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윙입푸드, 나스닥 상장 기념 타종식 ‘오프닝 벨’ 참석

국내 상장 해외기업 최초 나스닥 듀얼 상장 기업이자 국내 상장 중국기업 최초 나스닥 상장기업인 윙입푸드가 나스닥 개장을 알리는 '오프닝 벨' 행사의 주인공으로 참석했다고 24일 밝혔다. 왕현도 윙입푸드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타임스퀘어에 위치한 나스닥 마켓사이트에서 상장기념 '오프닝 벨'을 울렸다. 윙입푸드는 지난달 27일 종목코드 'WYHG'로 나스닥 캐피탈 마켓에서 거래를 시작했다. 공모주 발행가는 주당 4달러, 발행 주식 수는 총 205만주다. 이번 공모로 82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윙입푸드 주가는 상장 직후 한때 5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으며 4달러 후반에서 거래되고 있다. 윙입푸드는 130년 정통역사를 가진 중국식 살라미 제조 기업으로 국영기업을 제외하면 중국 내 살라미 시장 점유율 1위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18년 한국 코스닥에 상장했으며 올 초부터 나스닥 상장을 추진해 지난달 나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윙입푸드 관계자는 “이번 상장을 통해 앞으로 미국 현지의 우량 육가공 업체와 협력해 북미 시장 마케팅을 확대할 방침"이라며 “내년부터 한국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한국 진출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내년 실손보험 평균 7.5% 인상...3세대 20%대 올라

내년 실손의료보험이 평균 약 7.5% 인상된다. 3세대 실손보험은 20%, 4세대 실손보험은 평균 13% 각각 오른다.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는 24일 설명자료를 내고 “내년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이 약 7.5% 수준으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3년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보험료 기준 가중평균)인 연 평균 8.2%보다 0.7%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1세대 실손보험은 평균 2%대, 2세대는 평균 6%대, 3세대는 평균 20%대, 4세대는 평균 13%대 인상된다. 예를 들어 40대 남성이 4세대 실손보험에 가입한 경우 월 보험료는 올해 1만2795원에서 내년 1만4573원으로 오른다. 다만 내년도 보험료 인상률은 보험사들의 평균 수준이다.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인상률이 아니고, 가입상품의 갱신주기·종류·연령·성별 및 보험회사별 손해율 상황 등에 따라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다를 수 있다. 협회 측은 “본인이 가입한 실제 보험료 조정 수준은 개인별 보험계약이 실제 갱신되는 시기에 보험회사에서 발송하는 보험료 갱신 안내장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고 밝혔다. 내년 실손보험료가 오르는 것은 일부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 문제로 실손보험 손해율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18.5%로 작년(118.3%)보다 올랐다. 이 중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은 상반기 130.6%로 높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베트남우리은행, PB브랜드 4번째 특화채널 서사이공지점 신설

우리은행 베트남 현지법인인 베트남우리은행이 현지 고액자산가 유치와 리테일 영업 확대를 위해 호치민 남서부 지역에 PB브랜드 투체어스 특화채널 '서사이공지점'을 신설했다. 24일 우리은행에 따르면 이번 서사이공지점 신설로 베트남우리은행의 영업채널은 모두 28개로 늘었다. 서사이공지점은 △하노이 스타레이크지점 △하노이 롯데몰지점, △호치민 푸미흥지점에 이어 네 번째로 개설된 우리은행 PB브랜드인 투체어스(Two-Chairs) 특화채널이다. 해당 지점은 현지 고액자산가 고객을 공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트남 경제중심지인 호치민시 남서부에 위치한 서사이공지역에는 많은 부유층 고객이 거주하고 있다. 베트남우리은행은 베트남 현지인 지점장을 영입해 PB영업을 추진한다. 또한 다수의 쇼핑몰과 대학교가 밀집해있어 젊은 세대 유동 인구가 많은 곳으로 △디지털플랫폼 글로벌WON뱅킹 △QR결제서비스 △체크카드·신용카드 등 리테일 영업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베트남우리은행은 개인고객수가 2022년 말 37만명에서 올해 11월 기준 62만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개인고객 여·수신 실적도 4억9000만 달러에서 10억2000만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현지 리테일 영업 부문에서 가파르게 성장했다. 특히 지난해 새롭게 도입한 QR결제 서비스를 통해 상점들의 집금 계좌를 유치함으로써 우리은행 계좌를 통한 QR결제 누적 건수는 110만건에 달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네번째 PB특화채널인 서사이공지점을 통해 본격적으로 고액자산가 영업에 나선다"며 “베트남우리은행은 지속적으로 영업채널을 확충하고 디지털 영업을 강화해 많은 현지 고객들에게 우리은행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농협은행 정기예금, 정기예금 브랜드평판 12월 빅데이터 분석 1위

