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도시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3건 입니다.

국제가격 하락으로 국내 LPG 요금이 4달 연속 하락했다. LPG 업계는 낮은 요금을 바탕으로 산업용 연료시장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경쟁연료인 가스업계는 속수무책이다. 가스 요금은 가스공사 단일 도매요금제에다가 소매요금마저 지자체 허가를 받기 때문에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고, 게다가 9월 도매요금은 오르기까지 했다. 가스업계는 세금마저 LPG가 유리하다며 기울어진 운동장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 1일 LPG업계에 따르면 E1은 9월 프로판 가격을 ㎏당 1204.81원으로 전달 대비 70원, 부탄 가격은 L당 902.02원으로 전달보다 40.88원 인하했다. 이에 따라 가정·상업용 프로판 가격은 ㎏당 1205.25원, 산업용 프로판은 ㎏당 1211.85원으로 책정해 전달보다 70원씩 인하했다. SK가스도 프로판 가격은 ㎏당 전달보다 70원 내린 1204.81원, 부탄 가격은 전달보다 L당 40.88원 내린 902.02원으로 책정했다. 이로써 국내 LPG 가격은 6월부터 9월까지 네 달 연속 하락하게 됐다. 반면 경쟁연료인 가스의 요금은 되려 올랐다. 국내 유일한 가스 도매사업자인 한국가스공사의 9월 도매요금을 보면 전달 대비 민수용은 동결됐지만, 업무난방용은 19.3822원에서 20.3717원으로 5.1% 올랐고, 산업용은 17.0729원에서 18.0624원으로 5.8% 올랐다. 전체 평균요금은 18.9374원에서 19.4134원으로 2.5% 올랐다. 그동안 LPG와 가스 연료는 쓰임새가 서로 다르고 가스의 가격경쟁력이 높아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LPG 가격이 줄곧 하락한 반면 가스 요금은 점차 오르면서 특히 산업용 연료시장에서 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여기에는 석유화학산업 침체로 원료인 LPG 소비가 크게 줄면서 물량이 산업용으로 몰린 이유도 있다. 가스업계 한 관계자는 “석유화학 침체로 갈데가 없어진 LPG 물량이 산업용 시장으로 쏟아지고 있다"며 “특히 울산 등 석유화학단지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가스 요금보다 15~20% 저렴하게 제공한다는 식으로 LPG업계의 공격적 마케팅이 진행되고 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월보에 따르면 산업용 가스 소비량은 2019년 32만2031TJ(열량단위)에서 2024년 29만9794TJ로 5년간 6.9% 감소했다. 반면 산업용 프로판 소비량은 2019년 5003.7만배럴에서 2024년 5954.4만배럴로 5년간 19% 증가했고, 같은 기간 산업용 부탄 소비량은 882.1만배럴에서 1508.5만배럴로 5년간 무려 71%나 증가했다. 가스업계는 요금결정권이 없어 마케팅에서 불리한데다, 세금마저 LPG 업계보다 불리하다며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관세의 경우 LPG는 0%를 적용받지만 가스(하절기) 2%를 적용받고 있다. 개별소비세의 경우 LPG는 ㎏당 14원이지만 가스는 42원을 부과받고, 수입부과금의 경우 LPG는 없지만 가스는 ㎏당 20.6원을 부과받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당 LPG 14원, 가스 LNG 62.6원이 부과되고 있다. 가스업계 한 관계자는 “가스는 LPG보다 탄소배출계수가 더 낮은데 세금을 더 많이 적용받는 것은 부당하다"며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LPG업계는 “용도마다 세금 적용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2025-09-01 15:52 윤병효

에 주차된 차량이 열섬 현상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특히 차량의 색상과 재료 특성이 표면의 열과 복사(적외선 반사) 특성을 크게 변화시켜, 밀집된 도심 지역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열섬 현상은 에너지 소비나 콘크리트 구조물 집중 등으로 인해 중심 지역이 주변 자연 경관보다 더 따뜻한 온도를 나타내는 현상을 말한다. 스페인 리스본 대학 연구팀은 최근 '와 환경 상호작용(City and Environment Interactions)'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에서 주차 및 이동 중인 차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주차 차량이 표면의 열 특성을 현저히 변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차량은 건물과 도로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건축 자재와 상당히 다른 재료(특히 금속)로 구성돼 있어 열섬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우선 차량은 급격한 온도 상승을 촉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량의 얇은 금속 표면은 높은 태양 복사 흡수율과 열 저장량이 작아 온도가 쉽게 변하는 성질 때문에 주간 햇빛 노출 시 아스팔트보다 훨씬 빠르게 가열된다. 차량 표면이 주변 도로 표면보다 훨씬 뜨거워질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은 차량 색깔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연구팀 측정 결과, 검은색 차량과 흰색 차량은 주변 온도와 뚜렷한 기온 차이(ΔT) 패턴이 나타났다. 검은색 차량은 지붕 중앙 위 20cm 지점에서 ΔT는 3.39°C에서 3.79°C에 달했다. 반면 흰색 차량주변의 ΔT 값은 현저히 작았고 종종 주변보다 낮은 온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차량 색상이 주변 기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다. 색상에 따른 차이는 '알베도(albedo, 빛의 반사율)' 때문인데, 차량 외장 코팅이 검정색이면 알베도는 0.05, 흰색이면 0.85의 알베도 값을 갖는다. 알베도가 높으면 빛을 더 많이 반사하는데, 아스팔트의 경우 0.05~0.2 정도의 알베도를 나타낸다. 연구팀은 “어두운 색상의 차량은 인접한 아스팔트에 비해 지표 근처 기온을 최대 3.8°C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며, 밝은 색상의 차량은 온도 차이를 덜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낮 동안 집중적으로 주차된 차량은 밀집되고 점유율이 높은 지역에서 태양 복사 흡수와 표면 온도를 바꿀 수 있다"면서 “밝은 색상의 차량은 보행자의 열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주차 차량은 햇빛을 가리는 차양 역할도 일부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차량 아래 포장도로의 태양 노출을 줄이고 낮 동안 도로 등 바닥에 흡수되는 열의 양을 잠재적으로 낮출 수 있다. 밤에는 차량 본체(열 저장량이 적음)가 빠르게 식는 반면, 도로 표면은 저장된 열을 방출하며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유지된다. 강찬수 기자 kcs25@ekn.kr

