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토스뱅크 연 흑자 신호탄…인터넷은행, 지방은행 잡는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성장세를 거듭하면서 지방은행을 위협하고 있다. 인터넷은행 후발주자인 토스뱅크까지 올해 연간 흑자 전환을 노리면서 1분기 100억원 이상의 흑자를 기록했다. 지방은행들은 1분기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확대 등에 따라 충당금을 대거 쌓으면서 순이익이 부진했다. 영업 지역에 제약이 있는 지방은행과 달리 인터넷은행은 전국구 영업을 하며 몸집을 키우면서 지방은행 자리를 파고들고 있다. 22일 하나금융지주 공시에 따르면 토스뱅크는 1분기 148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384억원 순손실을 기록하다 3분기부터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3분기에는 86억원, 4분기에는 12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지난해 연간 17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올해는 연간 흑자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1분기에 가장 많은 분기 순이익을 내며 연간 흑자 전환의 신호탄을 솼다. 올해 토스뱅크가 연간 흑자를 기록하면 2021년 10월 출범 후 약 3년 만이다. 토스뱅크는 1분기 실적을 오는 31일 공시할 예정이다. 올해 1분기 인터넷은행이 역대급 성적을 기록하면서 지방은행과 격돌하고 있다. 앞서 1분기 성적을 발표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모두 성장세를 보이면서 역대 최대 분기 순이익 기록을 세웠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늘어난 1112억원이었다. 케이뱅크 순이익은 507억원으로 전년 동기(104억원) 대비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인터넷은행은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에 따라 전국 고객을 끌어들이면서 몸집을 키우고 있다. 올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대환대출 플랫폼이 정식으로 시작되자 인터넷은행은 낮은 금리의 경쟁력을 앞세우며 성과를 보고 있다. 카카오뱅크에서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의 62%, 전월세보증금대출의 45%가 대환대출로 확인됐다. 케이뱅크의 경우 아파트담보대출의 신규 대출 중 67%가 대환대출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은행은 지역 경기에 큰 영향을 받고 있고 부동산 PF 부실 위험에 따른 충당금을 대거 쌓으며 1분기 실적에 타격을 받았다. 순이익은 부산은행이 전년 동기 대비 13.8% 감소한 1252억원, 대구은행은 6.5% 감소한 1195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BNK경남은행(19.1%↑), 광주은행(0.1%↑), 전북은행(5.5%↑), 제주은행(31.4%↑)은 모두 전년 대비 성장했는데, 순이익은 각각 1012억원, 733억원, 563억원, 43억원이었다. 결과적으로 카카오뱅크 순이익은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을 앞서면서 부산은행, 대구은행과 맞먹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부산은행과는 140억원, 대구은행과는 83억원의 순이익 차이가 나는 것에 그친다. 케이뱅크 순이익도 크게 성장하며 전북은행 뒤를 바짝 뒤쫓고 있다. 전북은행 순이익과는 56억원 차이가 난다. 자산 규모를 봐도 카카오뱅크가 부산은행, 대구은행에 이어 세번째로 많다. 카카오뱅크 자산은 60조원, 케이뱅크는 21조원이다. 지방은행의 경우 부산은행 78조원, 대구은행 74조원, 경남은행 51조원, 광주은행 30조원, 전북은행 24조원, 제주은행 7조원 순이다. 토스뱅크는 약 26조원이다. 인터넷은행은 부동산 PF 등 굵직한 리스크 제약이 없어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지방은행의 경우 지역 경기가 회복되지 않고 있는 데다 부동산 시장 상황이 언제 좋아질 지 미지수라 올해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조아해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뱅크의 경우 대출성장이 아닌 수신으로 자금운용자산에 집중하는 것으로 전략이 변화했는데, 중장기적으로 비이자이익 개선의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작년 금융공공기관 대위변제액 13조원...전년 대비 2배 급증

