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케이카 “준대형 세단 그랜저·K8 3월 시세 보합”

케이카는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유통되는 출시 12년 이내 740여개 모델을 대상으로 평균 시세를 분석한 결과 다음달 현대차 더 뉴 그랜저의 평균 시세가 2574만원으로 전월 대비 1.0%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29일 밝혔다. 중고차 시세가 통상적으로 매월 1% 안팎의 감가를 이어가는 점을 고려하면 보합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더 뉴 그랜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선보인 준대형 세단 모델이다. 현재 그랜저 시리즈의 최신 모델인 그랜저 GN7의 바로 직전에 출시됐다. 더 뉴 그랜저의 평균 시세는 지난해 12월 2700만원에서 지난달 2681만원, 이달 2600만원 등으로 하락을 이어왔다. 더 뉴 그랜저와 같은 차급으로 꼽히는 기아 K8(2021년~현재) 역시 지난해 12월 3039만원에서 지난달 3007만원, 이달 2979만원, 다음달 2956만원 등으로 하락을 이어갔다. 조은형 케이카 PM팀 애널리스트는 “국산 준대형 세단 인기 모델의 시세 하락에 따라 이들을 찾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모습"이라며 “2000만원 중반~3000만원대 가격대인 이들 모델의 판매가 활발해지며 매물 회전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삼성전자, 2024년형 네오 QLED·OLED·98형 신제품 사전 판매

삼성전자는 네오(Neo) QLED 8K·Neo QLED·삼성 OLED 등 2024년형 TV 신제품 공식 출시에 앞서 다음달 1일부터 14일까지 사전 판매를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2024년형 Neo QLED 8K는 회사 TV 프로세서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지닌 512개의 뉴럴 네트워크를 가진 '3세대 인공지능(AI) 8K 프로세서'를 탑재했다. 다양한 콘텐츠를 8K 화질로 선명하게 업스케일링해 탁월한 화질을 구현한다고 삼성전자는 소개했다. 2024년형 삼성 OLED에는 UL 인증을 받은 'OLED Glare Free' 기술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색상의 정확도와 선명도를 유지하면서 빛 반사를 줄여준다. 삼성전자는 이외에도 98형 Neo QLED·UHD를 신제품을 출시하며 초대형 제품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2024년 TV 행사 제품과 함께 사운드바, 더 프레임, Neo QLED 등을 구매할 경우 무상 증정 또는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98형 Neo QLED 4K 구매 시 199만원 상당의 사운드바를, 85형 Neo QLED 8K 구매 시 139만원 상당의 사운드바를 무상으로 증정한다. 또 Neo QLED 8K 구매 시 벽면에 타공 없이 안전하고 깔끔하게 TV를 벽걸이로 설치할 수 있는 '삼성 TV 무타공솔루션'을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24년형 TV 구매 고객 모두에게 3개월 티빙 프리미엄 이용권 증정 혜택도 제공한다. Neo QLED 8K를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삼성 8K Club' 특별 혜택을 추가로 제공한다. △무상수리 보증기간 2배 연장 △삼성케어플러스 이전 설치 등 상품 50% 할인 △지인에게 Neo QLED 8K 제품을 추천 후, 지인이 구매할 경우 추천인과 구매자 모두에게 신라호텔 '더 파크뷰' 식사권을 제공하는 등 혜택이 준비됐다. 2024년형 TV 신제품 출고가는 △Neo QLED 8K(QND900) 85형 1590만원, 75형 1290만원 △Neo QLED 4K 98형(QND90) 1490만원, 85형(QND95) 959만원, 75형(QND95) 819만원이다. 황태환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18년간 세계 시장 1위 자리를 지켜 온 삼성 TV 신제품을 사전 판매를 통해 풍성한 혜택과 함께 만나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한온시스템, 포르투갈에 신규 엔지니어링 센터 개관

