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코로나19와 경기 부진에 따른 충격을 금융기관 대출로 버텨온 자영업자들 중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4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영업자 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 2분기 말 기준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1043조2000억원을 기록하며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이 현황은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사업자대출 보유자를 자영업자로 간주하고, 이들의 가계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을 더해 분석한 결과다.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 1014조2000억원을 기록한 후 네 분기 연속 1000조원을 돌파했다. 1분기(1033조7000억원)와 비교해 3개월 만에 9조5000억원이 더 늘었다. 같은 기간 연체액(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1조원이 또 늘어 역대 가장 많은 7조3000억원에 이르렀다. 연체율 상승세도 꺾이지 않고 있다. 2분기 기준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기관 연체율은 1.15%로 전분기(1.00%) 대비 0.15%포인트(p) 높아졌다. 자영업자 연체율이 1.15%를 기록한 것은 2014년 3분기(1.31%) 이후 8년 9개월 만에 가장 높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을 소득별로 보면 저소득층(소득 하위 30%)은 1분기 1.6%에서 2분기 1.8%로 0.2%p 상승했다. 2014년 1분기(1.9%) 이후 9년 3개월 만에 가장 높다. 중소득(소득 30∼70%) 자영업자 연체율(2.2%)은 3개월 새 0.4%p 더 높아졌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2.4%)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다. 고소득(소득 상위 30%) 자영업자 연체율은 1.2%로, 2015년 3분기(1.2%) 이후 7년 9개월 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처럼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으나, 저·중소득 자영업자 대출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저소득 자영업자의 전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2분기 125조2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조2000억원 불었다. 같은 기간 중소득 자영업자(187조2000억원→200조9000억원) 대출은 13조7000억원 늘었다. 저소득·중소득 자영업자의 지난 2분기 말 기준 대출 잔액은 모두 역대 최대 규모다.특히 자영업자 대출의 부실 조짐은 비은행 2금융권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2분기 기준 은행권과 비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은 0.41%, 2.91%로 각각 집계됐다. 석 달 동안 은행에서 0.04%p 올랐고, 비은행권에서는 0.37%p 급등했다. 은행권 연체율은 2016년 3분기(0.43%) 이후 6년 9개월 만에, 비은행권 연체율은 2015년 4분기(3.05%)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높다. 비은행권을 다시 세부업권으로 나눠보면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2.52%), 저축은행(6.42%),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1.97%)의 2분기 연체율이 전분기 대비 0.30%p, 1.25%p, 0.17%p 각각 올랐다. 한은 시계열을 보면 저축은행 연체율은 2016년 3분기(6.91%) 이후 6년 9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자영업자 대출 중 이미 여러 곳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가계대출 받은 기관 수와 개입사업자 대출 상품 수의 합이 3개 이상인 대출자)’ 비중도 어느 때보다 크다. 2분기 기준 자영업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은 743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약 9%(6조4000억원) 더 늘었다. 전체 자영업 대출의 71.3%에 해당하는 규모로, 역대 최대 비중이다. 자영업 다중채무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4억2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금리가 0.25%p 오르면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전체 이자와 1인당 평균 연이자는 각 1조3000억원, 73만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변동금리 비중으로 최신 추정치인 64.5%를 적용한 결과다.전체 자영업자는 금리가 앞으로 0.25%p 높아질 때마다 총이자는 1조8000억원, 대출자 1인당 이자는 연 58만원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dsk@ekn.kr서울의 한 시중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