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서국동 NH농협손보 대표 ‘체질개선’ 팔 걷었다…위기 속 타개책은

서국동 NH농협손해보험 대표가 본격 체질개선을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1분기 하락한 실적 만회와 수익성 확대를 위한 활로 개척을 성공해낼 수 있을지 시선이 모인다. 20일 올해 1분기 농협금융지주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농협손보 1분기 당기순익은 597억원으로 전년 동기 기록한 789억원 대비 24.3% 감소했다. 이는 서 대표의 취임 후 첫 성적표로, 보험손익은 성장한 반면 채권투자 이익 감소로 인해 주춤한 결과를 나타냈다. 보험손익은 꾸준한 포트폴리오 다각화 노력 등으로 1분기 615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했다. 투자손익은 작년 1분기 543억원이었지만 올해 1분기 22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8.4% 감소했다. 농협손보의 1분기 원수보험료와 초회보험료는 각각 1조3696억원과 76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3억원, 851억원씩 늘어난 액수를 기록했다. 보험계약마진(CSM)은 2조1973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431억원 증가했다. 3월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 잠정치는 299.2%로 집계되면서 자본건전성은 업계 대비 탄탄한 수준을 견지했다. 보험 영업이 선방한 결과로 올 1분기 실적 희비를 가른 건 투자손익 부문이었다. 금리 상승에 따른 보유자산(FVPL) 평가손익 감소 영향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순이익의 감소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농협손보 관계자는 “투자손익은 특정한 회사 뿐만 아니라 채권투자가 많은 보험업권 특성상 업계 전반이 고금리영향을 받은 배경이다. 순익은 줄었지만 당초 목표한 정상 진도 이상의 수익을 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전년대비 하락한 성적으로 인해 수익성 방어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타개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서 대표는 최근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변화·혁신TF' 출범해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TF는 지난 9일 서울 서대문구 본사에서 출범식을 가진 뒤 매주 월요일 분과별 과제 진척 상황을 공유하는 회의를 통해 목표 과제를 추진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 대표를 위원장으로 산하에 4개 분과로 구성했다. 현재 △경영목표 초과 달성 △장기보험사업 활성화 △손해율 안정화 △농업보험 제도 개선 등 경영목표 달성에 필요한 총 12개 과제를 수립해 수행 중이다. 각각 경영기획부문장, 농업보험부문장, 사업지원부문장, 마케팅부문장이 분과별 수장으로 나섰다. 투자수익 부문에선 서 대표가 국내·외 증권 및 채권을 비롯해 전반적인 자금운용과 자산관리 경험을 보유한 금융 전문가로 평가되고 있어 관련 영역에서 본격 실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 대표는 앞서 농협중앙회 재직 당시 상호금융대체투자부장, 자산운용본부장을 역임했다. 보험손익 영역은 장기보험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수익성 확대 초석을 깔았다. 서 대표는 올 초 취임 후 암보험 트렌드에 맞게 중복 보장해주는 '(무)첫날부터든든한암보험'을 출시했다. 일반암을 8가지로 세분화해 1개의 담보로 최대 8번까지 보장 받을 수 있는 '통합암진단비'를 탑재한 게 특징이다. 서 대표가 올해 초 디지털 혁신과 신사업 진척에 집중하겠다는 방향성을 밝힌 만큼 새로운 영역에 대한 확장에도 나섰다. 농협손보는 상담부터 보상까지 전방위 프로세스 혁신에 나선 업계 트렌드에 발맞춘 행보에 나선 상태다. 보험사들은 최근 고객 상담 챗봇부터 AI OCR을 도입한 보험 보상, 업무자동화(RPA) 등에 주로 AI를 활용하고 있다. 농협손보는 '헤아림 AI 자동설계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해당 서비스는 고객에게 한번에 3건의 추천 설계내역을 제공해 설계 시간을 단축하고 설계사 편의성을 높였다. 농협손보 관계자는 “디지털쪽은 AI 자동설계 서비스 대상 상품, 단체보험 전용 플랫폼의 지속적인 확대 등 고객 편의를 최우선으로 생각해 개선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농협손해보험은 1분기 당기순이익이 분기목표인 330억원을 제시한 바 있다. 분기 목표는 달성한 만큼 연간목표 1500억원에 대한 달성을 위해 전사적인 노력에 나서고 있다는 설명이다. 농협손보 관계자는 “TF 발족 후 월요일마다 과제별 진척 상황을 발표하는 회의가 두 번 있었다. 최근 경제상황 고려 시 연간목표 달성을 위해 전사적인 노력에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대구은행, 제4인뱅의 도전…‘기업금융’이 격전지로

