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美 NTSB “UPS 화물기 추락 사고, 엔진 지지대 ‘금속 피로’가 원인…정비 주기 사각지대 탓”

지난 4일 미국 켄터키주 루이빌 공항에서 발생해 37명의 사상자를 낸 UPS 화물기 추락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엔진을 날개에 고정하는 부품의 '금속 피로(Metal Fatigue)' 파괴로 밝혀졌다. 특히 사고기는 규정된 정비 절차를 모두 준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균열을 사전에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노후 대형 화물기 관리 체계에 비상이 걸렸다. 21일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UPS 2976편(MD-11F 기종) 사고에 관한 예비 조사 보고서(DCA26MA024)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사고 당일 하와이 호놀룰루행이 예정돼있던 사고기는 오후 17시 14분(현지 시간) 17R 활주로에서 이륙을 위해 기수를 들어 올리는 '로테이션(Rotation)' 순간 좌측 날개의 1번 엔진과 파일런(Pylon)이 통째로 떨어져 나가는 구조적 파괴를 겪었다. 이탈한 엔진은 여전히 추력을 발생시키는 상태에서 기체 위쪽을 넘어 반대편으로 날아갔고, 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균형을 잃은 항공기는 고도 100피트(약 30m) 이상 상승하지 못한 채 공항 남측의 UPS 물류 창고 지붕과 충돌한 뒤 인근 야적장과 석유 재활용 시설을 덮쳤다. 이 사고로 기장과 부기장 등 승무원 3명 전원과 지상 근무자 11명이 숨지고 23명이 부상을 입었다. NTSB 조사단은 사고 현장에서 수거한 잔해를 정밀 분석한 결과, 엔진과 날개를 연결하는 핵심 부품인 '좌측 파일런 후방 마운트(Aft Mount)'에서 명확한 금속 피로 징후를 발견했다. NTSB 재료 연구소는 파일런을 고정하는 '후방 러그(Aft Lug)'와 '전방 러그(Forward Lug)'의 파단면에서 오랜 기간 반복된 하중으로 인해 생성되는 '비치 마크(Beach Marks)' 형태의 피로 균열이 확인됐다고 분석했다. 조사단은 이륙 시 발생하는 강력한 하중을 견디지 못한 러그의 균열 부위가 먼저 파단됐고, 남은 부위가 하중을 감당하지 못해 일시에 부러지는 '과부하 파단(Overstress Failure)'으로 이어지면서 엔진이 분리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조종실 음성 기록장치(CVR)에는 이륙 추력을 설정한 지 불과 37초 만에 반복적인 경고음이 울린 상황이 담겨 있었다. 이는 승무원들이 대응할 수 없는 물리적 한계 상황이었음을 시사한다. 이번 사고는 항공사가 정비 규정을 위반하지 않았음에도 발생했다는 게 조사 당국의 설명이다. UPS는 해당 항공기에 대해 '지속적 감항성 유지 프로그램(CAMP)'을 운영 중이었으며, 사고 발생 2주 전인 10월 18일에는 관련 부품에 대한 윤활 작업을 마쳤다. 육안 검사(GVI) 역시 2021년 10월 규정에 따라 수행됐다. 문제는 내부 균열을 찾아낼 수 있는 '특별 정밀 검사(SDI)'의 주기였다. 규정상 파일런 마운트의 정밀 검사 시점은 비행 횟수 2만9200회에 도달했을 때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사고기인 N259UP의 누적 비행 횟수는 2만1043회에 불과했다. 규정된 검사 시점이 약 8000회나 앞서 부품이 파괴된 것이다. 이는 현행 정비 프로그램에 심각한 안전 공백이 존재했음을 뜻한다. 항공 전문가들은 설계 당시 예측한 부품 수명보다 실제 운용 환경이 훨씬 가혹했거나 노후 화물기에 대한 피로 관리 기준이 너무 느슨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사고 직후 미 연방항공청(FAA)과 보잉은 즉각적인 조치에 나섰다. FAA는 긴급 감항성 개선 지시(AD)를 발령해 MD-11과 MD-11F 전 기종의 운항을 금지하고 긴급 점검을 명령했다. 이후 유사한 설계를 가진 DC-10 기종까지 검사 대상을 확대했다. UPS와 페덱스(FedEx) 등 주요 화물 항공사들도 보유 기단의 운항을 전면 중단했다. 항공 업계는 이번 사고가 1979년 발생한 아메리칸 항공 191편(DC-10) 추락 사고와 매우 흡사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당시에도 이륙 중 좌측 엔진이 분리되면서 273명이 사망하는 참사로 이어졌다. 다만 1979년 사고가 정비 과실에 의한 물리적 손상이 원인이었다면 이번 사고는 보이지 않는 '피로 균열'이 원인이라는 점에서 노후 항공기 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한편 독립조종사협회(IPA)와 팀스터 항공 사업부 등 노동조합 측은 NTSB 조사에 참여해 화물기 안전 기준 강화와 정비 품질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NTSB는 향후 추가 금속 분석과 데이터 복원을 통해 정확한 균열 발생 시점과 성장 속도를 규명할 예정이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코스피, 미 기술주 급락에 장 초반 3%대 하락…‘AI 선순환 구조’ 수익성 논란 지속