2025-08-28 06:38 강찬수

2011년 7월 우면산 산사태 당시 큰 피해를 입었던 서울 서초구 방배동 일대는 2022년 8월 집중호우 때도 침수 피해를 입었다. 당시에는 시간당 100㎜가 넘는 '극한 호우'가 쏟아진 탓에 도저히 막을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피해로 여겨졌다. 하지만 폭우 피해가 반복되는 것은 빗물펌프장 시설이 극한 호우를 감당하기에 부족한 데다 재해 적응력과 회복력도 부족한 탓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홍익대 건설환경공학과 이승오 교수팀은 최근 서울 시내 12개 빗물 펌프장을 대상으로 ' 홍수 적응역량 지수(UFACI: Urban Flood Adaptive Capacity Index)'를 산출, 국제 저널인 '응용 과학( Applied Science)'에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 교수팀은 서울 시내 120개의 빗물펌프장 가운데 12곳을 골라 빗물펌프장 배수구역의 홍수 대응력을 종합 평가했는데, 그 중 방배동과 금호동이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드러났다. ' 홍수역량 지수(UFACI)'는 빗물펌프장의 단순 배수(排水)능력이 아닌 홍수로부터의 '회복력'을 측정하는 지표다. 기존의 홍수 취약성 평가는 주로 침수심, 배수능력 같은 물리적 지표에 집중한 데 비해 UFACI는 경제력, 사회적 대응망, 물리적 인프라, 주민 위험 인식을 통합해 평가하는 지표다. 연구팀은 경제적 자원(소득, 재정자립도), 사회적 자본(재난 관련 기관, 의료기관), 인프라(저류용량, 배수능력), 위험 인식(EQ-5D 건강지표, 보험가입률, 과거 피해이력) 등 14개 세부 지표를 기반으로 퍼지 로직(Fuzzy Logic)을 적용해 0~1 사이의 UFACI 점수를 산출했다. 점수가 1에 가까울수록 회복력이 높은 지역이다. 연구팀 분석 결과, 12개 배수구역 중에서 상위권과 하위권 구역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용산구 문배(UFACI 점수 0.977), 구로구 고척-1(0.970), 용산구 심원(0.958) 빗물펌프장은 상위권으로 평가됐다. 아울러 높은 재정자립도와 보험가입률, 주민 대상 훈련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회복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언론이나 사회네크워크시스템(SNS)에서 언급되는 빈도도 낮았는데, 이는 실제 피해 사례가 적다는 방증이다. 이에 비해 서초구 방배(0.748), 성동구 금호(0.782), 용산구 보광(0.867), 동대문구 제기-1(0.879) 빗물 펌프장은 상대적으로 낮은 UFACI 점수를 받았다. 과거 홍수를 경험한 지역이고, 적응 능력이 낮아 재난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방배동 빗물펌프장의 경우 펌프 용량이 분당 1000㎥이었고, 저류시설 용량은 2600㎥인데, 유역면적이 77만8000㎡이므로, 1시간 동안 100㎜의 비가 내리고 그 빗물 중 80%가 유입된다고 가정하면 빗물펌프장이 감당하기는 어렵다. 금호동의 경우는 재정자립도가 30.2%로 낮았고, 제기-1 빗물펌프장은 펌프 용량 등 물리적 위험은 중간 수준이었지만 재정자립도는 21.6%로 낮았다. 연구팀은 “하위권 지역에서는 집중호우 후 언론 보도나 SNS 언급 빈도가 높았는데, 이는 낮은 UFACI 점수와 실제 피해 발생이 일치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지난 10여 년간 배수관 확장, 펌프장 증설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다. 당장 지난 5월에도 서울시는 “홍수 관리에 대응하기 위해 2029년까지 빗물펌프장·배수터널·저류조 구축에 1조8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침수 방지시설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히 빗물펌프장은 3개소를 신설하고, 6개소는 증설키로 했다. 금호빗물펌프장도 318억원을 들여 2027년까지 증설하기로 했다. 하지만 극한호우는 갈수록 늘어나고 홍수 피해도 줄지 않고 있다. 연구팀은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데는 인프라만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구는 관련 시설의 유지보수나 장기 투자가 어렵다. 큰 피해가 없으면 투자와 관리가 후순위로 밀리기 쉽다. 의료·재난대응기관이 잘 갖춰져야 하고, 지역사회 차원에서 대응 체계도 마련돼야 한다. 연구팀은 인프라와 사회적 요소를 결합한 통합적 홍수관리로 전환할 것을 권고한다. '배수능력'에서 '적응역량'으로 관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재난대응기관, 의료 인프라 확충, 지역 자원봉사 네트워크 운영 등 사회적 대응망 강화 △주민 교육, 저소득층 홍수보험 지원, 반지하 주거 개선 등 위험 인식 제고 △UFACI와 같은 지수로 정책 효과를 평가하는 등 지속적 모니터링 △재정 취약지역에 대한 균형 지원 등 형평성 있는 투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찬수 기자 kcs25@ekn.kr

2025-08-25 10:52 강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