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중고 의류 사고 파는 젊은세대…유통업계, ‘리커머스’ 사업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0 17:41

백화점업계, 헌옷 수거 조건 포인트 지급 ‘자원순환 모델’

무신사, ‘솔드아웃’ 이어 ‘유즈드’ 선보여 “판매 범위 확장”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의 자원순환 캠페인 '리: 어스'의 '그린 리워드' 홍보 이미지. 사진=롯데백화점

입던 옷을 사고 파는 '리커머스' 시장이 갈수록 활기를 띠면서 유통업계도 관련 사업 강화에 한창이다.


헌옷 수거를 조건으로 보상 서비스를 선보이거나, 중고거래에 최적화된 판매 기능까지 새롭게 도입하는 등 소비 흐름에 맞춰 발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오는 11일부터 중고 패션 반환 시 그룹사 통합 멤버십 엘포인트로 교환해주는 '그린 리워드 서비스'를 시작한다. 2019년 이후 제조된 151개의 컨템포러리·골프·스포츠·디자이너 패션 브랜드 제품이 수거 대상이다.


제품 정밀 검수를 거쳐 브랜드·품목 등에 따라 최소 5000원에서 최대 28만원 포인트를 차등 지급하는 방식이다. 수거된 제품은 세탁·정비 과정을 거쳐 협업사를 통해 중고 시장에 재판매된다.


롯데백화점이 현금성 리워드를 앞세운 자원순환형 리커머스 서비스를 도입한 이유는 지속가능한 소비 모델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소비자 입장에선 직접 중고 거래하는 불편함을 덜어낼 수 있고, 기업 입장에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측면에서 긍정적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어서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상품별로 포인트 지급 기준이 매우 다르며 자세한 것은 직접 검수하면서 알 수 있는 부분"이라며 “2019년 이후 제조된 상품으로 제한을 둔 것은 통상 중고 시장에서 만들어진 지 6년 이상의 오래된 제품은 재판매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의 중고 패션 보상 프로그램 '바이 백 서비스' 홍보 이미지. 사진=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도 중고 패션 보상 프로그램 '바이백' 서비스를 이달부터 정식 운영한다. 고객이 입던 옷을 되팔면 시장 중고 시세에 맞춰 자체 그룹 통합 멤버십인 H포인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거 대상은 현대백화점·더현대닷컴에 입점한 130여개 브랜드 제품이다.


구성품·라벨 여부·출시 시점 등 상품 검수를 거쳐 매입 금액만큼 고객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며, 해당 상품은 오는 8월부터 협업사 홈페이지를 통해 재판매된다. 지난 5월부터 시범 운영해온 결과, 고객 1000여명이 서비스를 이용했으며 이 가운데 2회 이상 사용한 비중만 30% 이상에 이른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제조된 최신 제품 위주로 받을 것 같다"면서 “매입한 제품을 리세일용으로 제공받는 업체 측에서 일부 수수료를 제공해 수익을 얻는 구조로, 구체적인 액수는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커머스 업계에서도 리커머스 사업은 빼놓을 수 없는 핫 키워드다. 가장 두드러진 행보를 보이는 곳은 무신사다. 이미 2023년 하반기부터 한정판 리셀 플랫폼 '솔드아웃'을 운영해 왔지만, 올 하반기 중 신규 중고 패션·잡화 거래 서비스 '무신사 유즈드'를 추가로 선보인다.


별도 플랫폼이 아닌 기존 무신사 앱 내 도입되는 무신사 유즈드는 입점과 무관하게 최대 1만5000여개의 브랜드 제품을 취급한다. 거래 가능한 브랜드가 제한된 솔드아웃 대비 거래 범위를 넓힌 것이 특징이다.


유통업계가 리커머스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시장 성장세 때문이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 기조,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젊은 층의 성향까지 맞물리면서 빠르게 몸집을 불리고 있다는 업계 분석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08년 4조원에 그쳤던 국내 중고거래 시장 규모는 2023년 26조원, 지난해 30조원으로 급증했다. 올해도 43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