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은행 브랜드평판 9월 빅데이터 결과...1위 하나은행, 2위 신한은행

9월 은행 브랜드평판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하나은행이 1위에 올랐다. 이어 신한은행, iM뱅크(아이엠뱅크), KB국민은행 순이었다. 19일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지난달 19일부터 한 달 간 하나은행, 신한은행, 아이엠뱅크,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KDB산업은행, SC제일은행, 수협은행, 수출입은행, 씨티은행, 우리은행을 대상으로 은행 브랜드 빅데이터 2497만194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올해 8월 은행 브랜드 빅데이터 2471만384개와 비교하면 1.05%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은행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ESG지수, CEO지수로 분석해 소비자들의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했다. 은행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한국브랜드모니터 소비자요원의 브랜드채널 평가도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그 결과 올해 9월 은행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순위는 하나은행, 신한은행, 아이엠뱅크,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KDB산업은행, SC제일은행, 수협은행, 수출입은행, 씨티은행, 우리은행 순이었다. 은행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하나은행 브랜드는 참여지수 51만1434, 미디어지수 157만513, 소통지수 122만3472, 커뮤니티지수 120만7636, 사회공헌지수 23만1009, ESG지수 36만3014, CEO지수 33만1532이었다. 9월 브랜드평판지수는 543만8609였다. 8월 브랜드평판지수 550만2149와 비교해보면 1.15% 하락했다.​ 2위를 차지한 신한은행 브랜드는 참여지수 69만3951, 미디어지수 70만275, 소통지수 56만3582, 커뮤니티지수 72만8110, 사회공헌지수 28만3473, ESG지수 77만2878, CEO지수 36만113이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410만2383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379만15와 비교해보면 8.24% 상승했다.​ ​3위에 오른 아이엠뱅크 브랜드는 참여지수 51만6443, 미디어지수 71만7570, 소통지수 70만3580, 커뮤니티지수 73만9702, 사회공헌지수 20만1931, ESG지수 21만3290, CEO지수 14만5565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323만8081로 집계됐다. 8월 브랜드평판지수 316만6355와 비교해보면 2.27% 상승했다.​ 4위를 차지한 KB국민은행 브랜드는 참여지수 93만4510, 미디어지수 63만1846, 소통지수 31만2465, 커뮤니티지수 51만5571, 사회공헌지수 29만9204, ESG지수 21만5266, CEO지수 13만8509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304만7371로 분석됐다. 8월 브랜드평판지수 298만4230과 비교해보면 2.12% 상승했다.​ ​이밖에 5위를 기록한 IBK기업은행 브랜드는 참여지수 48만986, 미디어지수 61만2520, 소통지수 73만4024, 커뮤니티지수 80만5514, 사회공헌지수 13만4247, ESG지수 19만4358, CEO지수 7만8011이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303만9661이었다. 8월 브랜드평판지수 183만3010과 비교해보면 65.83% 상승했다.​ 구창환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소장은 “2024년 9월 은행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하나은행 브랜드는 링크분석에서 '출시하다, 가입하다, 완판하다'가 높게 나왔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급여통장, 환전, 외환'이 높게 나왔다"며 “긍부정비율 분석에서는 89.17% 긍정비율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우리금융, 경·공매 사업장 인수 PF펀드 1000억 투입

우리금융그룹 자회사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을 지원하기 위해 1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PF펀드를 조성한다. 특히 기존 채권 인수나 대출 지원 방식과 달리 금융권 처음으로 경매·공매 사업장 인수를 펀드 투자 유형에 포함한다. 우리금융은 '우리금융 PF 구조조정 지원펀드' 1000억원을 조성해 부실우려 등급으로 분류돼 경공매로 넘어간 사업장을 인수하려는 사업자에게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또 일시적으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량 신디케이트론 사업장 지원 등 PF 시장의 돈맥경화 해소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우리금융 PF 구조조정 지원펀드 조성에는 우리금융 자회사 4곳이 참여한다. 우리은행 900억원, 우리금융캐피탈 30억원, 우리투자증권 20억원, 우리자산운용 50억원 등 총 1000억원 규모다. 우리자산운용이 운용사(GP) 역할을 맡는다. 