21일 오전 코스피가 3870대로 밀려났다. 간밤 인공지능(AI) 거품론이 다시 불거지며 뉴욕증시가 급락한 여파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9시 51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날 대비 3.43%(133.03포인트) 내린 3871.82다. 코스피는 장 초반 외국인의 거센 매도로 낙폭을 키우고 있다. 외국인은 1조2694억원을 순매도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조621억원, 1867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AI 거품 우려가 재점화하면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2.16% 급락해 낙폭이 컸다. 기술주 중 엔비디아(-3.15%), AMD(-7.84%) 등이 하락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77% 급락했다. 엔비디아는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 발표와 AI 반도체의 수요 증가 등으로 장중 5% 넘게 오르다가 결국 3.15% 하락 마감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서 'AI 선순환 구조'가 화두였다. 시장에서는 선순환 구조의 핵심 고리인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의 수익성 논란이 해소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AI 선순환 구조'는 엔비디아가 AI 칩을 공급하면 하이퍼스케일러가 이 칩을 구매해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AI 서비스를 개발해 사용자에게 제공한 뒤 수익을 창출해 다시 엔비디아 칩 구매에 재투자하는 순환 고리를 의미한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불거진 AI 수익성 논란이 당장 시장 전체의 붕괴로 이어지진 않았다"며 “대신 시장은 '옥석 가리기'를 선택해 현금흐름이 견조한 대형 기술주는 버텨낸 반면,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은 큰 폭으로 하락하며 차별화가 심화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AI 수익성 검증이 늦어질수록 빅테크가 자본 지출을 보수적으로 줄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탓에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서 연구원은 “이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키워 반도체 섹터의 상승 탄력을 둔화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고위 관계자가 금융 자산에 대해 급락 위험 경고를 한 점도 증시에 약세 압력을 가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주식과 회사채, 레버리지 론, 주택을 포함한 여러 시장에서 자산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이 역사적 벤치마크 대비 높다는 게 우리의 평가"라며 “현재 내 인상은 자산 가격이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라고 발언하며 시장의 우려를 키웠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SK하이닉스는 8.96%(4만7000원) 하락해 단숨에 52만원 선으로 밀려났다. 삼성전자도 '10만전자'를 탈환한 지 하루 만에 9만원대로 내려갔다. LG에너지솔루션(-2.27%), 삼성전자우(-4.5%), 현대차(-1.53%), HD현대중공업(-2.32%)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 약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도 전날보다 21.82포인트(2.45%) 하락한 870.12다. 지수는 전날보다 24.49포인트(2.75%) 내린 867.45로 출발해 하락 폭을 일부 줄이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4.5원 오른 1,472.4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현대차·기아 美 공략 강화···‘대형 신차’ 신형 텔루라이드 베일 벗었다

