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대기업 3분기 영업익 22%↑…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 투톱’ 하드 캐리

'반도체 슈퍼 사이클'에 힘입어 올해 3분기 국내 대기업들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2%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반도체 기업이 전체 이익 증가분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며 실적 개선을 주도했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9개사의 3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이들의 합산 영업이익은 73조2047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59조7992억원보다 13조4055억 원(22.4%) 증가한 수치다. 합산 매출액 역시 831조16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785조8194억원 대비 5.8% 늘었다. 실적 견인의 일등 공신은 단연 반도체였다. 삼성전자가 12조1661억원, SK하이닉스가 11조3834억원으로 나란히 영업이익 1, 2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액은 SK하이닉스가 4조3534억원(61.9%↑), 삼성전자가 2조9827억원(32.5%↑)을 기록했다. 두 기업의 증가분 합계(7조3361억원)는 조사 대상 기업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13조 4,055억 원)의 54.7%에 달했다. 두 반도체 기업의 뒤를 이어 한국전력공사(5조6519억원), 현대자동차(2조5373억원), 기아(1조4623억원), 한화(1조3442억원) 등이 영업이익 상위권에 올랐다. 반면 3분기 가장 큰 영업손실을 기록한 기업은 삼성SDI(-5913억원)였으며, 아시아나항공(-1977억원), 포스코이앤씨(-1947억원), 롯데케미칼(-1326억원), 하이브(-422억원) 등도 적자를 냈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이 흑자로 전환했으며, 조선·기계·설비(72.3%↑), 제약(63.6%↑), 에너지(61.1%↑) 업종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셀트리온, 유럽서 주력 바이오시밀러 3종 처방 1위 동시 달성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항암 바이오의약품 3종이 글로벌 핵심시장 유럽에서 나란히 처방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의약품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 조사 결과 셀트리온의 대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제품군(IV·SC)이 올해 2분기 기준 유럽에서 69%의 점유율로 처방 1위 자리를 공고히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국(87%)과 스페인(80%) 등 유럽 주요 5개국(EU5)에서 높은 처방량을 기록 중인 가운데, '램시마SC'(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 단독으로도 프랑스(34%), 독일(29%) 등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셀트리온의 또 다른 주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는 유럽에서 26%의 점유율을 기록해 출시 이후 처음으로 처방 1위에 올라섰다. '퍼스트무버'가 시장 선점에 유리한 유럽에서 경쟁사 대비 3년이나 늦게 출시됐음에도, 제품 경쟁력과 현지 법인의 직판 역량을 바탕으로 성과를 거뒀다는 게 셀트리온의 설명이다. 항암제 분야에서도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제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는 영국(55%), 프랑스(34%) 등 주요국 성과를 바탕으로 유럽에서 24%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처방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와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가 각각 32%·30%의 점유율로 처방 선두권을 지속하며 셀트리온은 항암 바이오시밀러 명가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올해 초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주요국 입찰 수주 이후 실제 제품 처방으로 이어지며 지표에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셀트리온이 직판을 통해 구축한 병원 및 약국 네트워크가 더욱 견고해지면서 리테일(영업) 유통 채널에서도 판매가 확대돼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셀트리온은 기존 제품들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 하반기 신규 출시된 후속 제품들 역시 시장 선점을 빠르게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9월 유럽에서 퍼스트무버로 출시된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 '옴리클로'(성분명 오말리주맙)의 판매 국가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안과질환 치료제 '아이덴젤트'(성분명 애플리버셉트), 골질환 치료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성분명 데노수맙) 등 추가 신규 제품들도 연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셀트리온은 기존 제품을 판매하며 구축한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는 한편, 포트폴리오 확장에 기반한 마케팅 시너지도 적극 활용해 시장 조기 안착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한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셀트리온만의 제품 경쟁력과 직판 역량을 바탕으로 주력 제품들이 유럽 처방 1위를 기록하며 경쟁사들을 압도하는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며 “기존 제품들의 판매 성과가 신규 출시 제품들로 확산될 수 있도록 유럽 내 직판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매출 성장과 이익 개선을 동시에 이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동아쏘시오그룹, 주요 협력사 대상 ESG 공급망 교육 개최

동아쏘시오그룹은 지난 12일 서울 용두동 본사에서 주요 협력사를 대상으로 제1회 동아쏘시오그룹 협력사 ESG 공급망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ESG 공급망 교육은 협력사에게 ESG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공급망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 제공 및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했다. 교육에는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 동아오츠카, 용마로지스, 동아에코팩, 아벤종합건설, 한국신동공업, DA인포메이션 등 동아쏘시오그룹의 약 30개 티어1 협력사 ESG 공급망 관련 업무 담당 임직원이 참석했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외부 ESG 전문 강사를 초청해 국내외 ESG 공급망 트렌드 및 규제사항에 대해 공유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동아쏘시오홀딩스 정도경영팀에서 동아쏘시오그룹 공급망 관리 체계를 소개하며, 공급망 대응 관련 공감대를 형성했다. 동아쏘시오그룹 관계자는 “협력사와 함께 변화하는 생태계에 적응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해 함께 성장해 나가겠다"며 “동반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ESG지원과 관리체계를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삼성 Pick’ 펩타이드 플랫폼 뭐길래…K-바이오 성장 모멘텀 ‘주목’

'펩타이드 플랫폼'이 국내 바이오산업 성장을 견인할 차세대 모멘텀으로 지목되고 있다. 바이오텍 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술수출에 성공하는 등 성과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삼성에피스그룹 계열사 에피스넥스랩도 관련 사업 진출 계획을 발표하면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출범한 바이오 플랫폼 개발사 에피스넥스랩은 회사와 그룹의 성장동력으로 펩타이드(아미노산 결합체) 기반 플랫폼 기술을 전면에 내세웠다. 확장성이 높은 요소(기반)기술을 개발해 특정 약물이나 적응증에 제한되지 않는 펩타이드 의약품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 개발·기술이전 계약을 성사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게 에피스넥스랩의 청사진이다. 아미노산이 짧은 사슬구조로 결합한 물질인 펩타이드는 인체 호르몬·신경·면역 등 특정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인공 설계한 합성 펩타이드 의약품은 설계 목적에 따라 특정 기전으로 작용한다. 특히 펩타이드 의약품은 분자량이 적어 정밀한 표적 작용이 가능하고 부작용이 적다. 통상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은 이러한 펩타이드 의약품의 약물전달 방식에 변화를 주거나, 인공(합성) 펩타이드를 발굴하는 기술로 구분된다. 구체적인 기술 개발 방향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그룹 계열사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그동안 바이오시밀러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입지를 구축해온만큼, 업계는 에피스넥스랩의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 개발과 상업화를 기점으로 국내 바이오텍 생태계가 한층 확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국내 바이오텍 기업들이 보유한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력에도 국내외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디앤디파마텍의 약물전달 플랫폼 '오랄링크'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오랄링크는 펩타이드 의약품을 경구 투여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기술이다. 