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KTR, 안산 단원구에 경기안산센터 확대이전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KT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원장 김현철)이 경기 남부권 기업 시험인증 서비스 접근성 및 편의성 제고를 위해 안산 단원구 동산로 63의 스마트허브복합문화센터 1층으로 경기안산센터 사무실을 확대 이전하고 개소식을 개최했다. 서해선 시우역 인근에 새롭게 문을 연 경기안산센터는 국내 대표 국가산업단지인 반월 시화산업단지 등 경기 남부권역 산업단지와 인근 중소기업에게 보다 가깝고 편하게 시험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기존 안산시 단원구 지원로에 있던 경기안산센터는 시설이 노후한데다 공간이 좁아 사무실을 분리 운영해야 하는 등 기업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을 겪어 왔다. 1700여㎡ 규모로 꾸며진 경기안산센터는 보다 가깝고 편하게 산업 전 분야에서 제품 출시에 필수적인 시험인증 및 주요 수출국 해외인증 대행과 정부 지원사업, 기술서비스 등 지역 기업의 근접 지원기관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청정수소 인증,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감축량 평가지원, 탄소중립, ESG 및 의료기기, 바이오, 헬스케어 등 KTR의 특화된 시험인증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기업들은 KTR 경기안산센터를 통해 전기전자, 소프트웨어 검인증, 로봇 기능안전, 국방 및 첨단 융합산업 시험인증 기술지원 등의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전성규 KTR 부원장은 "경기안산센터 확장 이전으로 경기남부지역 기업들의 시험인증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이라며 "경기안산센터를 통해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지원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는 만큼 지역 기업의 많은 관심과 협력을 바란다"고 말했다.jjs@ekn.kr1 KTR 전성규 부원장(왼쪽 네번째)과 한국산업단지공단 박진만 경기지역본부장(왼쪽 다섯번째) 및 개소식 참가자들이 경기안산센터 개소 현판식을 하고 있다.

석유업계, 2030년까지 친환경연료에 6조 투자

[에너지경제신문 윤병효 기자] 석유업계가 수소첨가 바이오디젤(HBD) 등 친환경 연료 생산을 위해 총 6조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최남호 2차관이 오종훈 SK에너지 대표, 김정수 GS칼텍스 부사장, 류열 에쓰오일 전략관리총괄사장, 주영민 HD현대오일뱅크 대표와 만나 올해 석유업계의 주요 현안과 미래 발전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친환경 전환이라는 변화와 도전을 맞이하고 있는 석유업계와 직접 소통하며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최남호 2차관은 "석유는 민생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필수 소비재로써 국민들이 민생회복를 체감하기 위해서는 석유가격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가격 안정을 위한 업계의 적극적인 역할과 상생의 정신을 당부했다. 또한 최 차관은 석유사업법 개정을 통해 친환경 연료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토대가 구축된 만큼 업계도 보다 과감한 투자로 화답해 줄 것을 요청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석유업계는 2030년까지 친환경 연료 분야에 약 6조원을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친환경 연료는 크게 수소첨가 바이오디젤, 바이오항공유(SAF),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바이오디젤을 말한다. 최 차관은 "원유 도입부터 수출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즉시 공유하고 신시장 개척과 유망품목 발굴을 통해 수출 상승 모멘텀을 이어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산업부는 연료 확보, 세제지원 강화, 기술개발 지원, 규제개선 등 석유업계가 직면하고 있는 애로사항을 심도 깊게 논의하고,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민관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chyybh@ekn.kr2023110801010003782 GS칼텍스 여수 석유화학공장 전경.

