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강현창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강현창 기자 입니다.
  • 자본시장부
  • khc@ekn.kr

전체기사

삼성-LG, 프리미엄 TV 시장서 치열한 ‘1위’ 경쟁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글로벌 TV 시장에서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19일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글로벌 TV 시장에서 금액 기준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의 집계 결과다. 삼성전자 측은 성공 요인으로 AI TV와 Neo QLED, OLED 등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전략에 있다고 설명했다. 집계 결과 2500달러 이상의 고가 시장에서 삼성전자 제품이 52.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또 1500달러 이상의 시장에서도 QLED TV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52.8%의 점유율을 유지했다. 75형 이상의 초대형 TV 시장에서는 29.6%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98형 TV의 판매 증가로 80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도 33.5%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반면, LG전자는 올레드 TV 출하량 기준으로 전 세계 시장의 53%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역시 옴디아의 집계 결과다. LG전자는 AI 기술을 적용한 '올레드 에보(evo)'를 중심으로 다양한 폼팩터와 폭넓은 라인업을 제공하며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대형 스포츠 이벤트와 글로벌 프리미엄 TV 수요의 반등으로 인해, 프리미엄 TV 시장 내 OLED TV의 매출 비중은 45%로 증가했다. 유럽 시장에서도 OLED TV의 매출 비중이 16.9%를 기록하며,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LG전자는 75형 이상의 초대형 올레드 TV 시장에서도 출하량 기준 58%의 점유율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두 회사는 각각의 강점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서로 다른 전략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군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LG전자는 OLED 기술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한 가전업계 관계자는 “TV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가는 양사의 경쟁 덕분에 소비자들은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받고 있다"고 말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대기업 지배구조 재편 ‘국감行’ 티켓 되나

최근 대기업의 지배구조 재편과 관련하여 주주들과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해당 기업 총수가 국감장에 소환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두산의 경우 야당은 물론 금융당국마저도 문제가 많다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어 소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언급된다. 그 밖에 SK와 한화 등도 정치권에서 주목하고 있다. ◇두산그룹 재편안, 정치권 '뜨거운 감자'로 18일 재계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박정원 두산 회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근 두산그룹이 진행 중인 지배구조 재편안으로 잡음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두산그룹은 두산밥캣과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로보틱스를 중심으로 한 지배구조 재편 작업을 진행 중이다. 주요 내용은 두산밥캣의 모회사인 두산에너빌리티를 인적분할해 두 개로 쪼갠 뒤 두산밥캣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는 비상장 신설법인을 두산로보틱스의 자회사로 만들 예정이다. 이후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밥캣의 지분을 포괄적 교환을 통해 모두 확보해 결과적으로 두산밥캣을 상장폐지하는 게 두산그룹의 계획이다. 하지만 이 방안은 주주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한 상태다. 기업을 쪼개고 합치는 과정에서 적용하는 합병·교환 비율에 문제가 많다는 입장이다.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비교다. 두 회사의 시가총액은 4조원대로 큰 차이가 없지만 문제는 수익성이다. 두산밥캣의 매출액은 두산로보틱스의 매출액보다 100배가 넘는다. 하지만 주식은 두산밥캣 1주가 두산로보틱스 0.63주로 교환하게 된다. 이에 정치권에서도 두산그룹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높은 상태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일명 '두산밥캣 방지법'으로 불리는 법안 개정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상장회사 간 합병 과정에서 주가뿐만 아니라 자산 가치, 수익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투자자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합병가액을 결정하라는 게 개정안의 요지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주주가 불공정한 합병 중단을 청구할 수 있는 '합병유지청구권'을 상법에 도입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과 재계에서는 두 의원이 속한 국회 정무위원회가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을 국감장에 불러낼 것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두산그룹의 재편안은 관련 주주총회가 열리는 오는 9월 25일이 분수령이며 국감은 10월에 열린다. 