지난해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빚을 제때 상환하지 못하는 서민, 소상공인이 늘면서 금융공공기관의 대위변제액이 전년 대비 2배 넘게 불었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증사업을 수행하는 13개 금융공공기관, 금융공기업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보증기관의 지난해 대위변제액은 13조4412억원이었다. 이는 전년(5조8297억원) 대비 130.6% 증가한 수치다. 대위변제는 차주가 원금을 상환하지 못할 때 정책기관이 은행에 대신 빚을 갚아주는 것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금융공사, 서울보증보험, 서민금융진흥원, 신용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등 13개 보증기관 가운데 가장 대위변제액이 많은 곳은 주택도시보증공사였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지난해 대위변제액은 4조9229억원으로 2022년(1조581억원) 대비 365.3% 불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세사기, 전세금 반환보증 사고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신용보증기금과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대위변제액도 늘었다. 신용보증기금 대위변제액은 2022년 1조3599억원에서 2023년 2조2759억원으로 67.4% 증가했다. 지역신용보증재단 대위변제액은 이 기간 5076억원에서 1조7126억원으로 237.4% 늘었다. 주택금융공사는 2022년 3375억원에서 지난해 6357억원으로 늘었다. 기술보증기금도 대위변제액이 지난해 9596억원으로 전년(4946억원) 대비 불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2022년 3673억원에서 1조149억원으로, 서울보증보험은 1조2409억원에서 1조6464억원으로 증가했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더 졸라맬 수도 없는데”...당국 추가상생 요구에 2금융권 난색

금융위원회의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에 따라 정책서민금융 재원 확보를 위한 금융권의 추가 출연이 예상되고 있다. 2금융권에서는 업황 악화로 수익성 방어가 어려운 상황에서 추가 재원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에 대한 금융사 공통출연 요율을 올리는 내용의 서민금융법 시행령 개정안을 이날부터 입법 예고한다고 전날 발표했다. 개정안에 따라 금융사는 서금원에 출연하는 공동출연금 요율을 현행 가계대출액의 0.03%에서 △은행은 0.035% △보험·상호금융·여신전문·저축은행 등은 0.45%로 올려 내년 말까지 적용한다. 금융위는 공통출연 요율 인상과 차등출연 요율 인하를 고려해 금융사가 내년 말까지 서금원에 추가로 출연하는 규모가 1039억원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금융권은 현재도 수익성 악화 환경을 감수하고 상생금융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서민경제가 어려워짐에 따라 금융권이 느끼는 부담도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목소리다. 서금원은 코로나19 등 여파로 경제여건 악화에 대응하고자 정책서민금융공급을 확대해 왔다. 현재 금융사들은 월간 가계대출 평균 잔액 등을 기준으로 매달 출연금을 내고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서민금융의 지속적인 공급 확대에도 고금리·고물가 등 서민금융 지원필요성이 가중되면서 이 부담이 고스란히 금융권으로도 전가되는 양상"이라고 토로했다. 은행권보다 요율이 높게 매겨진 2금융권은 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2금융권 사이에서는 고물가와 고금리에 대한 서민 등 취약계층과 고통을 나눠야 한다는 당국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업황 악화에 직면한 상태에서 추가 출연이 다소 부담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올 들어 2금융권의 상생금융 추진 현황은 저축은행 등 중소금융권 3000억원, 카드·캐피털업계 2200억원 등 규모가 시행 중이다. 2금융권 중에서도 카드업권의 경우 건전성 지표 악화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더불어 올해 결정되는 가맹점 수수료율이 현재보다 낮게 재산정될 경우 건전성이 더 위협받을 수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한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3월말 기준 하나카드 연체율은 2.3%로 지난해 말보다 0.31%p 상승했다. 이 외에도 우리카드, 국민카드, 롯데카드, 신한카드 등이 2%에 근접하거나 넘어선 수치의 연체율을 가리키고 있다. 카드사들은 차주들의 상환능력 악화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쌓게 되는데 지난 1분기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간신히 실적을 방어한 상태다. 보험사들 중에선 특히 생명보험사들 상황이 녹록지 않다. 생보사들은 추가 적립금 부담에 1분기 실적이 급감했다. 삼성생명은 올해 1분기 순익 66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줄었다. 한화생명은 올해 1분기 순이익이 36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5% 급감했고, 교보생명은 38.7% 줄어든 2933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일각에선 정책서민금융 재원 확보를 위해 금융사 출연 외에 정부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민금융 지원에 추가적인 재원 확보가 필요한 건 사실이지만 정부 차원의 재정 지원을 병행하는 방식이 보다 효과가 클 텐데 정부 재정 투입 금액은 줄어드는 추세기에 아쉬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국가 재정 투입은 2021년 2600억원에서 지난해 240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올해 정부 재정은 약 1460억원 가량 투입됐다. 