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추가로 인상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면서 중국이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도 되풀이했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시 주석과의 관계는 매우 좋고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본다"며 “그들은 수차례 연락해왔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시 주석이 직접 연락했는지, 중국 관리들이 연락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즉답을 피한 채 “매우 비슷하다고 본다, 중국 최고위층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시 주석)를 안다면, 중국 측이 연락을 하는 것을 그가 정확히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며 “그는 모든 것을 알아 매우 엄격하고 강력하고 똑똑하게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에 대한 관세와 관련, “특정 구간에서 관세율을 더 올리고 싶지 않다"며 “어느 시점이 되면 사람들이 물건을 사지 않을 지경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에 관세를 더 올리고 싶지 않을 수도 있고, 그 수준까지 올리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며 “사람들이 사길 바라기 때문에 관세를 더 낮추고 싶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미국에 125% 관세로 맞대응하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합의에 이를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는 협상 타결이 가능한 시점과 관련해 “앞으로 3~4주 정도로 생각한다"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 매각 협상과 관련, “틱톡과 협상안이 있으나 그것은 중국에 달렸다"면서 “우리는 (관세)상황이 정리될 때까지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와의 상호관세 협상과 관련, “모든 국가와 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라면서도 “만약 그들이 협상을 원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그들을 위해 협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많은 국가가 우리와 협상을 하고 싶어 한다. 솔직히 나보다 그들이 더 협상하길 원한다"면서 “우리는 (그들의 입장을) 들을 것이며 공정하게 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거래를 결정하는 것은 우리다"라면서 “그것이 우리가 할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수수료는 180일 뒤인 오는 10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부과되며 수수료도 매년 인상된다. USTR은 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미국 건조를 장려하기 위해 3년 뒤부터 LNG 수출 물량의 일부를 미국산 LNG 운반선으로 운송하도록 했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