정기예금 브랜드평판 2024년 12월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NH농협은행의 정기예금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SBI저축은행 정기예금, 아이엠뱅크 정기예금 순이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11월 24일부터 한 달 간 88개 정기예금 브랜드 빅데이터 2017만9287개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행동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11월 정기예금 브랜드 빅데이터 1705만3744개와 비교하면 18.33% 증가했다. 정기예금이란 '정기'라는 말대로 통장에 돈을 넣어놓고 정해진 기간 동안 찾지 않는 예금이다. 정기예금은 정해진 기간 동안 돈을 찾지 않는 만큼 은행은 그 돈을 대출해 줄수 있기에 다른 예금보다 이자가 높다. 적금은 목돈을 만들기 위해 매달 돈을 넣는다면, 정기예금은 목돈을 넣어놓고 이자를 받는 상품이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정기예금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소비자와 브랜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계분석으로 측정된다.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브랜드평판 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2024년 12월 정기예금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농협은행, SBI저축은행, 아이엠뱅크, 케이뱅크, OK저축은행, 기업은행, 광주은행, 수협은행, 우리은행, 전북은행, 웰컴저축은행, SC제일은행, 신한저축은행, 고려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 KB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NH저축은행, JT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스마트저축은행, 다올저축은행, 우리저축은행, 대신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 키움저축은행, IBK저축은행, BNK저축은행 정기예금 순이었다. 정기예금 브랜드평판 1위를 차지한 농협은행 정기예금 브랜드는 참여지수 44만3448, 미디어지수 49만6380, 소통지수 49만184, 커뮤니티지수 63만3055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206만3067이었다.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91만9883과 비교해보면 7.46% 상승했다.​ 2위에 오른 SBI저축은행 정기예금 브랜드는 참여지수 29만3034, 미디어지수 32만3951, 소통지수 36만3606, 커뮤니티지수 40만6518이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138만7109였다.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50만7017과 비교해보면 7.96% 하락했다.​ 3위인 아이엠뱅크 정기예금 브랜드는 참여지수 24만9034, 미디어지수 30만34, 소통지수 35만4828, 커뮤니티지수 36만9947이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127만3843이었다.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57만313과 비교해보면 18.88% 하락했다.​ ​4위인 케이뱅크 정기예금 브랜드는 참여지수 22만1489, 미디어지수 48만7739, 소통지수 31만8633, 커뮤니티지수 24만3083이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127만943이었다. 11월 브랜드평판지수 61만4724와 비교해보면 106.75% 상승했다.​ 5위를 기록한 OK저축은행 정기예금 브랜드는 참여지수 10만1521, 미디어지수 41만6566, 소통지수 16만1520, 커뮤니티지수 13만7670이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81만7277이었다. 11월 브랜드평판지수 52만2227과 비교해보면 56.50% 상승했다.​ 구창환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소장은 “정기예금 브랜드평판 2024년 12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농협은행 정기예금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정기예금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11월 정기예금 브랜드 빅데이터 1705만3744개와 비교하면 18.33% 증가했다"며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2.91% 상승, 브랜드이슈 42.80% 상승, 브랜드소통 11.42% 상승, 브랜드확산 2.19% 상승했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특징주] 이수페타시스, 금감원 2차 제동에 유증 철회 가능성 ↑…3%대 급등