아울러 비용증가 부담은 향후 일반대출 가산금리를 끌어올려 또 다른 소비자에게 부메랑으로 작용할 수 있단 시각도 있다. 금융위는 정책서민금융상품의 기본 성격은 대출이지 복지 지원금의 개념이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다. 금융권이 상품 조건에 맞춰 대출을 실행하면 서금원이 보증을 서는 형태다. 여기서 연체 등 부실이 발생하는 데 있어 신규 재원을 투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은행권과 2금융권의 요율을 달리 설정한 데 대해선 “은행권은 지난 3월 발표한 '민생금융지원방안'에 따라 서금원에 총 2214억원을 별도 출연할 예정임을 감안해 업권별로 공통출연요율을 달리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연 3.5%도 높네”…은행, 기준금리 보다 더 주는 예금 5개 불과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기준금리 수준인 연 3.5%보다 많은 기본금리를 주는 정기예금은 5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이 나오고 있지만 은행권 수신금리는 금리 인하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21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권의 1년 만기 단리 기준 총 35개의 정기예금 중 기준금리인 연 3.5% 보다 높은 기본금리를 주는 상품은 5개에 그쳤다. 가장 높은 기본금리를 주는 상품은 DGB대구은행의 DGB함께예금으로 연 3.7%의 금리를 적용한다. 기준금리에 비해 0.2%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이어 Sh수협은행의 헤이(Hey)정기예금이 연 3.65%,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이 연 3.6%, 우리은행의 원(WON)플러스예금과 케이뱅크의 코드K 정기예금이 연 3.55% 순으로 높은 금리를 적용한다. KDB산업은행의 KDB 정기예금과 농협은행의 NH왈츠회전예금 II은 연 3.5%의 기본금리를 적용한다. 나머지 28개 상품은 연 3.5%보다 낮은 기본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우대금리를 적용할 경우 21개 상품이 연 3.5%보다 높은 금리를 주지만 까다로운 우대조건을 만족해야 해 금리를 모두 받기란 쉽지 않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시점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당초 예정보다 뒤로 미뤄지고 있지만 은행의 수신금리에는 금리 인하 기조가 반영되는 분위기다. 은행채 금리도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어 정기예금 금리는 지금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년 만기 은행채(AAA·무보증) 평균 금리는 지난달 말 3.690%에서 지난 20일 3.621%로 하락했다. 금리 하락에 은행권의 정기예금 상품 매력이 떨어지자 정기예금 잔액도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872조8820억원으로 전월 대비 4941억원 줄었다. 지난 3월에는 12조8740억원 감소했다. 투자처를 찾고 있는 대기성 자금은 은행의 요구불예금에 머물러 있다 이동하고 있다. 5대 은행의 수시입출금식 저축성 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 잔액은 올해 들어 지난 3월까지 31조1402억원 증가했다. 그러다 지난달 31조5511억원이 감소하며 잔액은 616조337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달에는 HD현대마린솔루션 등 대형 공모주 투자 수요에 따라 청약 증거금 등으로 자금이 빠져나갔다는 분석이다. 증거금이 환불된 만큼 이달에는 다시 요구불예금 잔액이 늘어날 수 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지난달에는 정기예금의 경우 법인 자금이 이탈이 큰 폭으로 발생했고, 핵심예금은 개인의 자금 이탈이 컸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교보생명, 보험손익 2배 급증...‘건강보험 강화’ 전략 통했다

교보생명이 올해 들어 고객 수요에 맞는 건강보험 라인업을 적극적으로 강화한 결과 보험손익이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실적은 투자손익 감소로 인해 주춤했지만, 신계약 계약서비스마진(CSM) 등 각종 지표들이 견조한 만큼 2분기부터는 개선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 293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4786억원) 대비 38.72% 감소한 수치다. 1분기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3110억원으로 전년(4274억원) 대비 27.23% 감소했다. 1분기 순이익이 감소한 것은 금리 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평가손익 감소로 투자손익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투자손익은 작년 1분기 5057억원에서 올해 1분기 2960억원으로 41.46% 감소했다. 