펩타이드의 리간드화(약물의 구조 개조)와 지질화, 투과 촉진제, 안정화제 기술을 복합 적용해 약물의 위장 분해를 방지하고 투과도를 높이는 한편, 약물 지속시간을 늘린다.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를 기반으로 하는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가 글로벌 비만치료제 열풍을 이끈 가운데, 경구제형 전환을 통해 내년부터 예고된 세마글루타이드 특허절벽 리스크를 방어하고 비만치료제 개발 트랜드를 주도할 핵심 기술이라는 평가다. 이에 디앤디파마텍은 미국 바이오텍 멧세라에 관련 기술을 약 1조원 규모로 수출하며 경구용 비만약 공동 개발에 나섰다. 최근에는 화이자와 노보노디스크가 멧세라를 두고 치열한 인수경쟁을 벌이면서 글로벌 빅파마 파트너로서 디앤디파마텍의 기업가치도 지속 상승하고 있다. 나이벡의 펩타이드 발굴·약물전달 플랫폼 성과도 주목된다. 앞서 나이벡은 지난 5월 미국 뉴코와 약 6000억원 규모의 섬유증치료제 후보물질 'NP-201'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올 상반기 흑자전환에 성공한 바 있다. NP-201은 표적 세포의 특정 바이오마커에 결합력을 가진 펩타이드를 발굴하고 제형화하는 자사 플랫폼 '탑스커버리'를 통해 발굴된 후보물질로, 최근들어선 적응증이 비만(리제노타이드)까지 확장됐다. 나아가 나이벡은 자체 개발한 차세대 약물전달 플랫폼 '펩타델'을 통해 현재 NP-201을 경구형 비만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펩타델은 약물을 병변 조직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효능을 극대화하면서도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특징으로, 현재 섬유증·비만·폐동맥고혈압(PAH) 등 자사 난치질환 파이프라인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선 인공지능(AI) 펩타이드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도 등장했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ESAIDD'가 주인공이다. 지난달 말 공개된 ESAIDD는 질환과 적응증을 입력하면 AI 분석을 통해 타깃 단백질 후보와 펩타이드 결합 부위를 제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반복 실험을 통해 후보물질 도출까지 수년이 소요됐던 기존 방식과 달리, ESAIDD는 수일 내로 후보물질 발굴이 가능하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ESAIDD를 활용한 기술이전과 공동개발, 라이선싱 등 다양한 사업화 모델을 통해 국내외 파트너십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펩타이드 의약품 시장은 당뇨병과 비만, 암 등 만성 질환 치료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특히 비만치료제 시장이 크게 성장중인데, 관련 의약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펩타이드 약물전달 시스템(플랫폼) 시장 역시 치료제 수요 증가에 따라 향후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삼진제약, AI 신약개발 국책과제 공동연구기관 참여

삼진제약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국가 프로젝트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이 프로젝트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으로, 총 371억원 규모의 대형 국가 연구개발(R&D) 과제다. 이 사업은 국내 최초로 AI 기반 신약개발 임상시험 설계·지원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연구원이 총괄하고 국내 주요 산·학·연·병 기관이 함께 참여한다. 삼진제약은 서울대병원이 주관하는 '중개연구 AI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 공동기관으로 참여하고 △전임상 멀티모달 데이터 생산 및 표준화 △AI 기반 임상시험 설계 활용 및 검증 △IND(임상시험 승인신청) 승인 실증을 담당한다. 세부적으로는 항암과 대사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한 전임상 데이터를 제공하고, 고품질 전임상-임상 멀티모달 데이터를 구축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전임상 단계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모델 학습의 품질을 높이고, 실제 후보물질 임상 설계에 AI모델을 활용,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삼진제약은 과제를 통해 AI 예측과 실험 검증이 순환되는 '데이터 피드백형 연구체계'를 구축, 전임상과 임상 간의 데이터 간극을 줄이고 임상시험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국내 AI 신약개발의 실질적 성과 창출에 기여할 방침이다.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센터장은 “이번 K-AI 사업은 예측 중심의 AI 신약개발이 실제 임상 설계 단계로 확장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삼진제약은 전임상 데이터와 연구현장을 잇는 구심적 역할을 통해 국내 AI 신약개발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외형 축소’ 일동제약, 전문의약품 전열 재정비로 반등 시동