환경재단,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환경재단은 법무법인 진성이 ‘맹그로브 100만 캠페인’ 1호 기부자로 후원금 1000만원을 기부했다고 23일 밝혔다. 맹그로브는 해양에서도 살 수 있는 특이한 뿌리 구조를 가진 나무로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한다. 1헥타르(ha)당 최소 50톤(t)에서 최대 200t 분량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어해양 생태계의 대표 탄소흡수원으로 꼽힌다. 환경재단은 지난 2015년부터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지난해까지 총 36만5243그루의 맹그로브를 심었고 동참한 시민은 총 3만1757명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올해에는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 총 10만 그루 규모의 맹그로브 숲을 새롭게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맹그로브 숲 조성이 생물다양성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 지역 생물종 다양성 연구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맹그로브 100만 캠페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환경재단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공식 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부금을 전달한 김덕현 대표변호사는 "심각한 기후변화 속에서 탄소를 줄이는 맹그로브 나무를 심는 일이 얼마나 의미있는 일인지 알게 됐고, 환경재단 맹그로브 100만 캠페인에 동참하게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맹그로브 100만 그루 심기라는 목표를 갖고 9년 전부터 방글라데시에 맹그로브를 심기 시작했다"며 "앞으로 맹그로브가 탄소 흡수가 뛰어나고, 쓰나미를 막고,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좋은 나무라는 것을 널리 알리는 등 기후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wonhee4544@ekn.krclip20240123151950 최열(왼쪽) 환경재단 이사장이 김덕현 법무법인 진성 대표 변호사로부터 ‘맹그로브 100만 캠페인’ 후원금 1000만원을 전달받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환경재단 clip20240123152524 지난해 6월 환경재단이 방글라데시 순다르반을 찾아 주민들과 함께 맹그로브를 심고 있다. 환경재단

혼합배출된 투명페트병도 식품용기로 재활용 가능해진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혼합배출된 투명페트병도 표준화된 재활용 시설에서 운영기준에 따라 처리 시 식품용기로 재활용이 가능해 진다. 환경부는 식품용기용 재생원료로서의 투명페트병 안정적 공급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식품용기 사용 재생원료 기준’ 개정안을 이달 24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한다고 23일 밝혔다.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022년부터 투명페트병을 세척, 분쇄, 용융하는 물리적인 가공과정을 거친 재생원료를 다시 식품용기인 투명페트병의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정비하고 시행 중이다. 재생원료로 제조된 식품용기의 안정성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높은 점을 고려해 별도 수거된 투명페트병만 식품용기용 재생원료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별시설과 재활용 시설도 식품용기용으로 지정된 시설에서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기준을 엄격히 했다. 하지만 아파트 등에서 별도 수거된 투명페트병의 양이 연간 전체 출고량의 7.5%에 불과해 식품용기용 재생원료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아 재생원료 공급가격도 신제품 용기 생산 원료보다 높아 식음료업체들이 재생원료 사용을 주저하게 만든 주요 요인이 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과 혼합 수거된 투명 페트병을 원료로 사용하더라도 식품 안전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표준화된 재활용 시설 및 운영 기준을 제시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혼합수거된 투명페트병을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뚜껑 및 라벨 제거→1차 광학선별→파쇄→비중분리→3회 이상의 세척과 탈수→열풍건조→2차 광학선별→먼지제거→금속선별과 같은 표준화된 과정과 운영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아울러 업체는 자사가 생산한 재생원료가 식품용기용 재생원료 품질기준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공인시험분석기관의 품질 결과를 월 1회 제출하도록 정했다. 이와 함께 이번 개정안에는 무인회수기를 통해 수거된 투명 페트병을 별도 수거된 투명 페트병으로 인정하는 등 관련 기준을 명확히 했다. 환경부는 이번 개정안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시행되면 식품 용기용 재생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투명 페트병의 물량이 대폭 늘어나고 경제성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식품 용기 재생 원료 시장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유승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혼합 수거된 투명 페트병을 선별해 재생 원료를 생산하는 것을 허용하더라도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기존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마련한 이중 검증체계가 잘 지켜질 수 있도록 기준 준수 여부 점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국은 식품 용기 등 플라스틱 용기 제조 시 재생 원료 사용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확대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이런 세계적 조류에 맞춰 오는 2030년까지 투명 페트병 등 재생 원료 사용 비율을 30%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axkjh@ekn.kr페트병 재활용 과정 페트병 재활용 과정. 연합뉴스

