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특징주] 네이버, 바닥론 솔솔…장 초반 18만원 회복

네이버가 최근 주가 부진을 딛고 12일 장 초반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20분 기준 네이버는 전 거래일 대비 2000원(1.14%) 오른 17만8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개장 직후에는 18만1600원까지 오르며 지난 5월27일 이후 2개월여 만에 18만원 선을 회복하기도 했다. 네이버 주가가 오름세를 보인 데는 최근 과도한 주가 하락에 바닥론이 제기되면서 저점 매수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네이버 주가는 최근 하락세를 기록하면서 지난 2일에는 지난 2022년 10월26일 이후 2년 만에 16만원 선이 무너지면서 52주 최저가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지난 5일부터 주가는 오름세로 전환해 지난 10일까지 4거래일 연속 상승해 17만원 선까지 주가가 올랐다. 증권가에서도 네이버의 주가 하락은 과도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지만 2분기 실적이 비교적 선방했고 주력 사업부인 광고와 커머스의 실적 개선세는 올해 내내 지속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라며 “펀더멘털에 비하면 주가 하락이 과도했다"고 평가했다. 윤예지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네이버의 올해 예상 영업이익은 1조841억원으로 전년 대비 24% 성장하는 등 견조한 실적이 예상되는 만큼 주가의 추가 하락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고 전망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특징주] 펄어비스, 붉은사막 흥행 기대감…증권가 호평에 상승세

펄어비스가 신작 게임인 '붉은사막'의 흥행 기대감과 이에 따른 증권가의 목표주가 상향조정에 힘입어 상승세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분 현재 펄어비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24%(1450원) 오른 4만6250원을 기록중이다. 이날 KB증권은 펄어비스에 대해 차기작인 '붉은사막' 흥행 기대감에 출시 일정의 공개 시점까지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며 목표주가를 5만원에서 6만원으로 상향했다. 이선화 KB증권 연구원은 “십여 년 만에 선보이는 차기작인 붉은사막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며 “게임스컴 2024에서 붉은사막이 수상할 경우 게임 흥행 기대감에 주가는 해당 게임쇼 이후에도 추가 상승할 수 있고, 정확한 출시 일정이 공개되는 시점까지 주가가 우상향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ekn.kr

[특징주] 이베스트스팩6호, 상장 첫날 55% 상승

이베스트스팩6호가 상장 첫날 55% 상승중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베스트스팩6호는 공모가(2000원) 대비 1110원(55.50%) 상승한 3110원에 거래중이다. 이베스트스팩6호는 지난 2일과 3일 진행한 일반청약에서 106.3대 1의 최종 경쟁률을 기록했다. 총 청약건수는 3만2888건, 증거금은 2137억원을 모았다. 스팩(SPAC)은 비상장 기업의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설립한 서류상 회사다. 스팩을 상장해 모은 자금으로 비상장회사를 찾아 인수하거나 서로 합병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특징주] 두산로보틱스, 밥캣 편입 효과에 장 초반 12%↑

두산로보틱스 주가가 장 초반 12% 넘게 상승 중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14분경 두산로보틱스 주가는 전일 대비 12.43% 오른 9만59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는 두산밥캣이 새롭게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기로 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두산은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두산밥캣을 인적 분할해 두산로보틱스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시키기로 했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두산로보틱스는 선진 시장 고객 접점 확대, 레퍼런스 구축을 통한 매출 증대, 전문 서비스 시장 선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CJ제일제당, 美시장 제품 점유율 상승…목표가 37만원으로↑ [NH투자증권]

NH투자증권은 12일 CJ제일제당에 대해 미국 시장에서 주력 제품들의 시장 점유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목표주가를를 기존 43만원에서 47만원으로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주영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에서 주력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밸류에이션도 음식료업종 평균 대비 낮아 부담 없이 접근 가능한 구간"이라고 설명했다. 주 연구원은 “자회사 CJ셀렉타 매각이 완료되면 추가적인 실적 추정치 상향도 가능해 긍정적"이라면서 “CJ제일제당의 올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3740억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 연구원은 “해외 사업은 중국 지상쥐 매각에 따른 매출 감소 영향이 존재하지만 상쇄가 가능하다"며 “바이오 부문은 핵심 제품들의 시황 회복이 이루어짐에 따라 매각 예정 법인인 CJ셀렉타를 포함한 기준으로도 소폭의 이익 증가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두산테스나, 전장용 SoC의 안정적 성장 [현대차증권]