부실우려 사업장을 신속히 재구조화하거나 경·공매를 통해 부동산 PF 연착륙을 유도하고자 하는 금융당국 정책 목표에 부합하는 한편, 펀드에 참여하는 우리금융 자회사들의 부동산금융 관련 운용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기회라고 우리금융은 설명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금융회사·건설사로의 리스크 확산 방지 등 질서 있는 PF 연착륙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금융권 최초로 PF 경·공매 사업장을 펀드 투자 대상에 포함했다"고 했다. 이어 “부동산PF 시장이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게 마중물 역할을 하는 한편, 이번 펀드를 운용해 그룹의 자산운용 역량을 높이고 수익 창출 등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NH농협은행, 소외계층에 PC 기증…“정보격차 해소 지원”

NH농협은행이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PC를 기증했다. 농협은행은 지난 13일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재 '노리터사회적협동조합'을 찾아 '사랑의 PC나눔' 행사를 실시했다. 기증한 PC는 내용연수가 경과한 기기를 대상으로 저장장치, 소프트웨어 등 부품교체와 점검 작업을 거쳐 품질을 개선(재제조)한 것이다. 폐기 예정인 자원을 재탄생시켜 필요한 곳에 기증한다는 취지로, 자원순환과 사회공헌의 의미를 담고 있다. PC는 총 50대가 전달됐으며, 인근 청소년시설 등에서 소외계층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농협은행은 앞으로도 폐기 예정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사회공헌을 꾸준히 실시할 계획이다. 박병규 농협은행 수석부행장은 “앞으로도 농협은행은 자원순환과 사회공헌 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민해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 실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금감원, 올해 카드론 급격히 확대한 3개 카드사 제동

올해 들어 카드론 대출 잔액이 사상 최대 규모에 이르자 금융감독원이 카드론을 급격히 확대한 카드사들에 제동을 걸었다. 카드론 증가세가 특정 회사에 쏠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18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 등 9개 카드사의 7월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41조226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대비 6.4%(2조4653억원) 증가했다. 고금리·고물가로 서민 경제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저축은행이 대출 문턱을 높이자 카드론 잔액은 올해 들어 매달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1월에는 전월 대비 4507억원 늘었고, 2월 2000억원, 3월 78억원, 4월 4823억원, 5월 5542억원, 6월 1000억원, 7월 6206억원 등 증가세가 이어졌다. 올해 들어 롯데·현대·우리카드의 카드론 잔액 증가가 두드러졌다. 롯데카드의 7월 말 카드론 잔액은 지난해 말 대비 21.3%(9157억원) 늘어난 4조2954억원으로, 전체 증가분의 37.1% 수준을 차지했다. 현대카드는 같은 기간 14%(6674억원) 불어난 4조7762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증가분의 12.3% 수준이다. 우리카드는 11.6%(3864억원) 증가한 3조3335억원으로 전체 증가분의 8.6%의 비중을 보였다. 전체 증가분의 60% 가까이를 3개 카드사가 차지한 셈이다. BC카드는 올해 들어 카드론 잔액이 급격히 늘었지만 규모가 작아 영향이 크지 않았다. 금감원은 카드론을 급격히 확대한 3개 카드사에 이달 말까지 리스크 관리 계획을 제출할 것으로 요구할 계획이다. 카드론을 확대해 중저신용자에 자금 공급을 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일부 회사에 쏠린 것은 문제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이들 카드사가 리스크 관리 계획을 제출하지 않거나 지키지 않는다면 리스크 관리 소홀로 제재에 나설 방침이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5대 은행 주담대 이달 2.2조원↑…가계대출 둔화 안심 일러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달 들어 주춤하고 있다.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노력과 은행권의 대출 문턱 높이기가 효과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단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역대 최대 폭으로 컸던 데다, 이달 들어 주간 기준으로는 주담대 증가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잡힌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12일 기준 주담대 잔액은 570조838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의 568조6616억원 대비 2조1772억원 증가했다. 지난달 주담대 증가 폭은 8조9115억원으로 월간 최대 폭이었는데, 이보다는 증가세가 둔화했다. 은행권은 지난 7월부터 주담대 금리를 잇따라 높였다. 이어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중단, 주담대 한도·만기 축소 등 대출 관리 방안을 강화하면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은행권은 분석하고 있다. 