올해 외형 축소가 이어지고 있는 일동제약이 전문의약품(ETC) 사업 조직 재정비에 나섰다. ETC 중심의 경영전략을 강화해 체질개선 속도를 높인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자회사 유노비아가 개발중인 '먹는 비만약'이 계열 내 최고 신약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가운데, 일동제약이 ETC 중심 경영 기조로 실적 반등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일동제약은 지난 10일자로 박문수 상무이사와 배진구 상무이사를 각각 ETC부문장·ETC마케팅본부장으로 직책 변경하는 임원 보직 인사를 단행했다. ETC 사업과 마케팅을 총괄하는 자리에 임원 2인을 재배치한 것은 ETC 사업 역량 전반을 강화하려는 일동제약의 의지가 반영된 인사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실제 일동제약 별도기준 매출구조에서 ETC사업은 지난 2020년 48.3%에서 지난해 54.1%로 5년간 6%포인트(p) 가량 비중이 지속 확대됐다. 지난해 자사 건강기능식품 등 컨슈머헬스케어 사업 일부를 계열사에 이관하면서, 올해 일동제약 연매출 내 ETC가 차지하는 비중은 한층 커질 전망이다. 반면 일반의약품(OTC) 매출 창출 요인은 전년대비 감소했는데, 지난해 말 바이엘코리아와의 코프로모션 계약 종료가 대표 사례다. 이러한 기저효과는 올해 1~3분기 내내 지속돼 연결기준 누적매출은 4200억원으로, 전년동기 4592억원 대비 8.5%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ETC 매출 비중 증가세와 비(非) ETC 매출 감소 요인이 맞물리면서 ETC 사업 중요도가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일동제약의 ETC 중심 경영기조 강화 의지는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R&D) 투자 규모에서도 엿볼 수 있다. 앞서 일동제약은 지난 2023년 말 물적분할을 통해 R&D 전문 자회사 유노비아를 출범한 바 있다. 이에 지난해 연간 R&D 투자 규모도 94억원으로 전년 974억원 대비 90% 이상 감소했다. 그러나 올 상반기 들어 R&D 투자 규모는 173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총액의 2배 가까이 커졌고, 지난해 51명 수준이었던 연구인력 규모도 올 상반기 147명으로 3배 가량 확대됐다. 유노비아 분사를 통한 R&D 비용 효율화로 연간 영업이익을 흑자전환했던 지난해 경영 기조와는 사뭇 대비되는 지표로, 지난해 축소했던 일동제약 자체 R&D 역량을 재확대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일동제약은 약 159억원 상당의 디앤디파마텍 지분에 대해 지난 7일부터 내년 2월까지 3개월간 전량 매각 결정을 내려 '총알'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아울러 경구형 비만치료제와 파킨슨병치료제,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등 주요 ETC 파이프라인을 전면에 내세우며 자사 ETC 경쟁력도 지속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일동제약은 올 3분기 실적발표와 함께 유노비아가 개발중인 경구제형 저분자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수용체 작용제(GLP-1 RA)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ID110521156' 임상 1상 연구 성과와 향후 개발 계획을 거듭 홍보하고 나섰다. 최근 경구형 비만치료제를 개발중인 멧세라를 두고 화이자와 노보노디스크 등 빅파마들의 치열한 인수전이 벌어지며 글로벌 시장 내 비만치료제 열기를 입증한 가운데, 업계 안팎에서는 ID110521156의 글로벌 기술수출 가능성 기대감도 모이고 있다. 내년 글로벌 기술수출을 성사해 연구개발 동력을 확보하고 추후 대사이상 지방간염(MASH) 등 주요 질환으로 적응증을 확대한다는 방침인만큼, ID110521156는 일동제약의 중장기 핵심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선경 SK증권 연구원은 “ID110521156 은 동일 계열 내 경쟁물질 중 임상 데이터를 통해 가장 우수한 내약성과 효능을 입증했으나 임상데이터에 대한 시장의 오해로 심각하게 저평가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시장의 오해가 해소될 경우 일동제약의 시가총액은 유사 파이프라인 기술이전 규모나 경쟁기업 기준인 약 1.5조원~4조원까지 최소 2배 이상 상향조정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써모피셔사이언티픽, ‘ASOCIO 어워드 2025’ 인재개발부문 수상