현대자동차·기아가 '2025 로스앤젤레스(LA) 오토쇼'에 참가해 신차를 대거 선보이며 미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현지에서 인기가 많은 '대형 신차' 신형 텔루라이드를 공개하는 등 고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전날(현지시각) 미국 LA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25 LA 오토쇼' 보도발표회를 통해 '올 뉴 텔루라이드'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2019년 1세대 모델 출시 이후 약 6년 만에 새롭게 선보이는 완전변경 모델이다. 내년 1분기 중 본격 판매에 돌입할 예정이다. 텔루라이드는 미국 시장에서 기아의 위상을 높인 '효자 차종'이다. 현지 소비자의 요구·선호사항과 도로 및 지형 여건을 철저히 고려해 개발됐다.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 공장에서 생산된다. 1세대 텔루라이드는 △2020년 1월 기아 브랜드 사상 처음으로 '북미 올해의 차'(North America Car of the Year)에 올랐고, △같은 해 '세계 올해의 차'(World Car of the Year)와 △자동차 전문매체 모터트렌드 '올해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선정되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신형 텔루라이드는 더욱 강인하고 대담해진 디자인과 동급 최고 수준의 공간 활용성, 첨단 편의사양 및 안전사양을 갖췄다고 기아는 소개했다. 특히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신규 탑재돼 수익성 개선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새롭게 추가된 가솔린 2.5리터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합산 최고출력 329마력, 최대토크 339lb·ft(약 46.9kg·m)의 힘을 발휘한다. 기존 가솔린 3.8 GDI 엔진 대비 배기량을 30% 이상 줄이면서도 최고출력은 약 13%, 최대토크는 약 29% 높였다. 업계에서는 최근 현대차 팰리세이드도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이다. '대박 차종' 텔루라이드가 신형 모델로 돌아온 만큼 현대차·기아의 대형 SUV 시장 점유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아는 이번 LA오토쇼에서 신형 텔루라이드 외에도 K4,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 EV9 등 미국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기아의 모든 양산차 모델 23대를 전시한다. 이 외에도 기아 커넥트 스토어를 통해 운전자 취향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디즈니·마블 캐릭터 디스플레이 스킨 등 FoD 서비스에 대해서 체험해 볼 수 있는 전시존을 마련했다. 전용 전기차 EV9의 배터리 전력을 활용해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V2H 기술을 구현한 공간도 조성했다. 현대차는 이번 오토쇼에서 오프로드 특화 트림 XRT의 진화한 디자인 방향성을 선보이는 콤팩트 오프로드 콘셉트카 '크레이터(CRATER)'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크레이터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오프로드 아이덴티티와 차별화된 디테일을 적용한 콤팩트 SUV 콘셉트카다. 랜디 파커 현대차 북미권역본부장(CEO)은 “현대차는 모래, 눈 등 어떤 환경에서도 자신감 있게 주행하는 팰리세이드 XRT Pro 등을 통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지형과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왔다"라며 “크레이터는 XRT의 향후 비전을 담은 콘셉트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이와 함께 고성능 세단 EV 아이오닉 6 N을 북미 시장에 데뷔시켰다. 이 차는 고성능 사륜구동 시스템과 84.0kWh의 고출력 배터리를 바탕으로 합산 최고 출력 448kW(601마력)를 발휘한다. 일정 시간 동안 최대 가속 성능을 끌어올리는 'N 그린 부스트(N Grin Boost)' 사용 시 합산 최고 출력은 478kW(650마력), 최대 토크는 770Nm(78.5kg·m)에 달한다. 아이오닉 6 N은 내년 중 북미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현대차는 이번 오토쇼에서 3994m² 규모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크레이터와 아이오닉 6 N에 더해 △팰리세이드 △아이오닉 5 △아이오닉 9 △넥쏘 △아이오닉 5 N △엘란트라 N △엘란트라 TCR 레이스카 등 총 33대의 차량을 선보인다. 별도로 464m² 크기 'XRT 스페이스' 전시 공간을 조성해 팰리세이드 XRT Pro, 투싼 XRT, 산타페 XRT, 아이오닉 5 XRT, 싼타 크루즈 XRT 등 해당 라인업의 차량 6대도 소개한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BMW, 인천지역 소방대원 대상 전기차 소방 교육·훈련 진행