우라늄 100달러 돌파…원전업계 "수급 문제없어"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원자력 발전의 원료가 되는 우라늄 가격이 근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년간 전쟁과 천연가스가격 급등으로 인해 에너지가격이 오르자 원자력발전 수요가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탄소중립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붐 또한 우라늄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에너지업계에서는 세계적인 원전 확대 기조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는 분석과 연료 수급 차질을 우려하는 시선이 공존하고 있다. 23일 시장정보 제공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Trading economics)에 따르면 우라늄의 주요 거래 형태인 삼산화우라늄 현물 가격은 파운드당 106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이다. 2021년 연평균 30달러대를 기록한 것에 비해 약 3배 이상 급등한 수치다. 세계원자력협회는 원자재 가격이 파운드당 100달러 이상으로 올라 그 수준을 유지할 경우 운영 비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글로벌 리서치도 우라늄 현물 가격이 올해 파운드당 105달러, 2025년에는 115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원전업계에서는 원자력발전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23일 노동석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원자력소통지원센터장은 "최근의 우라늄 가격 상승은 주로 전력 회사들의 수요 증가에 따른 것이다. 시장에서 원전 수요가 앞으로 더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을 해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라며 "국내 원전 확대와 해외 수출을 추진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오히려 좋은 시그널"이라고 말했다. 다만 급격한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연료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원전 운영에 차질을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실제 미국 전력 회사들의 우라늄 비축량은 2016년 이후 감소하고 있다. 유럽연합 역시 2013년 이후 재고가 꾸준히 줄었다. 러시아는 전 세계 우라늄 농축 설비용량의 절반가량을 보유하고 있어 서방국들이 러시아에 대한 공급 의존을 줄이기가 쉽지 않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노 센터장은 "우라늄 수급의 차질 우려가 있는데 아직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 우리나라는 한미 원자력 협정에 따라 핵무기 개발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원자력발전소용 핵연료 수급을 보장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가 러시아산을 많이 사용한다는 우려도 다른 이유가 있는게 아니라 당장 저렴하니 많이 쓰는 것일 뿐"이라며 "미국도 러시아산이 싸서 사용했고 자국 핵연료 공장을 거의 안 돌리지 않았다. 그런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이제 러시아산 수입이 껄끄러워져 미국에서도 다시 핵연료 농축 공장 재가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전력당국은 우리나라가 우라늄을 전량 수입하고 있는데다 농축 우라늄은 러시아산 의존도가 높은 만큼 가격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력당국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용 핵연료 2년치를 항상 비축해 두고 있다. 또한 우라늄을 포함해 천연가스 등 주요 에너지 수입 가격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다"며 "전쟁이 종식되고 겨울이 지나가면 자연스레 가격이 안정화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jjs@ekn.kr우라늄 원석우라늄 가격 추이. Trading economics

전기차 충전기 시장 대기업이 주도…스타트업 약진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지난해 대기업이 전기차 충전기 보급 사업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스타트기업들의 약진도 만만치 않았다.GS에너지 자회사인 GS차지비가 지난해 완속 전기차 충전기 보급에서 선두에 섰고 그 뒤를 스타트업인 에버온, 플러그링크 등이 따랐다. 충전 속도가 빠른 급속 전기차 충전기 보급에선 대영채비가 선두에 서 스타트기업이 자존심을 세웠다. SK일렉링크, 롯데정보통신 자회사인 이브이시스, 현대엔지니어링 등 대기업 자회사들도 바짝 뒤쫓았다.