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박경현 기자] 국내 카드산업은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라 온라인 결제와 새롭게 부상 중인 O2O(Online to Offline) 결제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확인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박태준 여신금융연구소 실장은 6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여신금융협회와 Visa 공동 심포지엄’에서 ‘디지털시대, 한국 카드산업의 발전방향 모색’에 대한 주제로 발표에 나서 "코로나19 이후 가속화 중인 디지털화에 따라 지급결제시장의 미래는 디지털결제로 변모할 것이란 예견이 상당히 많다. 실물카드가 없고 카드기능만 존재하는 다양한 디지털 결제수단, 특히 카드기반이 아닌 신종 후불결제수단 등이 등장하면서 카드사 고유업무가 퇴색 중인 상황"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실장은 최근 국내 카드산업은 다양하고 혁신적인 간편결제 수단과의 경쟁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며 산업 지형이 변모 중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MZ세대의 등장 △모바일·디지털지갑 활용성 확대 △BNPL이용 확대 △비접촉식결제 채택의 가속화 △소프트포스 대면 결제 가능 △O2O 비즈니스 확대 △고성능·신기술 주류 등장 가능성 고조 △개인화 및 현지화의 중요성 확대의 변화가 디지털결제 트렌드의 대표적인 현상이라는 설명이다. 최근 산업 내 디지털화의 주요 특징으로는 △비접촉식 결제기술의 발달 가속화 △소비자 결제방식 변화 △소매점의 O2O 비즈니스 전환 촉진 △새로운 지불흐름에 대한 성장기회 인식 증가를 꼽았다. 박 실장은 디지털 대전환에 따라 국내 카드산업에 나타난 변화로 "다양한 간편결제 수단이 등장했고, 비가맹점 대상과의 거래 증가, 후불결제 산업 경쟁 심화 등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이 같은 흐름 안에서 볼때 국내 카드사들은 핵심 상품을 제외하고 소비자결제나 새로운 지불 흐름과 관련해 제한적 범위 내에서 업무가 영위 중인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탭투페이와 와 P2P, B2B의 경우 혁신 금융서비스로 취급 중이며 비자나 마스터카드에 비해 업무범위가 매우 좁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디지털 대전환시대에 본격적으로 진입할 경우 현재 플라스틱과 같은 실물카드 형태의 증표방식이 점점 사라질 것이며 비가맹점 대상의 거래가 증가할 것으로 보는 한편 디지털화가 가속화될수록 카드산업의 본질이 희석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실장은 "법상 신용카드 정의부합 여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며 "실물카드없이 카드기능만 있는 카드결제와 카드기반이 아닌 신종후불결제는 사실상 동일하게 증표없는 디지털 방식의 결제방식이다. 신종후불결제업들은 현재 카드사가 적용하는 규제와 달라 규제차이에서 오는 문제가 나올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국내 카드산업의 미래발전 방향으로 여전법상 디지털 대전환에 부합하는 환경변화를 반영해 국내 카드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진화된 신용카드의 개념으로 인해 가맹점거래 확장 외에도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에서 결제가 되는 서비스 시대가 도래했다"며 "신용카드의 본질을 다양한 디지털수단으로 확장하는 한편 비접촉식 카드나 모바일지갑 범용성 확대에 따라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결제대상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프라인 결제 주도권을 가져오려는 노력과 더불어 온라인 결제와 새롭게 부상 중인 O2O 결제에서 제휴 협력 강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pearl@ekn.kr박태준 여신금융연구소 실장은 6일 오후 열린 ‘여신금융협회와 Visa 공동 심포지엄’에서 "국내 카드산업은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라 온라인 결제와 새롭게 부상 중인 O2O(Online to Offline) 결제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확인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