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정부가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3개 분야 정밀화학소재 개발에 약 280억원을 지원한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 필수전략기술 고도화를 위한 고부가 정밀화학 소재 개발 사업 공고에 따르면 극자외선(EUV) 포토레지스트용 고순도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PHS) 소재, 이차전지 분리막용 난연성 고분자 소재 제조기술 개발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3개 분야 5개 과제에 대해서 참여기업을 선정한다. 이번 사업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제품의 성능을 고도화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을 구성하는 고부가·고기능성 정밀화학소재의 제조 기술 내재화를 목표로 한다. 먼저 반도체 분야에서는 일본의 수출규제 3대 품목 중 하나인 포토레지스트 관련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포토레지스트의 경우 불화수소, 불화폴리이미드와 달리 기술격차로 인해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상태다. 이번에 정부가 지원하는 분야는 ‘초고해상도 포토레지스트용 광산·광염기 발생제’와 ‘고순도 PHS(Poly-hydroxystyrene) 소재’ 기술 개발 등이다.이차전지 분야에서는 전기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으로 사용되는 중대형 전지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제조 기술과 국제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또 ‘리튬이차전지 분리막용 난연성 첨가제’ 제조 기술과 리튬 이차전지 양극 제조 공정에서 유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에너지 저감 코팅 공정’ 기술 등도 지원 대상이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열전도성 고유연 접착소재’ 개발을 지원한다. 소개가 개발된다면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주름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xkjh@ekn.kr반도체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