또 이달 1일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앞두고 지난달 대출 막차 수요가 쏠린 것에 대한 기저효과도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달 들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27조4332억원으로 전월(725조3642억원) 대비 2조690억원 늘었다. 신용대출은 같은 기간 103조4562억원에서 103조5605억원으로 1043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단 주간 기준으로 보면 주담대 증가세는 확대됐다. 지난 5일까지(영업일 4일) 5대 은행의 주담대 증가 폭은 8835억원이었고, 6~12일까지는(영업일 5일) 1조2937억원으로 커졌다. 1영업일당 증가 폭은 2209억원에서 2587억원으로 소폭 늘었고, 5대 은행이 지난주 정책대출 약 4949억원 규모를 유동화해 장부에서 털어냈기 때문에 주담대 증가세가 잡혔다고는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권에서는 9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8월보다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한다. 단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가 장기간 이어질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이사철 수요, 기준금리 인하 전망,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감 등 불안 요인은 남아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김병환 금융위원장, 금융지주 회장 만난다...‘쓴소리’ 예고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이달 말 취임 후 처음으로 5대 금융지주 회장과 회동함에 따라 어떠한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20일 은행권을 시작으로 약 한 달간 금융권역별 최고경영자(CEO)들과 릴레이 간담회를 진행했다. 금융지주사는 계열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데다 조만간 지주사들이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선임 절차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는 점을 고려할 때 김 위원장은 내부통제 강화를 포함한 책무구조도 도입,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 리스크 관리 등을 당부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늦어도 이달 말께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석준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등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회동한다. 당초 금융지주사 회장들과의 간담회는 이달 11일로 예정됐지만, 국회 대정부질문 일정으로 연기됐다. 이번 간담회는 김 위원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금융지주사 회장을 만나는 자리이자 업권별 릴레이 간담회의 맨 마지막 순서라는 점에서 주목도가 높다. 김 위원장은 7월 31일 취임 이후 8월 20일 은행권, 22일 여신금융업, 28일 보험업, 29일 증권업, 9월 2일 저축은행업, 5일 자산운용업, 9일 상호금융권 순으로 릴레이 간담회를 가졌다. 통상 금융위원장이 취임하면 금융지주사 회장을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올해 같은 경우 김 위원장 취임을 전후로 가계부채 관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금융업권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에 시중은행장과의 만남을 첫 번째 순서로 배치하고, 지주사 회장단과는 마지막에 회동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지주사는 은행, 보험, 카드, 저축은행 등 금융 계열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만큼 이번 지주사 회장들과의 각 업권에 전달한 메시지들을 종합하고, 내부통제 강화, 리스크 관리, 금융업권 신뢰 회복 등을 당부할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신한금융지주를 필두로 금융지주사들이 자회사 대표이사에 대한 승계절차를 개시하고 있어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승계계획을 마련, 운영하라는 주문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김 위원장은 그간 각 업권 CEO와 만난 자리에서 비판을 아끼지 않았다. 일례로 김 위원장은 지난달 은행장들과의 릴레이 간담회에서 “은행이 일반 기업과 같이 치열하게 혁신을 했는지, 민생이 어려울 때 은행이 상생의지를 충분히 전달했는지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달 상호금융중앙회 대표이사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최근 상호금융권이 외형 성장에만 치중해 지역,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에 소홀하다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간담회는 김 위원장이 전 금융위원장인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공식석상에서 처음으로 만나는 자리이기도 하다. 