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업인 10명 중 6명 이상이 구명조끼 미착용으로 인명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수협중앙회가 구명조끼 보급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27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동안 어선 안전사고로 인한 어업인 인명피해는 246명으로 이 가운데 155명(63%)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아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사고 유형별로 보면, 해상추락이 95명(39%)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목격자 없는 실종이 60명(24%), 구조물·줄 등의 신체 가격 35명(14%), 양망기 사고 35명(14%)으로 뒤를 이었다. 갑판 작업 중 일어난 해상추락과 1인 조업선에 주로 나타나는 목격자 없는 실종 모두 구명조끼 미착용이 피해 발생의 원인으로 집계됐다. 이에 수협중앙회는 내달부터 2개월 동안 '구명조끼 구입비 80% 한시 지원사업에 대한 집중 홍보 기간'으로 정하고, 연말까지 전 어선에 보급을 완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기간 동안 △어업현장 방문 대면 홍보 △모바일 알림 △홍보물 제작·배포 △SNS 홍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명조끼 구입 지원을 알려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방송사의 교양·시사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대중 매체를 통한 구명조끼 착용에 대한 대국민 인식 개선에도 나설 예정이다. 노동진 수협 회장은 “구명조끼 착용은 바다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안전 수칙이지만 아직 충분히 정착되지 않아 인명피해가 이어지고 있다"며 “구명조끼 구입비 지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어업인 스스로 구명조끼 착용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수협중앙회는 오는 10월 19일부터 시행되는 '2인 이하 승선 어선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 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해 구명조끼 보급 한시 지원사업을 시행 중이다. 이 사업은 연근해 어선원을 대상으로 하며, 구명조끼 구매 비용의 80%(국비 40%, 지방비 40%)를 지원하는 것으로 선적지 관할 지구별 수협에서 신청할 수 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은행권 풍향계] 우리은행, 서울시 소상공인에 2000억원 금융지원 外](http://www.ekn.kr/mnt/thum/202508/news-p.v1.20250826.bb966ebdacc443bf81420695d55d0b5c_T1.png)


![[기자의 눈] 중대재해 잡겠다는 정부, 돌연 리스크 떠안은 은행](http://www.ekn.kr/mnt/thum/202508/news-p.v1.20250823.220f8d62c23649739e2edc91266be185_T1.png)

![[은행권 풍향계]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 外](http://www.ekn.kr/mnt/thum/202508/news-p.v1.20250822.0e066565e5dd49a1b2b5638c637568f5_T1.png)

![[기후신호등] 글로벌 ‘그린 보호주의’ 파도…산업 대전환으로 넘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1.b5415c136d794040a09b8615c4c48abf_T1.jpg)






![[시승기] ‘최고의 아빠차’ 현대차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1.d7eb6c7a299f45809a272527c20fe0d6_T1.jpg)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EE칼럼] 다시 생각해 보는 지속가능발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590fec4dfad44888bdce3ed1a0b5760a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부동산대책, 실수요자 배려해야 효과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710f4e5ba3f5454d85edc37966c891f6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