기존 은행권에 뛰어드는 새 플레이어들이 '기업금융'을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다. 시중은행 전환에 성공한 DGB대구은행과 제4인터넷전문은행을 준비하는 도전자들은 중소기업·소상공인 등 기업금융 강화를 목표로 새 영업망 구축에 힘을 실을 예정이다. 기존 시중은행들의 기업금융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플레이어들의 등장까지 더해져 기업금융이 은행권의 격전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16일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받은 대구은행은 중소기업들에게 찾아가는 '관계형 금융' 서비스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관계형 금융은 금융회사가 기업 등과 거래할 때 신용등급·재무비율 등 정량적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인 거래나 관찰 등을 통해 얻은 비계량적 정보를 바탕으로 대출 등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에 정량적인 방식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기업의 성장 가능성, 사업 역량 등을 파악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만큼 금융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중신용 사업자들에게 도움이 된다. 앞서 대구은행은 지난 2월 금융위원회에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신청하며, 57년간 축적해 온 사업 노하우를 활용해 관계형 금융, 포용금융 등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 금융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과 중·저신용자에 대한 은행업권 경쟁을 촉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금융위원회 또한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발표하며 “대구은행은 그동안 지방은행으로서 축적한 관계형 금융 노하우와 영업구역 확대에 걸맞은 리스크 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중신용 중소기업와 개인사업자에 대한 여신 규모를 확대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서 기본이 되는 개인금융은 물론 기업금융을 중심으로 한 자산 확대를 통해 전국구 은행으로 역할을 할 것이란 설명이다. 제4인터넷은행을 준비하고 있는 도전자들도 기업금융을 핵심 사업으로 보고 있다. 유력 후보로 여겨지는 한국신용데이터(KCD) 컨소시엄과 더존비즈온이 추진하는 더존뱅크 컨소시엄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특화 인터넷은행을 설립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그동안 새로운 인터넷은행 등장에 시중은행들은 시큰둥한 분위기였지만, 기업 특화 인터넷은행이란 점이 눈길을 끌며 KCD 컨소시엄엔 우리은행이, 더존뱅크 컨소시엄엔 신한은행이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개인금융 중심으로 영업을 하고 있고 있는 기존과 같은 인터넷은행이 출범한다면 은행들이 관심을 두지 않겠지만 기업 특화 인터넷은행으로서의 가치가 부각되는 것 같다"며 “대형은행들도 인터넷은행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있어야 하는데, 기업금융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형은행들이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중은행들도 기업금융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개인금융이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데다 정부 규제에 개인대출을 적극적으로 내주기 어려워 기업금융을 돌파구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644조8235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7563억원(0.7%) 늘었다. 지난해 말(630조8855억원)과 비교해 올 들어 4개월 동안 13조9380억원(2.2%)이 증가했다. 앞서 BNK금융지주는 1분기 실적 발표 기업설명회(IR)에서 기업금융을 설명하며 “1분기에 시중은행들이 기업대출에 굉장히 적극성을 보이면서 저희의 거점지역인 부울경 지역에도 들어왔다"며 “전반적인 수요, 경쟁 압력 등을 고려하면 원화 대출 성장 계획에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들도 기업금융을 강화하고 있어 새 플레이어들이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며 “특히 소상공인들의 경우 경기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리스크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1분기 서프라이즈’ 달성...금감원장과 뉴욕 간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

현대해상이 1분기 우수한 실적을 달성하며 벌써부터 배당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은 이번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해외 투자설명회(IR)를 위해 뉴욕 출장길에 올랐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대해상은 1분기 당기순이익 47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4% 증가했다.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이다.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2.3% 증가한 6411억원이었다. 특히 보험손익은 5329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6.6% 불었다. 