이 가운데 보험손익이 급증한 것은 고무적이다. 보험손익은 작년 1분기 531억원에서 올해 1분기 1042억원으로 약 2배 급증했다. 이는 고객 니즈에 맞는 건강보험 라인업을 꾸준히 늘린 결과로 해석된다. 교보생명은 올해 초 암 진단부터 검사, 치료까지 폭넓게 보장받을 수 있는 '교보통큰암보험(무배당)'을 비롯해 뇌·심장질환 진단부터 수술, 치료, 입·통원, 장애간병지원까지 보장하는 '교보 뇌·심장보험'과 종신보장 건강보험인 '교보평생건강보험'을 출시했다. 최근에는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등 주요 질병 진단부터 치료, 수술, 입원, 통원, 간병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보장받을 수 있는 '교보마이플랜건강보험'을 내놓기도 했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서는 건강보험 등 보장성보험을 늘리는 것이 신계약 CSM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제 교보생명이 보장성 보험 판매를 확대한 결과 1분기 신계약 CSM은 3934억원으로 전년 대비 7.69% 증가했다. 누적 기준 CSM은 신계약 확대, 보유 계약의 효율적 관리로 전년(5조8982억원) 대비 5.35% 증가한 6조2139억원이었다. 운용수익률도 견조하다. 1분기 운용자산이익률은 3.07%로 3%대를 유지하고 있다. 신창재 교보생명 의장은 올해 초 신년사에서 생보사들이 단기납 종신보험을 중심으로 신계약 매출 경쟁에 열을 올리는 것이 고객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교보생명은 고객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고, 최적의 보장유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속설계사(FP) 채널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보험업계에서 제조와 판매를 분리시키는 '제판분리'가 확산되고 있고, 법인보험대리점(GA)이 주요 판매 채널로 부상한 것과 반대된 행보다. 제판분리를 단행할 경우 자칫하다 고객이 아닌 단기 성과주의에 매몰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한 것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보험업계 전반적으로 투자손익이 좋지 않았다"며 “생명보험업 상품은 기본적으로 투자기간이 길기 때문에 단기 성과에만 집중하면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지배구조 겨냥…금감원, 농협금융·은행 고강도 정기검사 시작

금융감독원이 20일 NH농협금융지주와 NH농협은행을 대상으로 고강도 정기검사에 들어갔다. 앞으로 6주 동안 금감원은 대대적인 검사를 벌인다. 앞서 금감원은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은 2022년 5월 정기검사를 받아 올해 주기가 도래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 3월 농협은행에서 100억원대 배임사고가 발생하자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에 대한 수시검사도 진행했다. 금감원은 농협은행에 발생한 금융사고에서 은행 직원이 불법행위에 직접 가담한 정황이 확인되는 등 내부통제에 취약점이 있다고 보고 이번 정기검사에서 이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다. 특히 농협중앙회-농협금융-농협은행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살필 계획이다. 금감원은 지난달 농협금융 정기검사를 사전예고 하며 금융지주회사법, 은행법 등 관련 법규에서 '주요출자자들의 부당한 영향력 행사 금지'가 명시돼 있는 만큼 대주주인 농협중앙회와 지배구조 관련 사항을 살펴보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개선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농협중앙회가 계열사 인사 과정에서 입김을 발휘할 수 있다는 구조인 것에 금감원은 주목하고 있다. 농협중앙회와 농협금융, 계열사는 임직원간 인사 이동이 가능한 시스템인데, 금감원은 이같은 시스템으로 내부통제가 취약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농협은행의 배임 사고와 관련해서도 금감원은 전문성이 떨어지는 농협중앙회 출신 직원이 은행 지점의 내부통제를 총괄해 내부통제 체계가 취약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금감원은 “이번 정기검사를 통해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의 경영 전반과 지배구조 취약점을 종합 진단해 개선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지방은행, 무수익여신 1조 넘어…부동산PF 구조조정까지 덮쳤다