BMW 그룹 코리아는 지난 20일 인천 영종도 드라이빙 센터에서 지역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전기차 소방 교육·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급격히 증가하는 전기차 보급 추세에 발맞춰 소방력이 전기차 화재 및 구조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인천지역 일선 소방관 30명이 참석했다. 전기차의 구조적 특성과 고전압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했다. 참석자들은 BMW 전기차를 활용해 배터리 화재 징후 감지 및 알림 시스템과 함께 화재 징후 발생 시 적용되는 BMW의 대응 매뉴얼을 학습했다. 사고 시 전원 차단 및 대응 프로세스 등을 실습하며 실제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대응 방법을 익혔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獨 ‘2025 골든 스티어링 휠 어워드’ 수상

현대자동차의 소형 전기차 '캐스퍼 일렉트릭'(현지명 인스터)이 독일 시장에서 상품성을 인정받았다. 현대차는 캐스퍼 일렉트릭이 '2025 골든 스티어링 휠 어워드'에서 '2만5000유로 미만 최고의 차'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독일 유력 자동차 전문 매체 '아우토빌트'(Auto Bild)와 주간지 '빌트 암 존탁'(Bild am Sonntag)이 공동 주관하는 상이다. 골든 스티어링 휠 어워드는 그 해 최고의 신차를 평가하고 선정해 수여하는 유럽 최고 권위의 자동차 상 중 하나다. 올해는 총 72대의 차량을 대상으로 17명의 전문 심사위원단이 테스트를 진행해 13개 부문 최고의 차량을 선정했다. 이번 수상은 독일 내 경쟁이 치열한 소형 전기차 시장에서 캐스퍼 일렉트릭이 유럽 소비자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뛰어난 상품성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캐스퍼 일렉트릭은 유럽에서 올해 10월까지 3만대 이상 판매됐다. 이 중 독일은 유럽 전체 판매의 약 31% 판매 비중을 차지했다. 자비에르 마르티넷 현대차 유럽대권역장 겸 유럽권역본부장은 “캐스퍼 일렉트릭은 일상 생활에 적합한 전기차로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현대차는 캐스퍼 일렉트릭부터 아이오닉 9까지 다양한 전기차 라인업을 확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진보적인 디자인, 첨단 기술, 일상 주행의 편리성을 갖춘 전기차 모델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바디프랜드, ‘다리 안팎으로 벌리고 오므리는’ 신기술 특허

바디프랜드가 다리 마사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켜 내·외전 스트레칭을 돕는 구조와 기술을 특허 등록했다. 21일 바디프랜드에 따르면, 이번에 등록된 특허의 공식 명칭은 '다리 내·외전 기능을 갖는 마사지 장치 특허(특허 제 10-2851964호)'로 향후 다양한 헬스케어로봇군에 적용될 선행 기술이다. 이 기술의 핵심은 로보 다리 마사지부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와 장치를 마련해, 착석 시 사용자가 두 다리를 각각 안팎으로 벌리고 오므릴 수 있도록 설계한 점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자극을 받기 힘들었던 허벅지 안팎 근육도 자극할 수 있고, 안짱다리·밭장다리 등 사용자별로 각자의 체형에 맞게 조정해 마사지와 스트레칭을 즐길 수 있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통상 다리의 내·외전 스트레칭 효과는 고관절의 가동 범위와 연부조직의 유연성을 높이고, 골반 안정성과 하지 정렬을 개선, 보행과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바디프랜드는 말했다. 바디프랜드 관계자는 “이번 특허기술을 통해 바디프랜드 헬스케어로봇의 독자기술인 로보워킹 테크놀로지의 움직임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사용자들이 헬스케어로봇에 앉아 다채로운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받으며 쉽고 재미있게 건강관리를 하도록 만드는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겠다"고 전했다. 조하니 기자 inahohc@ekn.kr

쿠팡, 고객 4500여명 정보 노출…“정부에 신고”