일정상 재편안의 결과가 주주들에게 불리하게 작용될 경우 가장 원성이 높을 시기에 국감이 열리는 셈이다. ◇SK·한화도 논란…국감 앞두고 긴장감 지배구조 재편과 그로 인한 주주들의 이익 침해 문제가 정치권과 재계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SK와 한화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SK의 경우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온을 지원하기 위한 여력을 마련하기 위해 SK E&S의 흡수를 시도 중이다. SK도 비율이 문제다. SK그룹은 SK이노베이션의 기업 가치를 약 10조8000억원으로 평가했다. 반면, 비상장사인 SK E&S는 약 6조2000억원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합병비율은 거의 1:1 수준이다. 하지만 실제 두 회사의 수익성과 규모는 큰 차이가 난다. 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매출은 77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1조2000억원 수준이지만, SK E&S는 지난해 매출 11조1600억원, 영업이익 1조3300억원에 불과하다. 자산규모는 SK이노베이션은 약 86조원, SK E&S는 약 19조원 수준이다. 한화는 이미 한차례 지배구조 재편을 위한 작업을 마무리했다. 한화에너지가 (주)한화의 보통주를 공개매수해 지분을 확대한 것이다. 하지만 많은 주주들이 공개매수 가격에 만족하지 못하고 한화의 미래가치에 더 큰 기대를 걸면서 목표 수량의 약 65%만을 모집하는 데 그쳤다. 특히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인 장남 김동관 부회장과 차남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삼남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나눠 보유 중인 상황에서 일반 주주들로서는 공개매수에 응할 매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공개매수가 회사간 시너지가 아니라 승계를 위한 밑그림이라는 분석이 도출되기 때문이다. SK와 한화는 두산보다는 일반 주주들의 반발 정도가 약하지만 국회입장에서는 시각이 다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소액주주들의 입장을 강화하는 법안 통과를 위해 두산과 SK, 한화 모두 법안의 당위성을 위한 사례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정부의 기업가치 제고 정책과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해당 기업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충분하다. 한 재계 관계자는 “국감 소환 가능성 제기 자체가 해당 기업이 최근 진행 중인 지배구조 재편에 압박을 줄 수 있는 카드"라며 “일반 주주들의 권리 강화가 재계는 물론 정치권의 주요 화두로 떠오른 만큼 국감 증인 소환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 높다"고 말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LG전자, AI 스타트업 집중 투자…SBVA ‘알파 인텔리전스 펀드’ 참여

LG전자가 인공지능(AI) 및 딥테크 기술 경쟁력 선점을 위해 혁신 스타트업 투자를 확대한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혁신 기술 트렌드를 공유하고, 질적 성장을 이뤄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 전환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벤처캐피탈 SBVA(옛 소프트뱅크벤처스)가 1억3000만달러(1800억원) 규모로 새롭게 결성한 '알파 인텔리전스 펀드'에 1000만달러(138억원)를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펀드는 △AI △로보틱스 △딥테크 분야의 유망한 초기 스타트업 투자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연내 2차 클로징을 진행해 펀드 규모를 증액할 예정이다. 투자 기업이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도 강화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이번 투자를 통해 잠재력을 갖춘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전략적 투자 등 협력 기회를 늘려 미래 사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 △기업간거래(B2B) 등 신성장 동력을 위한 혁신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모빌리티·비즈니스 공간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달 네덜란드 스마트홈 플랫폼 기업 '앳홈'을 인수하고 가전사업에 AI 기술을 결합한 'AI 홈'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앳홈의 강점인 개방형 생태계와 연결성을 토대로 외부 연동 서비스를 확대하고, AI 가전과의 시너지를 통해 고객에게 다양하고 입체적인 공간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지난 3월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인 '베어로보틱스'에 약 6000만달러(800억원)을 투자하기도 했다.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을 활용해 스마트 물류창고·공급망 자동화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서비스 로봇 시장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21년부터 북미 이노베이션센터(LG NOVA)를 통해 혁신 아이디어를 가진 글로벌 스타트업을 발굴·육성, 사업화를 지원하고 신사업 기회를 찾고 있다. LG NOVA는 디지털 헬스케어·클린 테크·AI 등 미래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육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유우진 LG전자 CSO부문 오픈이노베이션태스크 리더는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으로 기술 역량 확보 기회를 찾고, AI 밸류체인 내에서 회사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휴가인가 파업인가…전삼노에게 광복절이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가 광복절을 포함한 샌드위치 연휴 기간 동안 파업을 진행하며 사측을 압박하려는 전략을 펼치는 가운데 파업의 명분과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대화와 타협의 여지를 무시하고 의미없는 '힘싸움'에 나선다는 비판이 나온다. ◇연휴 중 게릴라성 파업, 실효성 논란 17일 삼성전자 등 재계에 따르면 전삼노는 광복절 샌드위치 연휴 기간(15~18일)을 맞아 게릴라성 파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15일 광복절은 휴일 근로를 거부한 뒤, 이후 변형교대, 4조3교대, 자율출퇴근제 등 근무형태별로 파업 근태를 회사에 통보하거나 휴일 근로 거부에 나서자는 게 전삼노 지휘부의 파업 지침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삼성전자 회사 측은 물론 노조 내부에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는 중이다. 