지방은행의 무수익여신이 올해 1분기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고금리 장기화로 지역침체가 이어지고 있어 기업대출 중심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차주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역 부동산 경기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신 구조조정이 예고돼 지역의 중소 건설사들의 자금 사정은 더 악화될 수 있다. 20일 각 사 공시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지방은행인 BNK부산·BNK경남·DGB대구·전북·광주·제주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은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약 8600억원)에 비해 3개월 간 약 20%나 더 늘었다. 1년 전(약 7400억원)과 비교해서는 약 40% 증가했다. 무수익여신은 대출금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여신을 의미한다. 원금은커녕 이자도 갚지 못하는 대출로 이른바 '깡통대출'로 여겨진다. 지방은행의 무수익여신 증가 속도는 시중은행에 비해서도 가파르다. 올 들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은 무수익여신이 약 8% 늘었는데, 지방은행은 이보다 2배 이상 증가 비율이 컸다. 총여신에서 무수익여신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무수익여신 비율도 크게 늘었다. 총여신 증가 속도보다 무수익여신이 늘어나는 속도가 더 빠르다는 의미다. 1분기 말 기준 6개 지방은행의 평균 무수익여신 비율은 0.62%로 지난해 말(0.52%) 대비 0.10%포인트(p) 더 확대됐다. 1년 전(0.44%)과 비교해서는 0.18%p 더 커졌다. 6개 지방은행 모두 무수익여신이 증가했다. 은행별로 1분기 말 기준 무수익여신 비율을 보면 제주은행이 1.12%로 가장 높고 전북은행 0.74%, 광주은행 0.54%, 대구은행 0.52%, 부산은행 0.43%, 경남은행 0.38% 순이었다. 올해 3개월간 증가 폭을 보면 제주은행이 0.25%p 확대되며 가장 크게 늘었고, 전북은행 0.10%p, 대구은행과 경남은행이 0.09%p, 광주은행과 부산은행이 0.05%p 각각 늘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제주은행 0.54%p, 광주은행 0.16%, 부산은행 0.15%p, 경남은행 0.10%p, 대구은행 0.09%p, 전북은행 0.06%p 순으로 증가 폭이 컸다. 지방은행의 무수익여신 증가 폭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고금리 장기화에 지역 경기 악화가 지속되고 있고, 이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은행의 경우 기업대출 중 중소기업 대출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중소기업 경영 상황에 따른 민감도가 크다. 여기에 지방은행들은 햇살론 등 서민 정책금융 상품 취급 비중이 높아 건전성이 다소 취약하게 여겨진다. 지역 경기가 언제쯤 회복세를 보일지 알 수 없는 만큼 지방은행들은 충당금 적립을 확대하면서 현재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6개 지방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대손충당금 잔액은 2조1844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약 2.3% 더 늘었다. 은행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도 좋아져야 지역이 살아날텐데 아직은 지역 경기 회복세를 예상하기 어려운 시점"이라며 “부동산 PF 여신 구조조정에 들어가면 중소 건설사들이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1분기 카드사 실적 희비 가른 건 ‘이자비용’…“하반기도 긴축전쟁”

올해 1분기 실적 발표 후 카드사들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성적을 가른 가장 큰 요인이 이자비용으로 꼽히는 가운데 연체율마저 치솟고 있어 2분기 이후 카드사들의 실적방어에 대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하나·우리·롯데카드)의 당기순이익은 6736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5848억원) 대비 15.18% 증가한 수준을 가리켰다. 카드업계는 올해 판매관리비 등 비용을 최대치로 줄이는 이른바 '내실경영'에 나선 결과 전년 대비 전체 실적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카드사별로는 성적이 나뉘었다. 1분기 신한카드, 삼성카드, 국민카드, 하나카드는 실적이 성장했고 현대카드, 롯데카드, 우리카드는 실적이 악화됐다. 개별 회사로 살펴보면 KB국민카드의 1분기 순이익은 139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69.6% 급증해 큰 성장세를 나타냈다. 하나카드도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5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9%나 급증했다. 신한카드는 1851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18.3% 증가했다. 이 기간 삼성카드도 1779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 1455억원 순익 대비 22.27% 늘었다. 반면 롯데카드는 1분기 순이익이 54.3% 감소하며 큰 감소세를 보였다. 롯데카드는 올 1분기 249억원의 순익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인 460억원과 비교했을 때 반토막난 수준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현대카드는 순익으로 638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708억원) 대비 9.89% 줄었다. 