현대차증권이 두산테스나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목표가 6만원을 유지했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두산테스나의 별도 기준 2분기 매출액은 900억원, 영업이익은 158억원으로 예상된다. 박준영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매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전장용 SOC 부문의 성장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CIS 위주의 체질에서 매출의 응용처가 다변화되며 기업의 체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요소이며 시장에서 기대했던 신성장 동력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두산테스나의 전장용 SoC 테스트 부문의 경우 2분기 가동률 회복에 이어 하반기부터는 CAPA 증설의 효과까지 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확장된 CAPA로 인해 올해 동사 전장용 SoC 테스트 부문은 연간 900억원 수준의 매출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 연구원은 “2024년에도 약 20% 수준의 외형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전장용 SOC 부문과 엑시노스 2400의 물량 추가 수주가 기대되서다"며 “연내 SSD 컨트롤러향 매출의 증대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셀트리온, 연말로 갈수록 실적 가속도…목표가 상향 [KB증권]

KB증권이 12일 셀트리온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했고 추가 성장동력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5만원에서 26만원으로 소폭 상향했다. 김혜민 KB증권 연구원은 “셀트리온의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5.6% 증가한 8154억원, 영업이익은 57,7% 하락한 774억원으로 추정한다"며 “이는 컨센서스를 각각 4.9%, 13.9%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주요 동력은 램시마IV의 견조한 성장과 바이오시밀러 전반의 매출 확대"라며 “램시마IV가 시장의 우려와 달리 점유율 잠식 없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짐펜트라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짐펜트라는 향후 출시될 스텔라라 스밀러와 함께 ' TNF-alpha'·'IL17&IL23' 기전을 모두 공략할 수 있어 처방의와 환자의 우호적인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또한 항암제가 아닌 자가면역질환 특성상 환자가 한번 전환되면 꾸준히 처방할 수 있다는 점도 차별점"이라고 설명했다. 후속 파이프라인이 순항하고 있다고도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내년 추가 성장동력이 순항하고 있고 시밀러 포트폴리오의 전반적인 매출확대와 이익률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다"며 “미국 연방거래위원회의 PBM에 대한 압박은 시밀러 제품 판매 증대로 이어질 수 있어 시밀러에 우호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HMM, 잠재된 우려 바라봐야…목표가 ‘↓’ [하나증권]

하나증권은 HMM에 대해 높은 운임지수에도 과열된 시장과 잠재된 우려를 생각해 봐야 한다며 투자의견 중립(Neutral)과 목표주가를 기존 1만8000원에서 1만6000원으로 하향한다고 12일 밝혔다.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재의 시황 상승보다는 앞으로의 잠재된 우려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물동량 증가는 일정 부분 안전재고 축적 수요에 따른 것으로 미래의 수요를 앞당겨 쓰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2025년 2월부터는 얼라이언스가 본격 재편되면서 HMM이 소속된 디얼라이언스의 선복량이 하팍로이드의 이탈로 40% 가량 감소할 예정이다. MSC가 단독 영업을 개시하며 운임경쟁을 촉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현재 3700포인트 이상으로 상승했고, 당분간 물동량 수요가 선복량 증가를 능가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컨테이너선의 희망봉 우회가 장기화되고 항만체선 심화와 안전재고 축적 수요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내년 1분기까지 컨테이너 선사들의 호실적 구간이 이어질 전망이다. 안 연구원은 “2024년·2025년의 HMM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12조원·2조9000억원, 10조9000억원·1조7000억원으로 상향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내년까지 전환사채의 주식전환 시 총 2억7600만주(유통주식 수의 37%)로 인한 주주가치 희석이 예상된다"며 “홍해사태를 제외한다면, 2023년~2025년간 평균 선복량 증가율은 7%로 선복량 증가율이 물동량 증가율을 초과하는 시기에 진입했다는 점이 근원적 우려"라고 말했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ekn.kr