샌드위치 연휴라서 이미 많은 직원들이 연차를 사용해 휴일을 즐기는 상황에서 노동쟁의를 일이키는 것이 무슨 의미냐는 반응이 가장 많다. 심지어 연차를 쓰기 싫어서 파업이라는 이름을 빌어 휴가를 즐기는 거 아니냐는 의혹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실제 15~16일 중 진행되는 전삼노 측의 집회도 없다. ◇현대차와 대비되는 전삼노의 강경 노선 그동안 재계에서는 전삼노가 회사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노동쟁의에 나선다는 우려를 나타내왔다. 대표적인 강성노조로 알려진 현대차 노조와 비교해도 이런 부분이 두드러진다는 우려다. 전삼노는 사측에 평균 임금 6.5% 인상과 성과급 제도 개선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평균 임금 인상률 5.1%를 제안하고, 일회성 여가 포인트 50만원 지급, 휴가 의무 사용 일수 축소 등을 제안했고 결국 협상이 결렬된 상태다. 반면 현대자동차의 경우 최근 노조와 사측의 입장이 조율되는 과정을 보여줬다. 현대차노조는 최근 회사 측에 기본급 15만9000원 인상을 요구했다. 이에 회사 측은 기본급 10만1000원 인상을 제안했고, 양측은 협상 끝에 기본급 11만2000원 인상안을 도출하면서 최근 6년 연속 무파업으로 임금 및 단체교섭을 마무했다.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최근 실적을 비교해도 전삼노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 현대차는 2023년에 전년 대비 각각 14.4%와 54% 증가한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의 해를 보냈다. 노조의 요구를 수용할 재정적인 여력이 있었다는 얘기다. 반면 삼성전자는 전년 대비 매출은 14.58%, 영업이익은 84.92% 감소한 지난해 실적을 받았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노조의 요구를 상당히 수용한 협상을 제시했지만 거부당한 것이다. ◇지속가능성 고려 부족한 압박 전략 이에 전삼노가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도 못하면서, 출구 없는 전략으로 사측을 압박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노조는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기업의 지속가능성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전삼노는 그런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한 재계관계자는 “현재 전삼노의 전략은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다"며 “노동쟁의의 본질은 노사 간의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상호 이익을 도모하지만 한 쪽의 입장만 강경하다면 결과는 공멸이다"라고 지적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손경식 회장, 경사노위에 ‘합리적 노사문화 구축’ 당부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은 지난 13일 권기섭 신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노란봉투법'으로 불리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에 대한 경제계의 깊은 우려를 전달했다. 손 회장은 이 법안이 기업 경영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강조하며, 특히 원청기업을 하청기업 노사관계의 당사자로 끌어들이고, 불법 쟁의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권을 제한하는 점을 문제 삼았다. 손 회장은 이 법안이 현실화되면 노사분쟁으로 인한 피해로 인해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하거나 사업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는 중소·영세업체 근로자들과 미래 세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외국인 투자기업의 55%가 노란봉투법이 경영상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도급계약 부담 증가로 노동시장 효율성이 저하되고, 하청노조의 원청에 대한 파업 증가와 원·하청노조 간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경총은 이와 관련하여 경직된 노동시장의 유연성 강화를 강력히 요청했다. 손 회장은 불안정한 노사관계와 노동시장의 비효율성이 국가 경쟁력을 하락시키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며,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강화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노동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란봉투법은 노동자의 불법적인 쟁의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개별적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어, 경영계는 이로 인해 손해배상 요구가 사실상 무력화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 개념 확대가 한국 산업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와 맞물려,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대립적인 노사관계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손 회장은 권기섭 위원장에게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위해 큰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하며, “노동환경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지만 우리 노동시장의 낡은 법 제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회적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노사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권 위원장이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SK스퀘어, 2분기 실적 발표…성장·침체 ‘이중주’