다만 최근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관련 부적정 대출 등 우리금융지주에서 금융사고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분위기는 다소 무거울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달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은행, 우리금융지주에서 횡령, 부정대출 등의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금융권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저하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리금융지주, 우리은행 경영진도 이번 금융사고 관련해 깊은 책임감을 느낄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사들이 책무구조도 도입을 계기로 환골탈태하는 심정으로 내부통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지주사들이 계열사를 아우르는 역할을 하다 보니 (김 위원장이) 지주사 회장단에 전달할 메시지가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초고령 사회 대비하는 생보업계…‘유병자보험’에 시선 집중

생명보험업계가 기존 주력하던 저축성보험과 종신보험에 대한 집중도를 낮추는 한편 유병자 시니어층을 타깃으로 한 건강보험 확대에 나서고 있다.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해당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생·손보 업권 구분 없는 경쟁도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생보사는 보험료 부담 경감과 다양한 특약 운영을 통해 유병자보험과 관련한 다양한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이달 1일 유병력자, 고령자도 암 치료 여정별 맞춤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인 '교보 간편 가입암보험(무배당)'을 출시했다. 유병력자와 고령자가 최소한의 심사로 가입 가능한 간편 심사보험으로, 경증질환이나 과거 병력이 있어도 3가지 고지항목에 해당되지 않으면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암 발병 시 주계약을 통해 진단보험금을 받을 수 있고 새로운 암 검사, 수술·치료기법을 보장하는 특약도 탑재돼 있다. 특약을 통해 항암치료에 대한 보장도 한층 강화했고 합병증과 후유증도 대비할 수 있다. 삼성생명도 이달 10일 유병자 고객의 가입 문턱을 낮춘 경증간편형 설계를 도입해 '경증 간편 플러스원 건강보험'을 출시했다. 고혈압·당뇨병 등의 경증 만성질환 유병자도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가입 문턱을 낮췄다. 흥국생명은 지난 7월 유병력자가 무사고기간을 유지하면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는 '(무) 흥국생명 다사랑 3N5 간편 건강보험'을 선보였다. 가입자가 일정 기간 동안 입원과 수술 이력이 없는 경우 계약전환제도를 통해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표준체(일반심사형) 건강보험으로 계약 전환도 가능하다. 가입자가 자신의 건강상황에 맞게 고지의무기간을 선택해 가입할 수도 있다. 한화생명도 유병자 시장을 공략해 암 유경험자의 가입 폭을 대폭 넓혔다. 지난 5월 출시한 '한화생명 The H 초간편 암보험'은 암 치료력이 있거나, 각종 질병으로 보험 가입이 어려운 고객도 '암으로 2년 이내 치료력 여부'만 고지하도록 한 초간편형 암보험이다. 암 진단∙수술∙통원∙약물치료 등 각종 보장도 넣어 구성했다. 업계는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노후 의료비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자보험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94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8.2%를 차지했다. 내년에는 1000만명을 넘어 고령자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난해 기준 국내 노령화지수는 165.4, 노년부양비는 25.8로 2015년(93.0, 17.5) 대비 각각 77.8%, 47.4%의 큰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부터 생·손보 업권을 가리지 않고 장기보험에 대한 집중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최근 손보업권도 유병자를 타깃 한 상품을 속속 도입하고 있어 해당 시장 경쟁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KB손해보험은 중증부터 경증, 초경증 유병자까지 이르는 세분화된 유병자보험 상품 라인업을 구축해 시장 선점에 나섰다. 앞서 지난 5월 초경증 유병자를 위한 'KB 3.10.10 슬기로운 간편 건강보험 Plus' 출시해 판매 중이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진단받았지만, 증상이 경미해 투약이나 치료로 건강하게 관리되고 있는 유병자를 위한 상품이다. 업계 최초로 간편 건강보험의 기존 계약 전 알릴 의무에 10년 내 고지 질문을 추가해 유병자 고객의 건강등급을 세분화했다. 악사(AXA) 손해보험도 고령자와 유병자가 가입이 가능한 '(무) AXA 간편 상해보험'을 출시했다. 자동차사고로 인한 골절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해 위험과 배상 책임을 보장한다. 하나손해보험은 건강등급에 따른 할인형 보험상품을 지난 2021년 업계 내 가장 먼저 출시하며 시장 대비에 나섰다. 하나손보도 올 들어 건강등급에 따라 보험료를 할인받는 암주요 치료비, 통합암진단비 유병자보험 '무배당 뉴 건강하면 더 좋은 하나의 간편 보험'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건강등급에 따라 일반심사 시 최대 38%, 간편 심사 시 최대 28% 할인을 제공한다. 매 2년마다 건강등급을 재산출해 개선되면 할인률이 적용되며, 등급이 낮아져도 보험료가 인상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지녔다. 하나손해보험 관계자는 “고령화가 빠르게 확산되는 사회현상을 감안한 상품으로, 건강하면서도 남들과 똑같은 보험료를 내야 하는 고객의 아쉬운 마음을 생각하고 개발했다"며 “저렴한 보험료와 간편 심사로 가입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많은 고객들이 선택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추석 연휴 끝나면 국정감사…금융당국 ‘가계대출 책임론’ 부각

