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단독] 전기차 충전기 보급량 35% 뚝…“시장기준가 환경부 요금, 너무 저렴해 수익성 없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4 14:50

올 상반기 신규 보급량 3만9389기, 전년 65% 수준

2030년 목표 123만기의 3분의 1 수준 달성에 그쳐

“환경부 급속요금 사실상 시장 기준, 민간은 수익성 확보 어려워”

올해 충전기 보조금 사업 기업 선정 늦어진 것도 보급 감소 영향

충전 중인 전기차의 모습. 연합뉴스

▲충전 중인 전기차의 모습.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전기차 충전기 보급량이 전년보다 30%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몫 좋은 곳은 설치가 됐고, 급속충전 시장 1위인 환경부의 계속된 요금 동결로 민간 사업자들도 요금을 쉽게 올리지 못하게 되면서 충전사업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4일 환경부 무공해차통합누리집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전기차 충전기 신규 보급량은 3만9389기로 전년 동기 6만571기의 65.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추이를 볼 때 올해 총 보급량은 전년 수준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전기차 충전기 설치량 추이(2022~2025년 상반기) (단위: 기) 자료= 환경부 무공해차통합누리집
▲전기차 충전기 설치량 추이(2022~2025년 상반기) (단위: 기) 자료= 환경부 무공해차통합누리집

지난 1일까지 설치된 총 충전기 수는 43만6862기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7킬로와트(kW) 이상 완속은 34만3040기, 급속은 4만9496기, 3kW 콘센트는 4만5326기를 차지했다.


환경부가 지난 2023년 6월 발표한 '전기차 충전 기반시설 확충 및 안전 강화 방안'에서는 전기차 충전기 보급목표를 2030년까지 123만기 이상으로 세웠다. 이는 2018년 대비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줄이겠다는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세워진 목표다.


하지만 현재 보급량의 목표치의 35%, 즉 3분의 1 수준에 그쳐 앞으로 갈 길이 멀기만 한 상황이다.




전기차 충전기 보급 속도가 느려진 이유는 기업들이 투자를 미루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 전기차 충전업계 관계자는 “올해 기업 투자가 많이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충전사업의 수익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라며 “급속 분야에서는 환경부의 전기차 충전 요금이 사실상 시장기준가로 적용된다. 기업들이 충전요금을 올리기 쉽지 않으니 투자를 하기 더 어렵다"고 토로했다.


환경부는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 급속 충전기 8423기를 보급해 시장 점유율 17%로 1위 사업자이다. 현재 환경부의 급속충전(100kW 이상) 요금은 kWh당 347.2원이다. 반면 2위 채비는 385원, 3위 SK일렉링크는 430원, 4위 이브이시스는 380원으로 모두 환경부 요금보다 높다.


현재 전기차 100km 주행 시 환경부 급속요금으로는 약 2700원, 완속요금으로는 1100원이 소요된다. 이는 연비 15km/ℓ 휘발유차의 기름값 1만1120원의 25% 수준밖에 안된다. 전기차 충전요금이 기름값보다 월등히 저렴한 수준이기 때문에 민간 충전사업자들은 요금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올해 환경부의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 사업자가 늦게 선정된 점도 충전기 보급량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환경부는 올해 3월 실시한 1차 사업자 선정에서 주요 사업자들이 대거 탈락하자, 5월 2차 사업자를 선정했다. 이로 인해 스마트제어 충전기에 보조금을 얼마나 주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지난달 말에야 발표됐다. 그동안 기업들이 투자를 결정하지 못하면서 보급이 더 늦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2차 사업자로 선정된 GS차지비는 올해 상반기에 전기차 충전기를 전년보다 1018기 늘리는 데 그쳤는데, 이는 지난해에 1만기 이상 늘린 것과 비교하면 보급량이 확 줄어든 것이다.


그나마 LG유플러스 볼트업이 올해 상반기에 신규로 1만979기를 보급하면서 전체 보급량 상승을 견인했다.


전기차 충전기 보급 침체는 전기차 보급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기차는 총 14만6737대가 보급됐다. 이는 지난 2023년 보급량 16만2605대보다 1만5868대나 줄어든 수치다. 특히, 화물차 보급이 4만3940대에서 2만579대로 크게 줄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