우리카드 순익은 2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인 457억원과 비교했을 때 36.54% 감소했다. 이들 카드사의 실적 희비를 가른 요소 중 하나는 이자비용이었다. 카드사들은 수익성의 한계를 직면한 상황 속에서 일제히 판관비와 알짜카드 축소 등 비용 절감으로 실적 방어를 취했으나 이자비용면에서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기준금리의 인상 등으로 인해 2022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카드사들의 조달금리가 치솟기 시작했다. 지난해 전업 카드사 7곳의 합산기준 이자비용은 3조8000억원으로 지난 2021년(1조9000억원)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실제로 실적이 악화한 카드사들은 이자비용이 크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카드는 이자비용이 지난해 1분기 대비 3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카드는 28.3%, 우리카드의 경우 35.4% 급증했다. 비용 효율화는 전 업권의 공통된 경영 방침이었기에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조달비용 부담 증가가 역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이다. 다만 1분기에 선방한 카드사들의 경우에도 하반기에 각종 위협 요인이 남아있어 카드업권 전반이 긴장감을 늦추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기준금리 안하 시점이 불분명한 상황으로 조달비용 부담을 내려놓기 어려운데다 카드사 전반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 건전성이 악화 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일부 카드사 실질 연체율은 최근 2% 마저 넘어섰다. 하나카드(2.3%), 우리카드(2.28%), KB국민카드(2.14%) 등이 실질 연체율이 2%를 웃도는 등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실질연체율은 대환대출을 포함해 1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연체율의 경우 최근 전체 연체액이 3조원에 육박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7개 전업 카드사의 합산 연체액은 2조7000억원으로 지난 2022년말 대비 약 7000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본업 수익성도 아직까지 암울한 전망을 가리키고 있다. 올해 재산정되는 가맹점 수수료가 사실상 더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본업 수익성에도 경고등이 켜질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2007년 당시 4.5%였던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율은 꾸준히 내려 현재 0.5~1.5% 수준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카드사들의 가맹점 수수료 수익 비중은 2018년 30.5%에 달했지만 이후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업계 내 절반 이상은 1분기 순이익이 늘었지만 이는 허리띠를 졸라맨 결과이고 실질적으로 업황이 좋아지거나 수익성이 나아진 상황은 아니다"며 “이자비용 증가에 대한 부담이나 건전성 관리에 있어 여전히 긴장감을 놓기 어려운 상황으로, 하반기에도 수익성 확대가 아닌 비용 효율화 역량에 따라 카드사 간 실적이 나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금융사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금 확대한다...“서민금융 안정적 공급”

금융당국이 정책서민금융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금융회사가 서민금융진흥원에 내는 출연금을 내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확대한다. 금융위원회는 금융사의 공통출연요율을 한시적으로 상향하는 내용의 '서민의 금융생활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를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고금리, 고물가 상황이 길어지면서 서민 등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서민금융 지원 필요성이 늘고 있는 만큼 금융권, 정부, 이용자 등이 정책서민금융 공급을 위한 재원을 부담할 필요가 있다는 게 당국의 구상이다. 개정안은 금융회사의 출연요율을 한시적으로 상향하고, 정책서민금융을 적극적으로 취급하는 금융회사에 대한 금융회사 출연금을 한시적으로 감액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는 금융회사의 가계대출금액에 대해 0.03%의 공통출연요율을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내년 말까지 은행권의 공통출연요율은 은행권의 경우 0.035%로, 보험·상호금융·여전·저축은행업권은 0.045%로 상향한다. 은행권은 민생금융지원방안에 따라 서민금융진흥원에 총 2214억원을 별도 출연하는 점을 고려해 업권별로 공통출연요율을 달리 적용했다. 