금융감독원이 이수페타시스의 유상증자에 재차 제동을 걸면서 이수페타시스 주가가 장 초반 강세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57분 기준 이수페타시스는 전 거래일 대비 1000원(3.98%) 오른 2만7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금감원의 정정 요구로 유상증자 철회 가능성이 높아진 점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수페타시스는 전날 금감원으로부터 유상증자 정정신고서에 또 한 번 정정을 요구받았다고 공시했다. 금감원은 지난 2일에도 이수페타시스의 증권신고서에 대해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한 바 있다. 금감원이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한 것은 증권신고서에 중요사항이 기재되지 않았거나 불분명해 투자자의 합리적인 투자 판단을 저해하거나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에서다. 당초 이수페타시스는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한 이후 주주들로부터 반발을 샀다. 이수페타시스는 지난달 8일 장 마감 이후 공시를 통해 5500억원 규모의 깜짝 유상증자를 발표했는데, 이 가운데 3000억원 가량을 이차전지 부품 기업 제이오를 인수하는 데 사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이수페타시스 주주들은 본업과 무관한 이차전지 부품 기업을 인수하는 것은 주주가치 훼손에 해당한다며 유상증자에 반대했다. 이수페타시스는 이수그룹 계열사로 IT 전기·전자(PCB) 제조 업체다. 제이오 인수를 통해 사업 영역을 다각화한다는 게 사측의 입장이지만 주주들은 제이오 인수로 회사가 얻을 시너지가 불명확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에 이수페타시스 소액주주연대는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서울 서초구 이수화학빌딩 앞에서 유상증자에 반대하는 트럭 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번 금감원의 정정 요구로 이수페타시스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는 효력이 정지됐으며 이수페타시스는 3개월 이내에 정정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3개월 내에 정정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자본시장법에 따라 정정신고서는 철회된 것으로 간주된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특징주] 쓰리에이로직스, 코스닥 상장 첫날 14% ↑

