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차를 비롯한 차량 구매가 늘어나면서 카드사들의 자동차할부금융 취급액도 확대되고 있다.[사진=챗GPT]
카드사들이 자동차할부금융 취급액을 늘리고 있다. 내수 부진으로 5월 카드 승인실적이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에 그치고, 가맹수수료율 인하로 본업 수익성 반등이 어려워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부상하는 셈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 차할부금융을 취급하는 6곳(삼성·신한·KB국민·우리·하나·롯데카드)의 취급액은 1조29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6% 증가했다. 이는 금융사가 자동차 구매대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대신 소비자가 금융사에 원리금을 상환하는 방식이다.
기업별로 보면 신한카드(5826억원)는 79.1%, 롯데카드(1833억원)는 22.3%, 하나카드(1224억원)는 7.3% 늘어났다. 삼성카드(791억원)는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지만, 5배 가까이 불어나는 등 취급액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취급액 증가는 자동차 내수시장과 관련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1~3월 자동차 내수 판매량은 38만8294대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특히 친환경차(16만9013대, +21.1%)가 이같은 흐름을 주도했다.
하이브리드·순수전기차(EV) 판매량 확대가 차할부금융 수요로 이어진 셈이다. 친환경차는 대형 배터리·첨단 전장부품 탑재를 비롯한 이유로 동급 차량 기준 내연기관 차량 보다 가격이 수백만원 높다. 그러나 하이브리드는 초기 구매 비용 부담을 연비로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소문이 돌면서 판매량이 확대되는 중으로, 전기차도 국산을 중심으로 약진을 거듭하고 있다.
5월에는 친환경차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50%를 돌파하는 등 향후에도 친환경차 구매를 위해 카드사에 손을 내미는 오너들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가 올해 말까지 연장된 것도 호재다. 신차 구매시 대부분 차량가격의 3.5%(최대 100만원)까지 감면하는 정책이 구매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이다. 전기차 구매시 국고 보조금 최대 800만원, 취득세 감면(140만원) 등의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중고차를 구매하는 경우에도 개소세 인하 혜택이 제공된다.
금융당국의 카드론 규제 강화로 관련 취급액을 늘리기 힘들어진 카드사로서는 카드사 차할부금융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계산에서 제외된 것을 환영하는 모양새다. 기존에 시장을 이끌었던 캐피털사의 금융상품이 정식 대출로 간주되는 탓에 규제 범위에 포함됐으나, 카드사의 할부금융은 신용카드 결제의 연장선으로 분류되면서 '올가미'를 벗어났다.
실제로 2023년말 10조원을 넘던 카드사들의 관련 자산은 지난해말 9조4710억원 수준으로 떨어졌다가 올 1분기 9조5777억원 규모로 반등했다.
차할부금융은 안정적인 수익도 창출하고 있다. 2023년 1분기 963억원이었던 6개사의 총 수익은 같은해 6월 1000억원을 돌파한 이후 꾸준히 분기당 1000억원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다. 올 1분기(1076억원)는 전분기 대비 2.1%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소폭 커졌다.
차할부금융이 전체 할부금융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6%에 달하고, 90%를 밑도는 기업은 없었다. 6곳 중 3곳은 사실상 전액을 차할부금융에 의존했다.
신한카드의 경우 분기당 400억원대의 수익을 내는 중으로, KB국민카드가 300억원대 초반으로 뒤를 잇고 있다. 롯데카드 역시 지난해 4분기부터 100억원을 넘어섰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를 비롯한 신사업도 아직 가시적인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만큼 규제 환경과 시장 상황이 조금이라도 양호한 곳을 주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