글로벌 과학기업 써모피셔사이언티픽은 아시아대양주정보산업기구(ASOCIO)가 주관하는 'ASOCIO 어워드 2025'에서 인재개발부문 수상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ASOCIO 어워드는 아시아·대양주 24개국 ICT 협회가 참여하는 권위있는 상으로, 매년 디지털혁신과 발전에 기여한 우수기업 및 기관을 선정한다. 인재개발부문은 교육, 인재양성, 조직내부 역량강화 등 인적자원 개발활동을 통해 디지털생태계 발전에 공헌한 기업에게 수여된다. 써모피셔는 최근 3년간 전사적 사내 디지털 문화프로그램 '윈디(WINDI)'를 통해 임직원의 디지털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해 왔다. 내부교육을 넘어 △직원들이 AI활용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공유하는 AI 커뮤니티 △반복업무를 자동화하는 RPA (로보틱스 오토메이션 프로세스) 사내개발활동 △보안 인식을 높이기 위한 사이버보안 앰배서더 등 직원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자발적 학습과 실행 중심의 디지털 문화를 뿌리내릴 수 있었고, 그 결과 자동화와 AI 활용이 업무현장에 자연스럽게 정착하며 조직 전반으로 확산됐다. 이번 수상의 근거가 된 주요 성과로는 임직원 90% 이상이 참여하는 연례 윈디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AI 학습문화를 확산한 것을 비롯해 협업기반 자동화 프로젝트로 2024년 한해동안 약 6만 3500시간의 생산성 향상(2022년 대비 약 3배 증가)을 달성한 점이 있다. 또한 사내 피싱 메일 모의훈련에서 80% 이상의 신고율을 기록하며 써모피셔 글로벌 내에서도 평균을 크게 웃도는 성과를 보였다. 이번 써모피셔의 수상은 2016년 이후 40여건에 달하는 한국 수상사례 중 글로벌기업에게 주어진 단 두 차례 중 하나로, 7년만에 글로벌기업의 한국 내 성과가 인정받은 보기드문 사례다. 써모피셔사이언티픽코리아 석수진 대표는 “국제무대에서 한국 현지의 디지털 혁신 노력이 인정받아 매우 뜻깊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축적된 디지털 역량을 비즈니스 현장으로 확장해 AI·바이오, 자동화 등 미래성장 핵심분야에서 고객 비즈니스 혁신을 적극 지원하고, 디지털기반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연구환경을 고객과 함께 구축하며 디지털전환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써모피셔는 오는 18~19일 '커넥팅 사이언스 위드 인텔리전스(Connecting Science with Intelligence)'를 주제로 '2025 최신기술 컨퍼런스' 고객대상 세미나를 개최, AI 바이오 등에 대한 심도있는 내용을 다루며 직원혁신을 넘은 고객혁신으로의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ASOCIO 어워드 시상식은 11일 대만 쉐라톤 그랜드 타이베이 호텔에서 열렸으며, 올해 한국에서는 써모피셔를 비롯해 경기도 AI국, 두산 DI, LG CNS, 미래에셋증권 등이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종근당홀딩스, ‘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종근당홀딩스는 1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메세나대상'에서 '문화공헌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메세나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메세나대상은 1999년부터 국내 기업 중 문화예술 분야 발전에 헌신한 기업을 뽑아 매년 시상하는 행사다. 종근당홀딩스는 한국 화단을 이끌어갈 유망 신진작가를 발굴·후원하고 문화소외 계층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여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종근당홀딩스는 2012년부터 '종근당 예술지상'을 운영하여 매년 유망 회화작가 3명을 선정해 3년간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42명의 작가를 배출했으며, 선정작가들은 후원 마지막 해에 종근당홀딩스가 개최하는 전시회에서 작품을 선보이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또한 종근당홀딩스는 2011년부터는 '오페라 희망이야기'를 통해 대학병원과 소아병동을 찾아 클래식과 오페라 공연을 선보이며 환자와 가족들에게 음악으로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종근당홀딩스 최희남 대표는 “예술은 사람을 위로하고 사회를 바꾸는 힘"이라며 “'Better Life Through Better Medicine(더 좋은 약을 통한 더 좋은 삶)'이라는 제약기업 종근당의 사명을 바탕으로 예술이 가진 공감과 회복의 에너지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모두가 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데 함께 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종근당홀딩스는 문화예술 지원을 넘어 헌혈캠페인, 소아암 환우돕기 마라톤 참가, 홀몸어르신 돌봄, 친환경 교실 숲 조성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실천하고 있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닻 올린 삼성에피스홀딩스…K바이오 생태계 확장 마중물 기대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이달 초 공식 출범한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신규 자회사를 설립하며 빅파마로의 도약을 위한 닻을 올렸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핵심사업인 바이오의약품 개발·상업화는 물론, 신설 자회사 '에피스넥스렙'을 통한 차세대 바이오신약 후보물질 발굴 의지도 드러내면서 “국내 바이오산업 생태계 확장 효과를 불러올 것"이라는 업계 기대가 나온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미래 바이오 신성장사업 추진을 위한 자회사 에피스넥스랩을 설립했다고 11일 밝혔다. 