쿠팡에서 고객 4500여명의 개인정보가 외부에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쿠팡은 지난 20일 고객들에게 “제3자가 비인가 접근으로 고객 4500여명 계정의 이름과 이메일, 전화번호, 주소 등과 최근 5건의 주문 이력을 조회한 것을 지난 18일 확인했다"고 공지했다. 쿠팡에 따르면, 결제 정보에 대한 접근은 없었고, 자체 시스템과 내부 네트워크망의 외부 침입 흔적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쿠팡은 해당 활동을 탐지한 뒤 제3자가 사용했던 접근 경로를 차단했으며, 이와 관련한 모니터링도 강화 중이다. 또한, 쿠팡은 현재까지 파악된 원인과 경과 등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으며, 조사에 긴밀하게 협조 중이다. 쿠팡은 “고객들에게 심려를 끼치게 돼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하니 기자 inahohc@ekn.kr

[특징주] 하이닉스 장 초반 9%대 하락…美 기술주 투매 영향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가가 21일 장 초반 약세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의 기술주 투매 소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9시 10분 기준 SK하이닉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9.8%(5만1000원) 하락한 52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삼성전자 주가도 4.8%(4600원) 하락한 9만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등 기술주들이 하락 마감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장중 5% 넘게 급등했던 엔비디아의 주가는 3.15% 하락 마감했다. 인텔(-4.24%), 마이크론테크놀러지(-10.87%), AMD(-7.87%) 등 반도체 주식은 모두 급락했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77% 급락했다. AI 버블 가능성이 다시 고개를 들면서 기술주 중심으로 투매 현상이 나타났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86.51포인트(0.84%) 내린 4만5752.2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03.40포인트(1.56%) 떨어진 6538.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86.18포인트(2.15%) 밀린 2만2078.05에 각각 마감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특징주] 비츠로넥스텍, 코스닥 입성 첫날 160% ↑

첨단과학 응용 산업 기업 비츠로넥스텍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첫날 160% 이상 급등하며 '따블(공모가 대비 2배)'을 기록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16분 현재 비츠로넥스텍은 공모가 6900원 대비 163.77% 뛴 1만8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비츠로넥스텍은 국내 유일의 액체로켓엔진 전문기업으로, 2012년부터 누리호에 엔진 부품을 공급해 왔다. 이에 우주항공 분야에서는 정부 로드맵에 맞춰 차세대 발사체 엔진 개발을 가속하고 있으며, 2032년까지 달 탐사용 고출력 엔진을 완성해 사업 연속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특징주] 석경에이티, ‘실적 급증’ 전망에 7%대 강세

석경에이티가 증권사 호평에 힘입어 장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9시 13분 기준 코스닥 시장에서 석경에이티는 전 거래일 대비 3250원(7.05%) 오른 4만9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 한때 4만9000원대를 돌파하며 급등세를 나타냈다. 주가 상승은 실적 개선 기대감과 신사업 모멘텀을 동시에 부각한 증권사 리포트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신한투자증권은 석경에이티가 “본격적인 실적 급증 구간에 진입했다"고 평가하며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석경에이티의 2025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을 150억원(전년 대비 +52%), 영업이익을 55억원(+247%)으로 전망하며 영업이익률(OPM)이 37%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2025년 상반기 예정된 제3공장 완공 시 생산능력이 기존 대비 5배로 확대되며 실적 성장 사이클이 본격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신사업 영역에 대한 기대감도 주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 SMR(소형모듈원전)용 차폐벽 소재로 활용되는 고순도 산화마그네슘(MgO)을 단독 개발하며 기존 일본 독점 제품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해당 소재는 2027년 SMR 설계 사업에 반영될 예정으로 건당 수천억 원 규모 매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여기에 전고체 전해질 소재, HBM용 언더필, 가전용 단열재 등 미래 소재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대도 더해지며 '실적 + 성장성' 프리미엄이 동시에 부각되는 모습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석경에이티의 2025~2027년 영업이익을 각각 64억원, 110억원, 250억원으로 전망하며 “나노소재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보유한 저평가 종목"으로 평가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