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정부가 오는 7월까지 홍수안전 확보가 시급한 포항·부산·경주에 지역 맞춤형 홍수대책을 우선 수립하기로 했다. 향후 2026년까지 34개 주요 도시에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 홍수 예방 기반시설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10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5월 15일~10월 15일)’을 맟춰 홍수 피해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가 잦아지는 가운데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8월 중부지방 집중호우와 9월 태풍 ‘힌남노’ 상륙 때 500년 빈도 비가 내리면서 30명의 인명피해와 5728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올해는 엘니뇨로 인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많이 올 것으로 우려된다. 작년 8월 집중호우 때 침수된 서울 광화문과 강남역에는 대심도 빗물터널이 건설될 예정이다. 집중호우 때 범람한 서울 관악구 도림천에는 지하방수로가 만들어진다. 태풍 힌남노에 냉천이 범람한 경북 포항시에는 항사댐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며 경기 광명시 목감천에는 강변저류지가 설치된다. 환경부는 이러한 홍수 예방 기반시설을 오는 2026년까지 34개 주요 도시별 맞춤형 대책(특정 하천유역 치수계획)을 수립해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홍수대책이 시급하다고 판단된 포항과 경북 경주시, 부산 등에 대해서는 올해 7월까지 맞춤형 홍수대책이 우선 수립된다. 이번 환경부 대책엔 이달부터 도림천 유역에서 시범운영될 인공지능(AI)·디지털트윈(가상모형) 기반 도시침수예보를 내년까지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광주 등으로 확대한다는 계획도 담겼다. 또 강 본류뿐 아니라 지류·지천까지 홍수예보가 이뤄지도록 예보지점을 현재 75곳에서 오는 2025년까지 223곳으로 늘리고 AI를 활용해 예보시점을 ‘6시간 전’으로 현재보다 2배 이르게 앞당기는 계획도 포함됐다. 국민에 전달되는 홍수 정보도 이해하기 쉽게 바뀐다. ‘현재는 00다리 관심 수위 초과’라는 식으로 공공기관에서 쓰는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는데 앞으로는 ‘00다리 인근 둔치주차장 침수 대비 수위 도달’처럼 누구나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바뀐다. 전국 홍수정보 제공 지점은 574곳으로 지난 2020년(409곳)보다 165곳 늘었다. 500년 빈도 홍수와 과거 최대홍수량 등을 포함한 홍수위험지도를 내년까지 완성하고 국가하천(67개)·지방하천(3511개) 하천범람지도와 591개 읍면동 도시침수지도 등 이미 완성된 지도는 온라인에 공개한다. 올해 여름 홍수 대책으론 댐 수위 유지를 통한 홍수조절용량 확보와 관계기관 폐쇄회로(CC)TV 영상 공유를 통한 실시간 하천 감시, 홍수 취약지구 390곳 지정과 주민-관계기관 협의체 운영, 위기대응회의 참여기관 확대 등이 제시됐다. axkjh@ekn.kr환경부 환경부 2023년 여름철 홍수대책 주요내용 2023년 여름철 홍수대책 주요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