보험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은 제도 변경으로 미보고발생손해액(IBNR) 기준일이 조정됨에 따라 기존 실손 계약으로 분류되던 계약들에서 2264억원 규모의 환입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일회성 요인이긴 하지만 이를 제외해도 1분기 실적은 시장 추정치에 부합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장기보험 손익은 1450억원으로 전년 대비 206.4% 증가했다. 일반보험 손익은 고액사고 감소 등의 영향으로 82.6% 증가한 260억원이었다. 반면 자동차보험 손익은 1월 폭설 등 계절적 요인에 따른 손해액 증가로 보험손익이 전년 대비 43.% 감소한 760억원이었다. 투자손익은 10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8% 감소했다. 1분기 배당금, 분배금 유입으로 평분기 대비 양호한 투자손익을 시현했지만, 지난해 약 1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관련 수익증권 평가이익이 일회성으로 반영되면서 전년 대비로는 감소했다. 1분기 현대해상의 보험계약마진(CSM)은 9조10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늘어 견조한 증가세를 시현했다. 보험사의 자본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신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은 1분기 현재 167.8%로 작년 말(173.2%) 대비 5.4%포인트(p) 내렸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현대해상은 2분기 중 후순위채 발행을 준비하고 있고, 재보험출재 등 위험액 관리를 통해 올해 (킥스비율이) 180%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업계 안팎에서는 현대해상이 1분기 일회성 요인 등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둔 만큼 올해 연간 순이익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이 회사 올해 별도 순이익이 1조2130억원으로 전년 대비 50%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해당 순이익에 작년 배당성향 20%를 적용하면 올해 주당배당금(DPS)은 3100원, 배당수익률은 9.1%에 이른다. 지난해 주당배당금(2063원), 배당성향(5.9%)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오른 수치다. 다만 현대해상이 배당성향을 늘리거나 중장기적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해약환급금준비금 산출 기준 변경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회사는 1분기 현재 해약환급금준비금 3조9753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528억원 증가했다. 해약환급금준비금은 지난해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시행 이후 발생할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신설된 계정으로, 계약자가 계약을 중도에 해지할 경우 회사가 돌려줘야 하는 금액이다. 금융당국은 IFRS17 도입시 회계상 해약환급금 부족액을 이익잉여금 안에 '해약환급금준비금(법정준비금)'으로 적립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해약환급금준비금은 법정준비금이기 때문에 과세와 배당에서 제외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3월부터 보험업계와 해약환급금준비금 관련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법인세 세수 확보를 위해 해약환급금준비금 산출 기준을 변경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해약환급금준비금 산출 기준이 바뀌면 배당가능이익도 크게 개선되기 때문에 주주환원 관점에서 긍정적이다. 이 가운데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IR 행사 참석차 뉴욕으로 출국했다. 이 자리에서 조 부회장은 이복현 원장과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주주환원책에 대해 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대해 보험업계 관계자는 “해약환급금준비금 제도 개선은 당국에서 논의 중인 사안으로, 아직 당국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삼성생명, 일회성요인에 1Q 주춤…“향후 수익성은 견조”

삼성생명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10.3% 감소했다. 일회성 변동 요인으로 인해 하락했지만 건강보험에 집중한 결과 신계약 보험계약마진(CSM)이 성장하는 등 지표가 양호해 고수익 건강보험 수익성은 견지하다는 평가다. 삼성생명은 16일 2024 회계연도 1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12.0% 감소한 622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9조319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7% 줄었고, 영업이익은 7463억원으로 15.4% 줄었다. 이는 일회성이익을 반영한 결과로, 이를 제외하면 작년 동기 대비 순이익이 9% 가량 증가했다. 삼성생명은 지난 1분기 퇴직연금 해지 패널티익과 저이원채 교체매매 등 일회성이익이 1370억원 발생했다. 보험서비스손익은 전년보다 34.1% 감소한 268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제도 변경에 따른 미보고발생손해액(IBNR) 추가 적립 반영의 영향이다. IBNR은 보험사고가 발생했으나 아직 보험사에 청구되지 않아 사고에 대해 향후 지급될 것으로 추정하는 보험금으로, 지급준비금으로 편성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IFRS17 도입 후 사고발생일과 보험금신청일로 나뉘어있던 사고일자의 기준을 원인사고일(사고발생일)로 통일해 IBNR 적용계수가 일관되도록 제도를 조정했다. 