□ 지난해 7kW 이상 완속 전기차 충전기 보급량 업체별 순위 (단위: 기) 순위 업체명 2022년 말 2023년 말 보급량 1 GS차지비 36,802 52,016 15,214 2 에버온 20,726 30,664 9,938 3 플러그링크 5,449 11,673 6,224 4 파워큐브코리아 26,538 32,500 5,962 5 LG유플러스 1,571 5,583 4,012 6 이지차저 5,389 9,337 3,948 7 한국전자금융 2,072 5,988 3,916 8 한화솔루션 192 3,957 3,765 9 휴맥스이브이 10,516 13,612 3,096 10 대영채비 2,378 5,383 3,005 11 신세계아이앤씨 109 2,879 2,770 12 파킹클라우드 141 1,926 1,785 13 현대엔지니어링 54 1,817 1,763 14 차지인 1,198 2,330 1,132 15 SK일렉링크 2,506 3,637 1,131 16 이앤에이치에너지 928 1,907 979 17 레드이엔지 2,191 2,932 741 18 이브이시스 144 852 708 19 스타코프 635 1,256 621 20 이브이파킹서비스 0 543 543 자료=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충전소 리스트’ 23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충전소 리스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7킬로와트(kW) 이상 완속 전기차 충전기를 가장 많이 보급한 기업은 △GS차지비(1만5214기) △에버온(9938기) △플러그링크(6224기) △파워큐브(5962기) △LG유플러스(4012기)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GS에너지는 차지비를 GS커넥트와 흡수합병해 GS차지비로 지난해 출범시켰다. 이후 GS차지비는 홈앤서비스의 전기차 충전 사업을 인수해 완속 전기차 충전기 점유율 1위를 굳건히 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초 LG헬로비전의 전기차 충전사업을 인수해 규모를 키웠다.플러그링크는 스타트업 중에서 완속 전기차 충전기를 크게 늘린 게 눈에 띈다. 지난 2022년 말 완속 전기차 충전기 누적 보급량 5449기에서 2.1배 많은 1만1673기로 늘렸다. 플러그링크는 완속 전기차 충전기 누적 보급량으로 점유율 5위까지 올라갔다.플러그링크 관계자는 "지난해 환경부 주관으로 열린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사업’를 통해 완속 전기차 충전기를 늘릴 수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급속 전기차 충전기 보급량 업체별 순위 (단위: 기) 순위 업체명 2022년 말 2023년 말 보급량 1 대영채비 1,513 3,881 2,368 2 SK일렉링크 1,655 3,522 1,867 3 이브이시스 327 2,058 1,731 4 현대엔지니어링 17 1,047 1,030 5 한국자동차환경협회 7,038 7,796 758 6 펌프킨 38 779 741 7 GS차지비 453 994 541 8 SG생활안전 0 516 516 9 이지차저 39 537 498 10 휴맥스이브이 449 941 492 11 엘에스이링크 1 394 393 12 블루네트웍스 132 510 378 13 SK에너지 183 454 271 14 서울에너지공사 52 255 203 15 파킹클라우드 0 202 202 16 한국전자금융 13 198 185 17 이카플러그 188 367 179 18 신세계아이앤씨 0 161 161 19 아이마켓코리아 18 135 117 20 타디스테크놀로지 23 123 100 자료=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충전소 리스트’ 지난해 급속 전기차 충전기를 가장 많이 보급한 기업은 △대영채비(2368기) △SK일렉링크(1867기) △이브이시스(1731기) △현대엔지니어링(1030기) △한국자동차환경협회(758기)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급속 전기차 충전기 시장은 지난 2022년 말 기준 환경부 산하기관인 자동차환경협회(34%)와 한국전력공사(24%) 양 기관이 점유율 약 59%를 차지하고 있던 시장이다. 하지만 지난해 민간기업들이 급속 전기차 충전기 보급을 늘리면서 자동차환경협회(23%)와 한전(14%)의 총 시장 점유율은 37%까지 떨어졌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민간기업들의 급속 전기차 충전기 시장 참여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가정에서 많이 쓰이는 용량이 작은 3kW 급 전기차 충전기는 지난해 말 기준 스타코프(50%), 파워큐브(26%), LG유플러스(18%)가 총 시장 점유율 약 94%를 차지했다. 환경부는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 정해진 2030년까지 전기차 420만대 보급 달성을 대비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기를 계속 늘릴 계획이다.‘2030 충전인프라 구축 로드맵’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기 총 목표 보급량은 2030년까지 123만기(완속 108만5000기, 급속 14만5000기)로 정해졌다.wonhee4544@ekn.kr전기차 충전시설.

SGC그룹, 올해 상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SGC그룹이 올해 상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SGC그룹 공개채용에는 SGC에너지와 SGC이테크건설의 총 24개 부문에서 인재를 선발한다. 지원 자격은 4년제 대학교 기졸업자 또는 올해 8월 졸업예정자로 올해 3월 입사가 가능한 자이다. 채용 절차는 서류심사, 1·2차 면접 순으로 진행되며 입사 후 서울 본사와 전국 사업장 및 현장에서 근무하게 될 예정이다. SGC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입사 지원할 수 있으며, 상세 모집요강 및 직무별 채용 공고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SGC그룹에 따르면 SGC이테크건설은 임직원의 실속 있는 휴가를 돕기 위해 국내 휴양 시설 숙박 이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안식휴가 △자녀 학자금 제공 △가족 건강검진 지원 △매주 ‘가족사랑의 날’ 실시 등 다양한 가족 친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유연근무제 시행, 사내 피트니스센터 운영도 실시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을 인정받아 SGC이테크건설을 비롯한 SGC에너지, SGC솔루션 등 SGC그룹은 지난 2021년 12월 여성가족부로부터 ‘가족친화기업’ 인증을 받았다. wonhee4544@ekn.krclip20240123092218 SGC그룹 신입사원 공개채용 포스터.