한온시스템은 포르투갈 파멜라에 신규 엔지니어링 센터를 개관하고 오픈 행사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1998년부터 운영을 시작한 파멜라 공장은 히트펌프 시스템의 필수 부품인 전동 컴프레서를 생산하는 한온시스템의 유럽 주력 공장이다. 엔지니어링 센터는 파멜라 캠퍼스 내에 자리잡았다. 신규 센터는 기존 및 신규 테스트 작업공간과 시제품 조립 공간 및 엔지니어링룸을 통합하는 2층 규모로 조성됐다. 총 대지면적은 2488㎡다. 건물 내에는 4개의 콘퍼런스룸, 강당 및 카페테리아가 구비됐다. 또 현지 고객사 대응을 위한 △인버터 소프트웨어 개발 △브라켓 및 컴프레서 설계 △시제품 제작 △환경, 기후 및 전기·전자 성능 및 내구성 테스트 등의 연구가 가능하다. 너달쿠추카야 한온시스템 공동집행임원은 “파멜라 엔지니어링 센터는 전문가와 최첨단 테스트 역량을 갖춘 공간"이라며 “현지 비즈니스 및 고객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회사의 의지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대한전선, 154kV 초고압 해저케이블 시스템 개발···국제 인증 획득

대한전선은 154kV급 초고압 해저케이블 시스템의 개발을 완료하고 KEMA 국제 공인 인증을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KEMA는 네덜란드의 공인 시험 기관이다. 전기 안전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공신력이 높다. 대한전선은 이번 인증 획득을 통해 국내외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해저케이블 프로젝트에 입찰 참여의 기회를 확보하게 됐다. 154kV급 해저케이블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와 육지를 연결하는 외부망(Export Cable)에 주로 사용된다. 실제로 영광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 등을 포함해 국내에서 진행되는 다수의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외부망이 154kV로 설계돼 있다. 이 전압의 케이블은 육지 및 대륙 간의 전력망을 연결하는 상호접속(Interconnection) 용도로도 주로 사용되고 있어 사업 참여의 기회가 많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향후에는 해상풍력 발전단지 대형화와 발전 용량 증가 추세에 따라 내부망(Inter Array Cable)에도 154kV급이 채택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내부망은 해상풍력 발전 단지 내 터빈과 터빈, 터빈과 해상 변전소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대한전선은 2025년에 준공되는 해저케이블 1공장에서 154kV 등 초고압 해저케이블을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 당진시 고대부두에 건설 중으로, 해상풍력 발전 단지에 사용되는 내부망과 외부망의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케이블 사업에서 수십 년간 쌓아온 공고한 네트워크와 시장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사전 영업을 통해 해저케이블 분야에서 빠르게 수주 기회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에 매진해 345kV 해저케이블 및 HVDC 해저케이블 등에서도 조속한 성과를 내겠다"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넷마블 ‘마브렉스’,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코인원’ 상장

넷마블의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마브렉스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코인원에 마브렉스(MBX) 토큰을 상장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용자들은 한국 시간 기준 이날 오후 7시부터 코인원에서 MBX 토큰 거래 및 입출금을 진행할 수 있다. 마브렉스는 거래소 상장을 기념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먼저 오는 3월 5일까지 이벤트 기간 내 일별 마브렉스 10만원 이상을 거래한 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거래 기여도 이벤트'를 선보인다. 일별 MBX 거래 기여도에 따라 차등으로 보상이 제공되며, 인당 일별 최대 660 MBX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일별 MBX 거래 기여 상위 10명의 이용자에게는 'Lunar NFT'를 지급한다. 기여도 1위는 Lunar NFT 3개, 2~3위는 인당 2개, 4~10위는 인당 1개를 획득할 수 있다. MBX를 보유하고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홀딩 이벤트'는 3월 10일까지 진행된다. 우선 이벤트 기간 내 신규 가입 회원 중 MBX 보유 회원 200명을 랜덤으로 추첨해 인당 22 MBX를 지급한다. 또한 최근 1년(2023.02.27~2024.02.27)이내 거래 내역을 보유한 기존 회원 중 MBX 보유 회원 200명을 랜덤으로 선정, 동일한 MBX를 제공한다. MBX 보유량에 따라 'Puzzle NFT'도 차등 지급한다. 1~10위는 인당 Puzzle NFT 28개, 11~20위는 인당 21개, 21~50위는 인당 14개, 51~100위는 인당 7개, 101위~804위는 인당 1개를 받는다. 한편, 마브렉스는 최근 2024년 상반기 로드맵을 공개하고 클레이튼과 협업을 통해 게임파이 플랫폼을 활용한 생태계를 원활하게 통합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특히 클레이튼 생태계 내에서 마브렉스의 MBX 토큰이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윤소진 기자 sojin@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