금융위는 “이를 통해 정책서민금융 공급을 위한 보증 재원을 확보해 안정적인 정책서민금융 공급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책서민금융을 적극적으로 취급하는 금융회사에게는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금 가운데 신용보증금액에 따른 출연금을 한시적으로 감액한다. 현재 차등출연금은 금융회사별 신용보증잔액에 대위변제 수준을 반영한 차등출연요율(0.5%~1.5%)을 적용해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대위변제율을 보이는 정책서민금융상품 특성상 적극적으로 공급할수록 높은 출연요율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개정안에서는 내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정책서민금융 공급 실적이 우수한 금융회사의 차등출연금 부담을 줄여 금융회사가 정책서민금융을 적극적으로 취급하도록 차등출연금을 감액한다. 금융회사의 정책서민금융상품에 대한 공급실적 등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선정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차등출연요율을 0.5%포인트 낮추는 방식이다. 구체적인 평가방식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금융회사의 정책서민금융상품에 대한 공급실적 등을 감안해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공통출연요율 인상 및 차등출연금 감액을 통해 금융권의 서민금융진흥원에 대한 추가적인 출연규모는 내년 말까지 총 1039억원으로 추정된다. 해당 개정안은 이달 21일부터 7월 1일까지 입법예고를 실시한 후 법제처 심사, 차관회의·국무회의 의결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하반기 중 시행될 예정이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금융지주, 외국인 지분율 역대 최고...KB금융 ‘80%’ 육박

4대 금융지주가 주주환원 정책 강화,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등에 힘입어 외국인 지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 신한, 하나, 우리금융지주 등 4대 금융지주의 외국인 지분율은 이달 17일 기준 평균 62.7%로 집계됐다. 이는 4대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늦게 증시에 입성한 우리금융 상장일(2019년 2월 13일) 당시 평균 58.2%를 기록한 이후 5년 3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4대 금융지주 외국인 지분율은 작년 말 평균 59.6% 대비 3.1%포인트(p) 높아졌다. 이 기간 코스피 시장의 외국인 지분율도 작년 말 18.8%에서 이달 17일 19.8%로 1%포인트 상승했지만, 4대 금융지주와 비교하면 상승 폭이 적다. 회사별로 보면 KB금융지주의 외국인 지분율은 작년 말 72%에서 이달 27일 현재 76.8%로 올랐다. KB금융지주는 외국인 지분율이 80%를 목전에 두며 4대 금융지주 중 가장 높았다. 특히 이달 13일에는 외국인 지분율이 77.0%까지 오르며 증시 상장일인 2008년 10월 10일 이후 가장 높은 외국인 지분율을 기록했다. 이 기간 신한금융은 60.2%에서 61.2%로, 하나금융은 68.6%에서 70.1%로, 우리금융지주는 37.9%에서 42.5%로 올랐다. 우리금융의 현재 외국인 지분율은 상장 후 최고치다. 금융지주사들의 외국인 지분율이 오른 것은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펼친 결과물로 해석된다. KB금융이 올해 1분기부터 배당총액 기준 분기 균등배당을 도입하고, 신한금융도 이에 앞서 균등배당을 실시하는 등 배당의 예측가능성을 높인 점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수익률을 노리는데, 4대 금융지주의 주주환원책이 이에 부합한 것이다. 여기에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까지 더해지면서 일본 증시의 성공 사례를 경험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더 높아졌다.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는 이달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인베스트 K-파이낸스' 투자설명회(IR)를 열기도 했다. 이 자리에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비롯해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김미섭 미래에셋증권 부회장,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사장, 조용일 현대해상 대표 등이 총출동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개회사에서 “한국 금융시스템이 손실 흡수능력을 확충해 전 권역 모두 충분한 위기 대응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금융산업의 높은 건전성을 기반으로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경제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칼라일·모건스탠리·블랙스톤 대표 등 주요 글로벌 투자자와의 1 대 1 개별 면담에서 “글로벌 투자자의 투자유치,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자본선진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