전력거래소, 올해 상반기 공개채용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전력거래소(이사장 정동희)는 올해 상반기 공개채용을 통해 총 24명(신입직 22명, 전문경력직 2명)을 채용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채용은 전년 대비 공개채용 인원을 대폭 확대(11명 → 24명)했다. 또한,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해 보훈대상자 5명, 이전지역 인재 4명, 장애인 1명 등 사회형평적 채용을 시행하며, 저소득층, 북한이탈주민, 다문화가정 자녀 등 사회적 약자를 우대하는 가점제도도 적용할 방침이다. 신입직 세부 모집인원은 △ 사무직(상경) 4명 △ 기술직 18명(전기 13명, IT 5명)이며, 전문경력직은 △ 노무사 1명 △ 기상모델링 1명이다. 전력거래소는 블라인드 채용을 원칙으로 하며 지원서 접수 시에 연령, 성별, 출신학교, 출신지역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 전력거래소의 채용절차는 서류전형→필기전형→면접전형(1차,2차) 순으로 진행되며 다음달 6일 오전 10시까지 전력거래소 채용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지원 접수 가능하다. wonhee4544@ekn.kr[이미지] 전력거래소 본사. 전력거래소 본사 전경.

서울지역 열배관 노후화 심각…이러다 백석역 사고 또 날라

[에너지경제신문 윤병효 기자] 겨울철마다 열배관 파손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수만 세대가 혹한기에 벌벌 떨어야 하는 불편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서울지역에 매설된 열배관은 상당량이 20년 이상 된 것이며, 30년 이상도 적지 않아 시급히 배관 교체 등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도 어김없이 지역난방 열공급 중단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17일 오후 3시 서울에너지공사의 신정가압장 내부밸브 고장으로 누수가 발생하면서 양천구, 구로구, 고척구 일대 3만7637세대에 온수와 열공급이 중단됐다. 사고는 다음 날 오후 2시가 돼서야 복구되면서 그동안 수만 시민들이 혹한에 떨어야 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특히 서울지역에서 열배관 사고가 더욱 잦아들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올해로 서울지역에 지역난방이 보급된 지 40년이 되는데, 그만큼 열배관이 낡았기 때문이다.서울에너지공사는 국내 최초로 1985년부터 강서구·양천구·구로구 일대에 지역난방 공급을 시작했고, 1994년부터 노원구·도봉구·중랑구·의정부 지역에도 공급을 시작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1993년부터 강남 지역에 지역난방 공급을 시작했다. 2016년 지역난방공사 국감 자료에 따르면 서울 중앙지사의 전체 배관 수 17만3152개 가운데 20년 이상 된 배관은 13만4251개로 77.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일부 배관 교체가 됐다하더라도 당시보다 8년이나 지난 점을 감안하면 지역난방공사의 서울지역 노후 배관 비중은 8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에너지공사는 지역난방공사보다 거의 10년 전부터 공급을 시작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울에너지공사의 열배관 노후화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기본적으로 열배관은 40년을 설계 수명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잦은 도로 공사, 지진, 불량 용접 등이 누적되면서 설계 수명보다 훨씬 이전부터 노후화가 진행된다. 업계는 대체로 20년 이상부터 노후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열배관 사고는 온수 사용이 급증하는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는데, 대부분은 누수로 그치지만 100도(℃)의 뜨거운 물이 분출되기 때문에 인명피해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실제로 2018년 12월 4일 경기도 고양시 백석역 인근에서 지하 열배관이 파열되면서 100도가 넘는 뜨거운 온수가 뿜어져 나와 퇴근길 행인들을 덮쳤다. 이 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화상을 입었다. 사고 원인을 조사한 결과 불량 용접부위의 노후화로 누수가 일어나 결국 대형사고로 이어진 것이었다. 노후 열배관이 ‘도심 속 지뢰’로 불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지역난방공사가 조사한 결과 2017년 기준 국내 총 2002㎞ 열배관 중 수명 20년 이상은 460㎞로 23%를 차지했으며, 매년 60㎞ 이상 증가해 2025년에는 45.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부터는 수명 30년 된 열배관이 발생하기 시작해 2025년에는 전체 열배관의 18.8%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30년 이상 열배관은 거의 서울에 집중돼 있다.정부와 사업자들은 백석역 사고 이후 열배관 안전진단만 강화할 뿐 궁극적 해결책인 새 배관으로 교체는 거의 건드리지 못하고 있다. 교체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데 사업자 대부분이 재무 악화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서울에너지공사는 1254억원 당기순손실, 지역난방공사는 184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하지만 노후 열배관을 이대로 방치한다면 잦은 사고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서둘러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업계와 전문가들은 지적한다.