이에 삼성생명은 1분기 중 약 780억원의 부담이 추가로 발생했다. 다만, 이는 이번 조정에 따른 일회성 요인으로, 이후 지속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전망이다. 투자손익은 5630억원을 기록했고 투자손익은 0.6% 상승했다. 삼성생명은 “IBNR에도 안정적 CSM 상각익을 통한 보험서비스 손익을 확보했다. 투자손익은 전년 대규모 일회성 손익(퇴직연금 해지 패널티, 저이원채교체매매)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견조한 수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CSM 변동은 긍정적인 수치를 가리켰다. 3월 말 기준 CSM은 12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대비 10.6% 늘면서 3000억원 증가했다. 신계약 확대 및 보유계약 효율 관리를 통해 전년말 대비 상승했다는 설명이다. 신계약 CSM은 건강보험 상품 비중을 늘려 영업에 집중한 결과 작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8576억원을 기록했다. 신계약 CSM 내 건강보험 비중은 53.5%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21.6%p 확대돼 3분기 연속 늘어났다. 보험료를 연기준으로 환산한 개념인 신계약 연납화보험료(APE)는 월 평균 3379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2.6% 상승했다. 보장성 신계약 APE는 월 평균 2833억원으로 66.4% 증가했다. 보장성 유지율 지표는 견조하고 손해율은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됐다. 13회차 보장성 유지율은 89%로 전년 동기대비 1% 올랐고 25회차는 70%로 이전 수준을 유지했다.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K-ICS, 킥스) 비율은 관련 제도 강화 영향으로 지난 3월 말 약 210% 수준으로 일시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금융당국은 회계제도 강화에 나서 보험부채 할인율 기준 변경과 기초가정리스크 신설 등을 요구했다. 삼성생명은 신계약CSM 확대와 금리 및 주가 상승으로 점진적 증가를 예상하고 있다. 향후 킥스 비율은 200~220% 범위 내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날 오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이지선 삼성생명 RM팀장은 “주주환원정책의 적정 지급여력비율은 200~220%로 올해 3월말 210%를 달성했고, 2026년까지 할인율 인하 등이 예정됐지만 단계적 시행인 만큼 영향도 단계적으로 미칠 것으로 보며, 신계약 플러스 수준까지 고려했을 때 목표수준이 관리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삼성생명은 단기납 종신보험 판매 완화에 따른 판매량 감소에 대응해 수익성 중심의 상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CSM 마진과 총량 증대를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권영임 상품팀장은 “고수익건강보험 상품경쟁력 확대와 환급형 건강보험 포트폴리오 확대로 수익성이 하락했으나 물량확대에 힘입어 신계약 CSM은 당초 예상보다 늘어난 2895억원을 확보했다"며 “2분기 이후에도 현재와 같은 건강보험 판매를 지속할 예정이고, 고수익성 상품과 종신상품도 포트폴리오 관리를 통해 월 2700억원 이상 견지해 연간 3조2000억원 이상이라는 목표를 추진하기위해 전사가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iM뱅크’된 DGB대구은행…‘과점 깨기’ 시동

DGB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인가를 받으며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이 탄생했다. 대구은행은 '아이엠(iM)뱅크'로 이름을 바꾸고 전국구 영업을 시작한다. 특히 그동안의 노하우를 살려 중신용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에 대한 여신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했다. 시중은행이 탄생한 것은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이다. 대구은행은 신한·우리·하나·한국씨티·KB국민·SC제일은행에 이은 7번째 시중은행이 됐다.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은 지난해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의 과점을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 중 하나로 제시한 것이다. 지난해 7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 논의 결과를 발표하며 5대 은행을 중심으로 형성된 과점체제를 깨고 은행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은행권의 신규 플레이어 진입을 허용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 전환에 제약이 없던 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면서 본격적인 시중은행 전환 절차에 들어갔다. 대구은행은 시중은행 최소자본금 요건(1000억원)과 지배구조 요건(산업자본 보유한도 4%·동일인 은행 보유한도 10%)을 모두 충족한다. 