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보툴리눔 톡신 대표주자 휴젤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매출·영업이익 역대 최고치 경신에 청신호를 켰다. 1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휴젤의 매출액 컨센서스는 약 2083억원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 1697억원과 비교해 19.6% 성장한 수치다. 올해 2분기만 봐도 전년동기(954억원) 대비 24.1% 증가한 1185억원 규모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예측됐다. 영업이익 증가세는 더 가파른 것으로 추정된다. 휴젤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983억원으로 전년동기(663억원) 대비 48.2% 성장이 예상된다. 이 추세라면 올해 창사 이래 최초로 연간 영업이익 2000억원 돌파도 가능할 전망이다. 앞서 휴젤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3730억원, 영업이익 1663억원을 올려 전년대비 각 16.7%, 41.2% 성장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올해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두 자릿 수 고성장을 이어가며 역대 최고 실적 경신에 청신호를 켜고 있다. 이 같은 휴젤의 성장세는 주력제품인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미국제품명 레티보)'와 HA필러(더채움·바이리즌 스킨부스터 HA)'의 글로벌 시장 선전이 주요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2분기만 보면 레티보의 미국 수출이 재개된 동시에 북미 및 남미 수출이 대폭 증가하며 전체 톡시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20% 가량 증가했다. 필러 수출 역시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두 자릿수 증가했으며 화장품도 70% 가량 고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수 시장보다 큰 글로벌 시장에서 선전하며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증권가는 휴젤의 하반기 성장세가 상반기 실적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4월 미국에 레티보를 출시한 휴젤은 하반기에 현지 파트너사 베네브를 통해 레티보 판매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브라질 톡신 수출도 증가하고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수출도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지만 상당기간 유예 가능성도 내비친 만큼 당장 하반기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해 200%의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기업들에게 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줄 것이라고 말해 최대 18개월 가량의 유예 가능성도 내비쳤다. 이에 따라 휴젤을 비롯한 주요 대미 의약품 수출 기업들은 상황을 주시하면서도 현지 재고 물량 비축 등 대비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휴젤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 레티보 미국행 선적이 이뤄졌다"며 “실제 의약품 관세 부과가 시행되기까지 상황이 유동적인 만큼 진행 상황을 지켜보며 그에 맞춰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