에피스넥스랩은 지주사 삼성에피스홀딩스 출범에 따라 아미노산 결합체(펩타이드)·이중항체·항체약물접합체(ADC) 등 차세대 모달리티(치료접근법) 분야에서 '바이오텍 모델'을 기반으로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신설됐다. 앞서 삼성에피스그룹은 지난 1일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 인적분할 막바지 절차로 바이오 투자를 핵심 사업영역으로 설정한 분할신설법인 삼성에피스홀딩스를 공식 출범한 바 있다. 신설 에피스넥스렙이 전개하는 바이오 기술 플랫폼 사업은 확장성이 높은 요소기술을 개발해 다수 바이오의약품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사업이다. 도출된 후보물질은 특정 약물·적응증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질환에 적용이 가능한만큼 높은 사업 확장성을 지닌다는 특징을 가진다. 에피스넥스렙은 이를 토대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개발과 기술이전에 나서는 등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확대할 계획이라는 게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설명이다. 이 같은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차세대 신약 개발 의지는 지난 6일 개최된 애널리스트 기업설명회에서도 드러났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이날 설명회에서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 기반에 신약개발 역량을 추가 구축한다는 중장기 성장 방향을 제시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통해 축적해온 임상·품질관리·허가 경험을 신약개발 사업에 이식하고, 이를 토대로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역량을 확장해 글로벌 빅파마로의 도약에 나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에피스넥스랩이 차세대 모달리티 플랫폼 기술확보를 목표로 사업을 전개할 방침인만큼, 삼성에피스그룹 계열사간 차세대 신약 연구개발(R&D) 시너지도 창출될 전망이다. 특히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그동안 구성해온 국내외 오픈 이노베이션 환경도 차세대 신약 개발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중국기업 '프론트라인 바이오파마', 국내기업 '인투셀'과 ADC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해 신약 개발 기반을 마련해 둔 상태다. 또한 국내기업 '프로티나'와 공동연구 체계도 지속 구축하고 있다. 프로티나는 최근 삼성바이오에피스, 서울대 연구진과 협력해 인공지능(AI) 기반 항체 신약 개발 국책과제의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과제는 임상 1상에 진입하는 신약 후보물질을 오는 2027년 말까지 도출한다는 목표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ADC 공동연구개발 협약과 국책과제가 순탄하게 진행될 경우, 이르면 오는 2028년까지 신약 후보물질 2개 이상이 글로벌 임상 1상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약 파이프라인의 실질적 진전은 아직 초기 단계로, 향후 ADC 임상 진입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여부가 기업가치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내 대형 제약사는 R&D 통합 역량이 부족하고, 신생 바이오텍은 임상·규제 경험이 없어 해외 빅파마에 의존해왔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삼성에피스홀딩스가 '국내 기술을 국내에서 임상화할 수 있는 개발 인프라'를 제공한다면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의 생태계 확장 효과를 가지고 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실적 희비 엇갈린 톡신 3사…‘토탈 에스테틱’으로 2라운드

국내 보툴리눔톡신(톡신) 3사의 올해 3분기 톡신 성적표가 엇갈렸다. 대웅제약과 메디톡스는 톡신 매출 상승에 성공한 반면, 휴젤은 톡신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 내수경쟁 심화로 국내 매출이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결과다. 톡신의 수출 비중이 매년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이들 3사는 톡신과 필러, 더마코스메틱 등 에스테틱 제품을 아우르는 '토탈 에스테틱'으로 사업 역량을 확장해 글로벌 공략을 가속한다는 전략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미국제품명 주보)는 글로벌 판매를 담당하는 파트너사 에볼루스의 선전에 힘입어 올 3분기 553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475억원 대비 16.3% 신장했다. 