추석 연휴가 끝나면 제22대 국회 정무위원회의 첫 국정감사가 10월에 예고돼 있어 금융권에 긴장감이 감돌 것으로 보인다. 국정감사에서는 올해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금융당국 관리 부실이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여기에 금융권에서 일어난 각종 금융사고, 제4인터넷전문은행 인가 과정,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내달 7일부터 진행될 국회 국정감사에서 정무위원회 감사에서는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책임론이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가계대출이 빠른 속도로 불어나자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가계대출 관리를 강조했는데, 은행들의 대출 금리 인상, 실수요자 대출 제한 등의 결과로 이어져 은행권에 혼란을 일으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국내 가계대출은 지난 4월부터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3월 말 536조6470억원에서 지난 8월 말 기준 568조6616억원으로 5개월 동안 32조147억원 늘었다. 주담대 증가는 가계대출 확대로 이어지며, 가계대출은 지난 3월 말 693조5684억원에서 지난 8월 말 725조3642억원으로 31조7958억원 급증했다. 이 사이 당국은 은행권에 가계대출 확대를 자제할 것을 권고했지만, 지난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었던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시기를 9월로 연기하며 엇박자를 보였다는 지적을 받았다. 또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높이는 것으로 대출 관리에 나서 차주의 이자 부담이 커졌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개적으로 다른 방식의 관리 방안을 주문하자 결국 은행들은 실수요자 대출을 막는 등 극단의 방법을 선택하며 실수요자 피해가 커진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이에 이 원장은 지난 10일 “가계대출 급증세와 관련해 세밀하게 입장과 메시지를 내지 못한 부분, 국민이나 은행 창구 직원에게 불편과 어려움을 드린 점에 대해 죄송하다"며 사과했다. 금융당국 발언에 따라 가계대출 관리를 두고 시장에 혼선이 생긴 만큼 당국은 국정감사에서도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예상이다. 여기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지난 7월 취임한 후 처음 국정감사를 받는 자리라 김 위원장의 가계대출 관리에 대한 인식도 확인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금융회사의 금융사고, 제4인터넷은행 인가, 티메프 사태 등도 국정감사 핵심 사안이 될 전망이다. 올해도 우리은행, NH농협은행에서 배임 등 금융사고가 이어졌고, 특히 우리은행은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 부당 대출 사실이 드러나며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피해도 쟁점 사안이다. 지연되던 제4인터넷은행 인가 절차는 연내 진행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질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티메프 사태를 두고 금융당국 책임과 이후 수습 방안에 대한 검증도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다가오는 한국은행 금리인하...투자자 사로잡는 고금리 적금은

최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 안정 측면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할 시기가 됐다"고 언급한 가운데 금리 인하를 앞두고 금융권의 고금리 적금 상품이 주목받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현재 대표 플랫폼 'KB스타뱅킹'을 통해 10만좌 한정으로 'KB스타적금'을 판매 중이다. 기본이율은 연 2.0%이며, 최고 연 6.0%의 우대이율을 포함해 최고금리는 연 8.0%이다. 우대이율은 KB스타뱅킹 신규 또는 미사용 고객에 연 2.0%포인트(p)를, KB스타뱅킹 신규 또는 미사용 고객이 스탬프 찍기 활동에 따라 최고 연 1.0%포인트를, 최근 6개월간 입출금 통장, 외화예금, 퇴직연금을 제외한 상품 신규 및 보유 이력이 없는 고객에 연 3%포인트의 금리를 추가로 제공한다. 1개월 이상 예치하면 중도에 해지해도 기본이율과 이미 확정된 우대이율을 제공한다. 