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관과 투자은행에서 줄줄이 하향 조정한 가운데 국내외 기관들의 성장률 전망치 평균이 2.0%인 것으로 분석됐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고 미국 대선 결과로 인한 대내외 불확실성까지 확대되고 있어서다. IMF가 강력한 경제 정책을 강조한 이유다. 경제 컨트롤 타워를 중심으로 각 경제 주체들이 하방 리스크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에너지경제신문이 대내외 기관들 14곳의 내년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분석한 결과 국내 기관 4곳과 국외 기관 및 투자은행 10곳의 전망치 평균은 2.0%다. 기관별로 보면 국내에서 정부 2.2%, 한국은행 2.1%, KDI 2.0%, 한국금융연구원 2.0%, 해외에서 OECD 2.2%, IMF 2.0%를 내놨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별로 보면 바클리 1.8%,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2.2%, 씨티 1.8%, 골드만삭스 2.2%, JP모건 1.8%, HSBC 1.9%, 노무라 1.9%, UBS 2.1%로 전체 평균은 2.0%에 수렴됐다. 이들 기관과 은행들은 내년에도 내수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IMF는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는 원인으로 가계와 기업의 부채 부담을 1순위로 꼽았다. 반도체 등 수출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부채가 가계 지출과 기업 투자를 억누르며 경기 개선을 제약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금융당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지체되며 통화정책 긴축기조가 이어지는 것도 내수 억제 요인으로 언급됐다. 중국의 밀어내기 저가 공세, 미중 무역 갈등, 우크라이나·중동 전쟁 등이 이미 대외 불안요인이었다. 특히 미국 대선에서 강경 보호무역주의자인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더 불확실성이 커졌다. 트럼프 당선인은 2026년 모든 제품에 10~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 60%의 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공언해 왔던 만큼 내년으로 시기가 앞당겨지면 1%대 성장률이 현실화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윤석열 정부의 2.0% 성장률은 역대 정부에서 최저 성장률로 유력시 될 전망이다. 김대중 정부에서 5.58%로 5%대를 유지하다가 노무현 정부에서는 4.74%로 내려갔다. 이명박 정부에선 3.4%, 박근혜 정부에선 3.15%로 3%대로 떨어졌다. 문재인 정부에 들어선 2.56%로 2%대까지 추락했다. 한국 경제가 '1%대 성장률'로 추락할 경우 이례적인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률이 2.0% 미만(1981년 이후 기준)을 기록한 건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금융위기 발생 이후 2009년(0.8%),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2020년(-0.7%)과 2023년(1.4%) 네 번밖에 없었다. IMF는 한국경제의 대외 불확실성을 거듭 지적하면서 '강력한 경제정책'을 주문했다.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고, 하방 리스크가 더 큰 편인만큼 국내외 환경 변화에서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경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라훌 아난드(Rahul Anand) IMF한국미션단 단장은 중장기적인 경제 개혁의 중요성에 대해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개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한국의 출산율을 저해하는 경제적 제약 요인 완화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대 그리고 외국인 인재 유치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은은 이달 28일 '11월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의 경제성장률을 제시할 전망이다. 한은이 전망치에서 1%대로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경우 국내 기관으로는 1% 성장을 점치는 기관으로 최초가 된다. 이에 따라 한은의 수정 전망치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종환 기자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