대구은행은 지난 2월 지방은행 최초로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신청했으며 3개월 만에 심사를 통과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번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으로 새롭게 진출하는 영업구역 중심으로 은행간 경쟁이 촉진되고, 이에 따른 소비자 후생 증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구은행은 6월께부터는 시중은행으로 본격적인 영업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대구은행은 사명을 iM뱅크로 바꾸고 전국구로 영업망을 확대할 예정이다. 대구은행은 시중은행 전환 후 비전으로 '전국의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뉴 하이브리드 뱅크'를 제시한 상태다. 디지털 접근성·비용 효율성을 갖춘 인터넷전문은행의 장점과 중소기업 금융 노하우 등 지역은행의 장점을 함께 갖춘 새로운 은행으로 모습을 갖추겠다는 의미다. 대구은행은 수도권과 충청·강원 등에 향후 3년간 영업점 14개 등을 신설할 예정이다. 또 대구은행의 자체 비대면채널 앱 고도화, 외부플랫폼과 제휴 확대 등을 통해 고객 접근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낮춰 낮은 금리의 다양한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그동안 지방은행으로서 축적한 관계형 금융 노하우와 영업구역 확대에 걸맞은 리스크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중신용 중소기업·개인사업자에 대한 여신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지방에 본점을 둔 시중은행'으로서 시중은행 전환 이후에도 대구·경북권 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 후 곧바로 시중은행의 메기 역할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중은행이 32년 만에 새로 탄생했다는 점은 고무적이란 평가다. 당장 대구은행은 시중은행과 체급 차이가 크기 때문에 자산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구은행의 자산 규모는 약 80조원으로, 자산 1위인 KB국민은행(약 540조원)의 7분의 1 수준이다. 이와 함께 금리 경쟁력을 가지고 기존 시중은행의 고객을 끌어당길 수 있어야 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당장 금리 경쟁을 통해 고객을 확대할 수 있어야 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관리할 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대구은행과 시중은행의 체급 차이 때문에 대구은행이 단시간내 큰 반향을 일으킬 것 같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 어떻게 덩치를 확대해야 하는 지 봐야 할 것"이라며 “32년 만에 시중은행이 새로 탄생했기 때문에 은행권 변화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이복현 “PF 정상화 첫 단계는 ‘엄정한 옥석가리기’...사후관리 강화해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사에 “엄정한 옥석가리기가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한 첫 단계"라며 철저한 평가와 사후관리를 주문했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해외 투자설명회(IR)를 위해 출장 중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본원, 뉴욕·런던사무소를 화상으로 연결해 시장동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부동산 및 금융시장 전문가와 함께 부동산 PF 연착륙 방안 발표 이후 시장 상황을 진단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이달 13일 발표한 부동산 PF 연착륙 방안에 대해 “이번 대책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PF 시장의 자금 선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라며 “후속조치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빈틈없이 관리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엄정한 옥석가리기'가 PF 정상화를 위한 첫 단계"라며 “개선된 평가 기준에 따라 금융회사가 엄정히 평가하도록 철저히 관리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평가결과 사업성 부족 사업장의 경·공매, 실질적 재구조화 및 정리 등 PF 연착륙 방안에 따른 가시적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현장점검 등을 통한 사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신디케이트론 등 민간 차원의 수요기반 확충과 재구조화, 신규자금 공급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을 철저히 준비하고 조속히 실행하겠다"며 “PF에 민감한 금융회사별 건전성 및 유동성 상황을 정밀 분석하고, PF-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 건설채 발행, 상환 및 금리 동향 등을 밀착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뉴욕 IR 준비과정에서 국내 PF 문제에 대해 해외 투자자들도 높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는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선진국들도 고금리 상황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에 기인한 부동산 금융의 위험성 평가 및 대응방안 마련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앞으로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 방안이 계획대로 실행될 경우 우리나라 금융에 대한 해외의 신뢰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복현 원장은 PF시장 참여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5월 중 건설업계와 추가 간담회를 추진한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작년 4분기 상장 중소기업 3606억원 적자...올해 실적개선 기대”