특히 수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85% 비중을 차지하는 나보타는 에볼루스와 함께 글로벌 시장 공략을 확대하며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실제 올 3분기 나보타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16.3% 증가한 가운데, 에볼루스의 주보 매출은 같은 기간 6320만달러(약 920억원)로 13% 성장했다. 앞서 나보타는 올 상반기 1154억원 매출로 전년동기대비 27.8% 성장했고, 같은 기간 에볼루스 주보 역시 1억2820억달러(1870억원) 매출을 올리며 나보타의 글로벌 성장을 뒷받침했다. 메디톡스의 3분기 톡신 매출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3분기 메디톡스 톡신 매출은 354억원으로 전년동기 256억원 대비 38.0% 성장했다. 이는 국내외 톡신 매출이 전반적으로 성장한 가운데, 계열사 뉴메코의 차세대 톡신 '뉴럭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매출이 확대되면서 톡신 매출 실적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국내 매출과 해외 매출 중 어느 한 곳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기보단 고른 매출 성장이 있었다"면서도 “계열사 뉴메코의 글로벌 시장 공략이 확대된 점이 톡신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휴젤의 3분기 톡신 매출은 전년동기 647억원 대비 7.0% 감소한 602억원에 그쳤다. 국내 톡신 출혈 경쟁이 심화한데 따른 결과다. 휴젤의 지역별 톡신·필러 합산 매출을 살펴보면 같은 기간 국내 매출이 39% 가량 감소하며 3분기 톡신 매출 성장을 억제한 모양새다. 최근 내수 경쟁 격화로 1만원대까지 시술 비용이 감소하는 등 출혈 경쟁이 심화하는 와중에, 휴젤은 가격 인하 대신 '프리미엄 톡신' 브랜드 이미지와 수익성을 방어하는데 주력하면서 내수 부진이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휴젤 관계자는 “보툴렉스(레티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미국·중국·유럽 등 세계 3대 톡신 시장 모두 진출 등 프리미엄 이미지를 지속 구축하고 있다"며 “국내 저가 경쟁에 맞춰 가격을 인하로 대응하기 어려운 위치"라고 설명했다. 다만 아시아태평양·북남미 권역에선 톡신·필러 매출이 각각 전년동기대비 17% 상승하면서, 휴젤은 내수부진에도 불구하고 분기 톡신매출 600억원 방어에 성공했다. 톡신 내수시장이 '레드오션'에 접어들면서 출혈 경쟁이 지속될 가능성을 보이는만큼 휴젤의 톡신 실적 향방은 사실상 글로벌 시장 성패에 달려있다는 평가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톡신 업계에서는 톡신과 히알루론산(HA) 필러, 더마코스메틱 등을 아우르는 '토탈 에스테틱' 포트폴리오를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파트너사 에볼루스와 미국 내 톡신과 필러를 병합한 복합시술 수요를 겨냥하는 대웅제약이 대표적이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미국 피부미용 의료진 85% 이상이 톡신과 필러의 교차시술을 권장하고 있으며, 복합시술 수요 환자는 피부미용 시술 예약자 중 37%에 달한다. 복합시술을 받지 않더라도 톡신 사용자 70% 가량이 필러를 사용하는만큼 각 제품간 매출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게 대웅제약 측 설명이다. 이에 지난 4월 미국에서 필러 제품을 출시한 에볼루스와 함께, 대웅제약은 톡신·필러의 복합 수요를 충족하고 현재 14%에 달하는 미국 시장 점유율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뉴럭스를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남미 톡신시장 공략을 지속하는 메디톡스도 HA필러 '뉴라미스'와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뉴라덤'의 글로벌 마케팅에 공격적으로 나서며 토탈 에스테틱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자사 비동물성 액상형 톡신 'MT10109L'은 연내 미국 허가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는만큼, 미국 진출이 완료되면 메디톡스의 글로벌 시장 공략도 한층 탄력이 붙게 될 전망이다. 휴젤의 더마코스메틱 성장세도 주목된다. 올 3분기 더마코스메틱 매출은 14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5% 성장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의 한 축으로 급부상했다. 높은 톡신 의존도로 경직됐던 기존 매출 구조가 더마코스메틱 성장으로 일부 유연해지면서 토탈 에스테틱 역량이 강화됐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선임된 캐리 스트롬 글로벌CEO도 휴젤의 글로벌 에스테틱 사업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캐리 스트롬은 지난 2011년 미국 엘러간에 합류해 글로벌 50개국 이상에서 톡신과 HA필러 등 에스테틱 사업을 총괄해 온 인물로 평가된다. 캐리 스트롬 글로벌CEO는 장두현 한국CEO와 함께 이르면 내년 초 휴젤의 비유기적 성장 결과물을 공개하고, 같은 해 상반기 인베스터 데이를 열어 다양한 메세지를 전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