[증시 종합]  포스코홀딩스·퓨처엠, 삼성SDI·물산, LG엔솔, HPSP·실리콘투 등 주가↑

11일 코스피가 3거래일째 상승세를 유지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23.36p(0.81%) 오른 2891.35로 2022년 1월 14일(2921.92) 이후 909일 만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20.77p(0.72%) 오른 2888.76으로 출발해 장중 내내 상승세를 유지해 연고점을 경신하기도 했다. 한국은행이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상승폭이 한때 다소 축소되기도 했으나 장 후반 다시 상승폭을 늘렸다. 코스피 지수는 7월 들어 9거래일 중 7거래일 상승했다. 코스피200선물지수도 400.55로 마감해 2021년 11월 22일 이후 처음으로 400선을 돌파했다. 전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연준) 의장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 발언이 위험선호 심리를 키우며 증시에 우호적 환경을 만들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6063억원어치를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개인은 3500억원, 기관은 833억원을 순매도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9원 내린 1378.8원에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POSCO홀딩스(6.24%), 삼성SDI(4.42%), 포스코퓨처엠(4.46%), LG에너지솔루션(3.59%), 삼성물산(2.79%), KB금융(2.15%) 등 대부분이 강세였다. 장 초반 강세를 보였던 삼성전자는 장 후반 들어 약세로 전환해 0.23% 내린 8만 7600원에 마쳤다. NAVER(-0.79%), 카카오(-0.94%)도 약세였다. 업종별로는 철강금속(3.75%), 증권(2.54%), 의료정밀(1.86%), 통신업(1.81%), 전기가스업(1.69%), 유통업(1.21%) 등 상승폭이 컸다. 약세 업종은 비금속광물(-0.32%), 종이목재(-0.28%), 서비스업(-0.04%)뿐이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6.13p(0.17%) 내린 852.42로 마감했다. 지수는 3.18p(0.37%) 오른 861.73로 출발했으나 장중 반락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은 90억원, 기관은 1637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만 1985억원을 순매수했다. 주요 종목 중에서는 펄어비스(-5.88%), 리가켐바이오(-4.74%), HLB(-4.27%), 삼천당제약(-3.74%), 엔켐(-3.74%), 클래시스(-2.53%) 등 낙폭이 컸다. 반면 HPSP(7.66%), 실리콘투(5.10%), 테크윙(2.08%), 레인보우로보틱스(1.08%), 리노공업(1.04%) 등은 올랐다. 이날 거래대금은 유가증권시장 14조 5139억원, 코스닥시장 7조 9920억원이었다. 전날과 비교해 코스피는 2조 6724억원 늘었고 코스닥은 5730억원 줄었다. 안효건 기자 hg3to8@ekn.kr

HB테크놀러지 “불성실 공시 고의 아냐…소명에 최선 다할 것”

HB테크놀러지는 전날 한국거래소로부터 받은 불성실 공시법인 지정예고가 이미 지난 3월 정정공시를 통해 안내됐던 사항이라고 11일 밝혔다. HB테크놀러지는 전날 한국거래소로부터 불성실 공시법인 지정 예고를 받았다. 주된 사유는 2023년 실적에 대한 회사의 공시와 감사보고서와의 차이가 과다하다는 것이다. HB테크놀러지는 계열사 HB인베스트먼트가 조성한 'HB반도체세컨더리투자조합'에 출자했다. 그런데 조합이 출자한 HPSP의 주가 급등으로 500억원 이상의 큰 차익이 발생하게 됐다. 이에 연결종속회사라는 특성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분류됐던 것을 결산 감사과정에서 외부감사인이 영업외 수익으로 계정 재분류하며 발생했던 사안이라는 것이다. HB테크놀러지 측은 이번 사안에 대해 지난 3월 18일 매출액 손익구조 30% 정정공시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는 입장이다. 회사 측은 “고의적인 상황이 아니었고, 외부감사인의 갑작스러운 기준변경으로 인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는 점을 거래소에 적극적으로 설명해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