작년까지 65세 이상 고령자와 중증장애인이 자동 신청 대상이었지만 올해부터 고령자 기준이 60세 이상으로 확대됐다. 국세청은 올해 165만명이 자동 신청 제도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세청 관계자는 “민생경제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저소득 가구의 근로·자녀 장려금 신청 편의를 지속해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