팹리스 기업 쓰리에이로직스가 코스닥 상장 첫날 장 초반 14%대 상승하고 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5분 기준 쓰리에이로직스는 공모가(1만1000원) 대비 1620원(14.73%) 오른 1만26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초가는 1만4060원으로 형성됐으며 개장 직후 1만491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쓰리에이로직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분야 팹리스 기업이다. 글로벌 NFC 시장이 오는 2028년 5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쓰리에이로직스도 NFC 관련 기술 고도화를 통해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쓰리에이로직스는 △NFC 리더 수신단 기술 △NFC 태그 수신단 기술 △NFC 카드 검출 기술 △듀얼밴드 태그 기술 등 핵심 원천기술에 대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차량용 NFC 칩 양산 및 CCC 인증을 획득했다. 쓰리에이로직스는 지난 13일과 16일 양일간 진행한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에서 58.4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1493억원의 증거금을 모았다. 앞서 지난 4~10일에는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희망 범위(1만5700~1만8200원) 하단을 밑도는 1만1000원에 최종 공모가를 확정했다. 쓰리에이로직스는 이번 IPO를 통해 총 204억원의 공모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해당 자금은 차세대 NFC 핵심 제품 개발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차입금 상환에 활용할 방침이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이젠 신창재의 시간...교보생명, ‘공정가치 산정’ 남았다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과 재무적투자자(FI)인 어피니티 컨소시엄 간에 풋옵션 분쟁에서 신 회장이 감정평가기관을 선임해 주식 공정시장가치(FMV)를 산정해야 한다는 2차 국제 중재가 나오면서 향후 신 회장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어피니티는 교보생명 지분 24.01%에 대해 액면분할 전 기준 주당 40만9000원에 되사가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만, 신 회장과 업계 안팎에서는 해당 가격의 적정성에 의문을 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신 회장이 감정평가기관을 선임하고, 어피니티 측과 협상을 통해 합당한 가격을 산정하는 것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제상업회의소(ICC) 중재판정부는 교보생명 2대 주주인 어피니티 컨소시엄(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IMM PE, BPEA EQT(구 베어링 PEA), 싱가포르투자청)이 신 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2차 중재에서 신 회장이 어피니티의 풋옵션 주식 공정시장가치(FMV)를 산정할 감정평가기관을 선임해야 한다고 판정했다. 신 회장 측은 기판력을 근거로 2차 중재가 무효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ICC 중재판정부는 신 회장이 30일 이내, 즉 내년 1월 말까지 평가기관을 선임해 FMV를 산정하지 않는다면 하루에 20만불(약 3억원)의 강제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했다. ICC가 어피니티 측에서 제시한 강제금(200만불)을 하향 조정하면서도, 신 회장이 계약상 의무를 이행할 제재 수단을 명시한 것이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국제중재에서 강제금을 부과하는 것은 상당히 드문 일"이라며 “감정평가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신 회장이) 벌금을 내는 걸 감수하면서도 2차 중재 이행을 거부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신 회장은 30일 이내에 감정평가기관을 선임하고, 풋옵션 가격을 산정해야 한다. 만일 신 회장과 어피니티가 제시한 FMV 차이가 10% 이내이면 두 가격의 평균을 행사 가격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차이가 10% 이상일 경우 어피니티의 감정평가기관인 안진회계법인이 제3의 평가기관 3곳을 제시해야 한다. 이 중 한 곳을 신 회장이 택하면 그 평가기관이 제시한 가격이 풋옵션 가격이 된다. 결국 양측 분쟁의 신 회장의 결단과 풋옵션 가격으로 귀결된다. 어피티니가 2012년 대우인터내셔널(현 포스코인터내셔널)로부터 주당 24만5000원에 교보생명 지분 24.01%를 인수한 이후 지금까지도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배경에는 풋옵션 이행 여부, 가격 등을 두고 어피니티와 신 회장 측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어피니티는 2018년 주당 40만9000원에 풋옵션을 행사했지만, 신 회장은 가격이 지나치게 높게 책정됐다며 이를 거부했다. 보험업계에서도 어피니티가 주장하는 40만9000원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보고 있다. 교보생명이 2019년 5분의 1 액면분할을 단행했고, 총 발행주식이 1억250만주인 점을 고려할 때 어피니티가 제시한 가격으로 단순 계산하면 교보생명의 시가총액은 8조원이 넘는다. 이는 보험 대장주인 삼성생명(20조5000억원)은 차치하고서라도 교보생명과 규모가 비슷한 한화생명(2조2148억원) 시가총액의 4배에 달한다. 나아가 교보생명이 작년 8월 우리사주조합, 골드만삭스로부터 자사주 2%를 매입할 당시 주당 가격은 19만8000원이었다. 어피니티가 요구하는 41만원대와는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보생명과 어피니티 간에 오랜 분쟁이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는 신 회장이 평기기관을 선임해 FMV를 산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후 안진이 제시하는 평가기관 3곳이 객관성, 공정성을 바탕으로 얼마나 합리적인 가격에, 납득할 만한 가격을 제시하는지가 관건이다. 신 회장 측은 어피니티가 시장에서 납득할 만한 수준으로 풋옵션 가격을 제시한다면, 이를 수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신 회장이 또 다른 재무적 투자자(FI)를 포섭해 어피니티의 지분을 되사는 방안도 유력하게 거론된다. 업계 관계자는 “풋옵션 가격이 객관성을 바탕으로 공정하게 산정됐다면, 신 회장과 어피니티 간에 분쟁이 장기전으로 흐르지 않았을 것"이라며 “해당 분쟁의 본질은 (신 회장의 자금조달 방안이 아닌) 풋옵션 가격의 객관성 확보 아니겠나"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크래프톤과 펄어비스, 엇갈린 증권사 의견