이에 고객들은 가입 부담을 낮추고 자금을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다. KB스타적금의 가입 기간은 12개월로, 월 1만원에서 3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 SBI저축은행의 '회전정기예금'은 우대금리를 포함해 연 4%의 금리를 준다. 기본금리 연 3.8%에 비대면 우대금리 0.1%포인트, 회전주기우대금리 0.1%포인트를 준다. 우대금리를 포함해 1000만원을 12개월간 예치하면 세전으로 40만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OK저축은행의 'OK e-안심앱플러스정기예금'은 연 3.81%의 금리를 제공한다. 1년 단위 회전식 정기예금으로, 가입금액은 10만원부터다. 1년 만기가 부담스럽다면 6개월 단위 회전식 정기예금인 'OK e-안심앱플러스정기예금6'도 고려할 만 하다. 6개월 단위 회전식 정기예금으로, 금리는 연 3.71%다. JT저축은행이 지난 6월 출시한 JT점프업2파킹통장은 최고 연 3.7%의 금리를 준다. 해당 상품은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는 수시입출금예금으로, 500만원 이하 금액을 예치하면 상품의 최고 금리인 연 3.7%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소액으로도 탄력적으로 자금 운용이 가능해 전업주부,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에게 적합하다. 평균 예치금액이 500만원 초과 2000만원일 경우 연 3.2%의 금리를, 2000만원을 초과하면 연 0.5%의 금리를 제공한다. 예금이자는 매분기 평균 잔액을 기준으로 산출되고, 연 4회(3월, 6월, 9월, 12월) 지급된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추석 맞아 ‘브랜딩’ 힘주는 보험업계…이벤트·팝업스토어 등 다양

보험업계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새로운 영상 TV광고와 홈쇼핑 론칭 등에 나서며 각종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연말까지 영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추석기간 영상 광고를 비롯해 이벤트, 팝업스토어 등 홍보 방식을 다양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흥국생명은 '(무)흥국생명 다사랑통합상해보험' 홈쇼핑 광고를 신규 론칭하고 추석 연휴 기간인 16일 오전부터 단독 방영에 나선다. 해당 상품은 부위별진단비, 상해치료비, 입원비와 수술비까지 보장하는 상품으로 부상 부위별로 중증도에 따라 맞춤형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흥국생명은 명절 연휴 기간을 타깃해 필요한 상품의 홍보에 미리 나섰다는 설명이다. 박관희 흥국생명 TM영업팀 차장은 “추석 연휴 기간 야외활동이나 가을철 나들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와 부상에 대비할 수 있도록 이번 홈쇼핑을 론칭했다"며 “홈쇼핑을 통해서만 제공되는 혜택이 있는 만큼 많은 고객들이 관심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추석을 앞두고 DB손해보험은 지난 5일 신규 기업PR TV광고를 공개했다. 광고 슬로건인 '약속대로 이루어지길'은 도로명 주소에서 착안해 '길'을 모티브로 기획했다. 브랜드 가치인 '약속'과 함께 고객의 일상에 대한 공감과 보험 상품의 연계성을 강화했다. TV광고에서 노출되는 운전자, 운동 커플, 반려견 가족의 상황은 디지털 콘텐츠로도 확장해 유튜브에서 공개한다. 디지털 영상을 통해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과 연계한 '참좋은운전자보험', 연인과 가족의 건강과 연계한 '나에게 맞춘 간편건강보험', 반려동물과 연계한 '펫블리 반려견보험' 등 주요상품의 광고를 통해 위트있게 상황을 표현했다. KB손해보험도 추석 명절 전 운동선수 출신 방송인 이만기·김연아를 모델로 한 'KB손해보험 다이렉트' 하반기 TV 광고를 시작했다. 회사는 지난 4일 이만기가 메인 광고 모델로 등장하는 'KB손해보험 다이렉트'의 하반기 후속 TV 광고 '반가운 만기, 다시 왔다' 편을 선보였다. 광고에서는 '만기 왔다'라는 언어유희를 통해 자동차보험 만기 시점에 KB다이렉트가 자연스럽게 연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노렸다. 이와 더불어 지난 9일에도 이달 말 추가 공개 예정인 후속편 영상 '만기가 코앞' 편 바이럴 영상을 공개하면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했다. IPTV, 영화관, 유튜브 등에서 바이럴영상 시청을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챌린지를 동시에 진행해 추석 명절 기간 본격 홍보를 진행한다. 삼성화재도 이달 들어 '보이는 보험' 신규 광고를 공개했다. '맞춤상담'과 '건강관리' 편을 선보이며 삼성화재의 콜센터와 건강관리 서비스 상황을 소재로 상황을 연출했다. 여러 상황에 놓인 고객이 상담을 통해 신속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습을 강조하거나 건강관리 앱을 이용하는 모습에서 건강 서비스에 대한 전달력을 높였다. 한편 삼성화재는 추석 연휴기간을 포함한 13일부터 29일까지 가족단위로 모빌리티 일상생활 서비스를 오프라인에서 체험할수 있는 '카케어 종합병원'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이달 롯데프리미엄 아울렛 의왕점에서 진행되며 10월 1일부터 10일까지는 서울 코엑스 파르나스몰에서 운영한다. 팝업스토어는 '어린이 체험존'과 '혜택존'으로 나뉘며 어린이 고객이 의사가 되어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자동차 치료를 체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장에 럭키드로우 이벤트와 커스텀 키링 체험, 포토부스도 마련해 삼성화재 차량 보험 브랜드 홍보에 나선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