지난해 4분기 비금융 상장 중소기업 650곳이 360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금리,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중소기업 내 비중이 높은 IT, 산업재, 소재 등의 매출액이 부진한 영향이다. 다만 올해는 수출 증가, 설비투자 반등에 따른 국내 경제 성장률 회복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매출액 1000억원 미만 비금융 상장 중소기업 상위 650곳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매출액은 8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했다. 4분기 연속 역성장이다. 고금리,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중소규모 기업 내 비중이 높은 IT(-3.8%), 산업재(-4.5%), 소재(-3.3%)업종의 매출이 크게 부진했다. 영업손실은 3606억원, 영업이익률은 -4.2%였다. 지난해 4분기 절반 이상인 355개 업체가 영업적자를 기록했으며, 작년 1~4분기 연속 적자 기업은 219곳으로 전체의 34%에 달했다. 영업이익률은 2011년 이후 최저치였다. 작년 4분기 23개 업종 가운데 영업이익이 증가한 업종은 조선, 게임, 화학, 통신장비로 4곳에 그쳤다. 조선업종의 경우 신조선가 상승, 글로벌 선박·해양설비 발주 확대 등 조선업황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기자재 업체들의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게임업종은 넵튠이 히트작 출시와 광고 플랫폼 등 게임 외 사업 호조로 지난해 22억원의 영업이익 흑자를 시현했다. 2022년에는 287억원의 손실을 봤다. 다만 코로나19 특수 소멸과 인건비 상승으로 중소형사의 실적은 대체로 부진했다. 게임업종 11개 업체 가운데 8곳이 작년 4분기 영업적자를 시현했다. 반면 핸드셋, 반도체장비·제품, 컴퓨터·주변기기, 디스플레이장비·부품, 건설·건자재, 기계, 철강·비철금속은 영업적자가 심화됐다. 이 중 건설·건자재 업종은 부동산 경기 냉각,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부각으로 분양, 착공이 지연되고, 공사비, 원자재 가격 부담 누증으로 적자가 커졌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올해 상장 중소기업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증가, 설비투자 반등에 따른 국내 경제 성장률 회복이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내수 비중이 큰 중소기업 실적은 수출의 낙수 효과가 크지 않고, 생산원가뿐 아니라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성장성, 수익성 회복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공급과잉 완화, 제품가격 상승이 기대되는 반도체를 비롯해 IT업종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소재 및 화학업종은 공급과잉 문제, 탈탄소화 이슈 등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회복세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소는 “금융회사는 거시경제환경과 업황에 민감한 중소규모 기업의 특성을 고려해 성장성,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업종을 중심으로 영업기회를 발굴해야 한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연체채권 정리규모 확대...3월 은행 연체율 0.08%p 하락

3월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전월 대비 0.08%포인트(p) 하락했다. 분기말 연체채권 상각, 매각이 확대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대내외 불안 요인으로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상황이 지속되면서 연체율이 오를 가능성이 큰 만큼 이에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1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43%로 전월 말(0.51%) 대비 0.08%포인트(p) 내렸다. 1년 전(0.33%) 대비로는 0.10%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3월 말 연체율은 신규발생 연체채권이 감소하고, 분기말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확대되면서 전월 말 대비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3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4000억원으로 전월(2조9000억원) 대비 5000억원 감소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4조2000억원으로 전월(1조3000억원) 대비 2조8000억원 증가했다. 3월 중 신규연체율은 0.11%로 전월(0.13%) 대비 0.02%포인트 내렸다. 1년 전(0.08%) 대비로는 0.03%포인트 올랐다. 