한 지역난방 전문가는 "서울지역의 노후 열배관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 이를 방치하면 제2의 백석역 사고가 불 보듯 뻔하다"며 "배관 교체 같은 안전에 관한 비용이 회사 재무력에 구애받지 않도록 요금에 반영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만 요금 상승으로 소비자 부담이 생길 수 있는 부분은 정부와 사업자가 충분한 설득 작업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지역난방공사는 2018년 백석역 사고 이후 ‘열수송관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수명 20년이 넘은 장기사용 배관을 단계적으로 교체하고 있다.2019년부터 2023년까지 예산 총 3992억원을 투입해 성능개선대상 구간 101.4㎞ 중 77.7㎞를 교체했으며, 서울지역은 전체 33.9㎞ 중 22.8㎞를 교체했다. 이에 따라 현재 지역난방공사의 서울지역 열배관 총길이 365㎞ 중 20년 이상은 185㎞로 50.7% 수준을 보이고 있다.공사 측은 "열배관은 순찰 및 열화상 점검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특히 20년 이상 열배관은 전문기관에 의한 안전진단을 통해 이상유무를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chyybh@ekn.kr2018년 12월 4일 경기도 고양시 백석역 인근에서 열배관이 파손돼 뜨거운 온수가 행인들을 덮쳐 1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북극한파에 이번주 추위 절정…23∼24일 전력수급 고비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북극한파로 이번 주 추위가 절정에 이른다. 오는 23∼24일에는 한파에 폭설까지 내려 전력수급에 고비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22일 기상청 ‘이번 주 추위 및 강수(22~24일) 전망’에 따르면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이번 주 전국 대부분 영하권 추위를 보이고 오는 23∼24일까지 가장 춥다가 주말 쯤 평년 기온을 회복하겠다기상청 관계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특보, 특히 일부 중부내륙지역에는 한파경보가 발표된 상황"이라며 "이번 주까지는 평년보다 낮은 기온을 유지하고 주말에 평년기온으로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다.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의 예상 최저기온은 오는 23일 -14도, 24일 -12도, 25일 -10도, 26일 -7도다. 주말에는 날씨가 풀려 27일 예상 최저기온은 -4도까지 올라간다.24일까지는 충청권, 전라권 등 서쪽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예상된다.예상 적설량은 수도권 1∼3cm, 전북 서부와 전남서해안 20cm 이상, 전북동부 3∼8cm, 충남서해안 3~10cm, 제주도 산지 60cm 이상으로 전망된다.기상청은 강약을 반복하는 순간 많은 눈이 내릴 것을 예상하며 비닐하우스 붕괴 등 시설물 피해를 유의하라고 알렸다. 25일 이후에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은 날씨가 지속된다.오는 23∼24일은 한파와 폭설이 동시에 예상되면서 전력당국의 전력수급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 올 겨울 전력수요가 이번 주에 가장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제기된다.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1월 올 겨울 최대 전력수요를 91.3∼97.2기가와트(GW)로 예측했다. 예측 범위 중 가장 높은 97.2GW는 극심한 한파와 눈까지 내려 태양광 발전 효율을 낮출 때를 가정한 전망치다.추위가 찾아오면 난방 등 가정의 전력수요는 치솟게 된다. 게다가 현재 전력수급 체계는 태양광 발전량이 줄면 전력수요도 덩달아 높아지는 구조다.전력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일부 태양광 발전량은 전력공급량에 포함되지 않고 전력수요량에서 마이너스로 분류된다. 태양광 발전이 발전을 한 만큼 가정이나 기업에서 전력소비를 줄였다고 집계되기 때문이다.오는 24일까지는 호남에 많은 눈이 예상된다. 호남에 내리는 눈은 호남에 밀집한 태양광 발전설비를 덮으면서 태양광 발전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전체 태양광 설비의 약 40%는 호남에 몰려있다. 이날 11시 30분을 기준으로 전력수요는 83.7GW에 이르렀다. 지난 주 같은 날 같은 시간의 전력수요 75.1GW와 비교할 때 8.6GW(11.4%)나 치솟았다.전력수요는 오늘을 기점으로 24일까지 전주보다 훨씬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전력거래소 관계자는 "금주 한파 지속 및 서해안 중심의 강설로 인해 전력수요는 올겨울 최대전력 91.6GW를 상회하는 92.0GW가 예상된다. 예비력은 13.8∼17.4GW로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전망한다"며 "1월 넷째 주를 ‘전력수급 유의기상 감시주간’으로 정하고 기상모니터링 강화, 회원사 정보공유 등 비상 대응력을 최고조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wonhee4544@ekn.kr22일 오전 서울 시내에 눈발이 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