대신증권은 크래프톤이 배틀그라운드(이하 배그)의 글로벌 입지와 신작, 인도 시장 성장성에 주목하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8만원을 유지했다. 그에 반해 KB증권은 펄어비스의 기대작 '붉은사막' 출시 지연으로 2025년과 2026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으나 목표주가를 5만2000원에서 4만2000원으로 19.2% 하향했다 24일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크래프톤은 펍지(PUBG) 모바일만으로도 2025년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며 “배틀그라운드의 성장이 전 플랫폼에서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2024년 매출액은 2조7781억원, 영업이익은 1조247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5.4%, 62.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배틀그라운드 PC 버전의 트래픽이 70만명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연초 대비 약 20만명 증가한 수치"라며 “이러한 트래픽 우상향은 2023년 초부터 시작된 적극적인 부정행위 모니터링 강화와 맵, 콜라보, 콘텐츠 등의 업데이트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2025년 신작 6개가 출시될 예정"이라며 “특히 inZOI의 출시 전 스팀 지표가 상당히 긍정적이며, 지스타 이후 위시리스트 순위는 5위를 유지 중"이라고 강조했다. 인도 시장에 대해서는 “2023년 5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 서비스 재개 이후 적극적인 퍼블리싱 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2024년에는 불렛에코와 쿠키런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선화 KB증권 연구원은 “펄어비스가 최근 TGA(더게임어워드)에서 '붉은사막'의 출시일을 2025년 연말로 제시했다"며 “당초 예상했던 2025년 3분기보다 더 지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2024년 매출액은 3290억원, 영업손실은 250억원으로 예상되며, 2025년에는 매출액 5220억원, 영업이익 94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검은사막'의 IP(지적재산권)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붉은사막' 출시가 지연되면서 차기작 '도깨비'의 신규 비용과 출시 일정의 불확실성이 높아져 2025년과 202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19.7%, 17.2%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현재 주가는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17.8배로 저평가된 수준"이라면서도 “신작 출시 이벤트까지 장기간 기다려야 하고, 출시일 확정 발표 등 주가 변동성을 확대할 요인이 존재한다는 점은 리스크"라고 덧붙였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라이콤, 광통신 본업 부진 속 자율주행 기대감 [IBK투자증권]

IBK투자증권은 라이콤에 대해 광통신 본업 실적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율주행 관련 기대감이 여전히 높다고 전망했다. 24일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주력 제품인 광증폭기가 24년 3분기 누계 매출의 6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은 일본과 유럽 사업자"라며 “광송수신기는 16.1% 비중으로 CATV망을 위한 양산 제품군"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자율주행 관련해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를 라이다 개발업체로 공급한 이력이 있다"며 “매출 비중은 아직 의미 없는 수준이지만 기대감은 여전히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매출액이 감소하고 영업적자가 지속되며 보유 현금이 감소하는 추세"라며 “2024년 3분기말 재고자산이 73.2억원인데 비해 3분기 매출액은 27.3억원에 불과해 향후 매출에 따라 유동적일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농협금융, 전략기획부문 부사장에 이재호 선임

농협금융지주는 23일 이재호 신임 전략기획부분 부사장 인사를 실시했다. 이재호 신임 부사장은 1967년생으로, 1993년 농협중앙회에 입사했다. 이후 농협중앙회에서 EU사무소장, 경영전략팀장 등을 역임했고, 농협금융지주에서 글로벌전략국장, 농협은행에서 외환파생추진단장을 맡았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는 농협중앙회 농협경제연구소에서 부소장·소장을 지냈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이재호 부사장은 약 22년간의 금융 업무경력 보유로, 농협금융의 비전, 영업전략, 사업계획과 전략체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농협금융지주의 전략기획 책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전문성을 갖췄다"고 말했다. 신임 부사장 임기는 내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