부문별로 보면 3월 말 현재 기업대출 연체율(0.48%)은 전월말(0.59%) 대비 0.11%포인트 내렸다. 이 중 대기업대출 연체율(0.11%)은 전월말(0.18%) 대비 0.07%포인트 내렸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70%) 대비 0.12%포인트 내린 0.58%였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7%로 전월 말(0.42%) 대비 0.05%포인트 하락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27%) 대비 0.02%포인트 내린 0.25%였다. 신용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월 말(0.84%) 대비 0.11%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최근 대내외 불안 요인 등으로 인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상황이 지속되면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금감원은 “연체우려 차주 등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은행권이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상·매각 등)를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토록 하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부동산 경기 침체에...온투업 연체율 8.4%, 주담대 연체율 10%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오르면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P2P업) 연체율이 8.4%까지 치솟았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온투업체 53곳의 연체율은 8.4%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4.7%) 대비 3.7%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온투업은 온라인 플랫폼으로 개인투자자, 법인투자자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해 대출해주고, 투자자에게 원리금 수취권을 부여하는 금융서비스다. 온투업권의 연체율이 급등한 것은 부동산 시장 냉각으로 담보가치가 하락하면서 주담대 연체율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작년 온투업 주담대 연체율은 10.2%로, 전년 말(4.5%) 대비 5.7%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말 온투업 연계대출 취급 총액 1조1013억원 가운데 주담대는 5944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주담대 연체율이 오르면서 전체 연체율도 상승한 것으로 해석된다. 비주택담보대출은 작년 말 기준 772억원으로 전체 연계대출 취급액의 7%를 차지한다. 비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10.7%에서 작년 말 32.8%로 22.1%포인트 치솟았다. 전체 대출 취급액 가운데 3.5%(390억원)를 차지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도 이 기간 2.0%에서 20.1%로 급등했다. 금융감독원은 연체율이 15%를 넘어선 업체를 대상으로 연체율 관리계획 등 자료를 제출받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연체율이 15%를 넘어서는 온투업체는 총 11곳에 달했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우리금융, 출범 증권사 사명 ‘우리투자증권’ 정관에 명시

우리종합금융이 한국포스증권과 합병을 추진하는 가운데 합병 법인의 이름을 '우리투자증권'으로 계약서에 명시됐다. 우리종합금융과 한국포스증권은 금융당국 인가 등의 절차를 밟아 올해 3분기 중 합병증권사를 출범하고 영업을 개시할 계획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종합금융은 이달 3일 포스증권과 합병하면서 계약서에 첨부된 정관에 법인 상호를 주식회사 우리투자증권으로 기재했다. 앞서 우리금융지주는 이달 초 우리종합금융과 포스증권 간 합병을 발표하며 “합병증권사 사명으로 우리투자증권을 최우선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이미 내부적으로는 해당 명칭을 사용할 준비를 마친 셈이다. 우리금융지주는 20년 전 LG투자증권을 인수해 우리투자증권을 처음 출범시킬 당시부터 '우리투자증권' 명칭 소유권을 보유 중이다. 우리금융은 2014년 NH농협금융지주에 우리투자증권을 매각하고, NH투자증권으로 사명이 바뀐 후에도 우리투자증권 명칭을 계속 보유했다. 특히 합병 증권사에 '우리투자증권' 명칭을 사용하는 데는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임 회장은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이던 2013년 말 우리금융으로부터 우리투자증권 등을 패키지로 인수해 NH투자증권을 출범시킨 당사자다. 임 회장을 비롯한 우리금융 내부에서도 우리투자증권에 대한 애정이 많다는 후문이다. 우리금융은 우리종합금융의 강점인 기업금융(IB)과 포스증권이 경쟁력을 보유한 디지털을 중심으로 국내 증권사의 위상을 확보할 방침이다. 향후 사업부문을 리테일, 세일즈앤트레이딩(S&T) 등으로 확장하는 한편 유상증자, 자체성장 등을 통해 출범 10년 안에 업계 10위권으로 도약한다는 포부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