SK그룹의 중간지주사인 SK스퀘어가 지난 2분기 7000억원대의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1년 전 대비 흑자로 돌아섰다. SK스퀘어는 지난 2분기 연결 매출 4686억원, 영업이익 7748억원, 순이익 7288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SK하이닉스를 비롯한 포트폴리오 회사들의 실적 개선에 힘입은 것으로, 지분법 손익 총 8247억원이 연결 실적에 반영되었다. 매출과 이익 모두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실적 개선과 함께 향후 반도체에 투입할 투자재원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SK스퀘어는 지난 2분기 SK쉴더스 매각 자금 등을 활용해 약 1조원이 넘는 현금 유입을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 분야에서의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다는 게 SK스퀘어 측의 설명이다. 반면 아쉬운 점도 있다. 우선 티맵모빌리티는 TMAP 오토, 안전운전보험(UBI), 광고, API 등 수익성 높은 모빌리티 데이터 사업을 확대하며 매출 1603억원을 기록했으나, 여전히 순손실 규모가 372억원에 달했다. 11번가는 매출 3059억원, 순손실 39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매출은 감소했으나 순이익은 개선된 수치다. SK플래닛은 광고 매출 확대와 외주 비용 절감을 통해 흑자전환을 노렸지만 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어 인크로스는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은 “기존 포트폴리오의 밸류업과 유동화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예정"이라며 “반도체 중심 포트폴리오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모든 리소스를 축적하며 미래 준비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승자독식’ 반도체 전쟁… 美처럼 韓도 보조금 지급 정책 탄력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두고 여야가 모처럼 정책 대결을 펼치면서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직접 지원을 형평성의 문제로 꺼리던 분위기였다. 하지만 날로 치열해지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경쟁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해 직접 보조금도 불사할 필요가 있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여야 모두 '반도체 특별법' 추진... 정책 대결 본격화 13일 재계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의 움직임이 이를 반영하고 있다. 지난 8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반도체 특별법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에 화답하듯 더불어민주당의 이언주 의원도 반도체산업에 대한 특례 내용을 담은 관련법 제정안을 발표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반도체 산업 지원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국민의힘에서는 고동진, 박수영, 송석준 의원 등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법안을 이미 발의했으며, 더불어민주당에서도 김태년 의원 등이 반도체 산업 지원 방안을 담은 법안을 내놓았다. 양당이 반도체 산업 지원이라는 공통의 목표 아래 정책 대결을 펼치는 중이다. ◇업계 vs 우려…글로벌 추세는 지원 강화 이에 대해 반도체업계에서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세제와 금융지원으로 한정되었던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 방안이 직접 보조금으로 확대될 기회라고 보기 때문이다. 직접적인 자금 지원은 기업들의 투자 여력을 높이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반도체 지원 정책이 다른 산업군과 비교해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의 세금을 특정 기업에 몰아주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이는 정부 지원 정책을 수립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하지만 글로벌 추세를 보면 주요 국가들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책을 강화하고 있다. EU는 2021년 '유럽 반도체 전략'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43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EU 내 반도체 생산량의 비율을 현재 10%에서 20%로 높이는 것이 목표다. 대만의 경우, TSMC가 정부의 지원을 통해 세계 최대의 반도체 파운드리 회사로 성장했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미국의 경우 2022년에 제정한 'CHIPS Act'를 통해 대규모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현지에 진출한 외국 기업도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에 새로운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면서 최대 64억 달러(약 8조7000억원)의 보조금을 확보했고,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첨단 패키징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최대 4억5000만 달러(약 6000억원)의 지원을 받을 전망이다. ◇막대한 초기비용 필요…정부 지원이 '치킨게임' 승리 열쇠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기업들이 투자 결정을 내릴 때 고려하는 주요 요인은 투자 및 운영 비용, 인력 및 인재, 인프라, 규제 환경, 통합 생태계 등이다. 이 모든 요소가 막대한 초기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금이 절실하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이러한 지원 정책들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반도체 관련 소재, 부품, 장비(SME)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전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중소기업의 성장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민 소득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이 SIA의 연구 결과다.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정부의 지원은 더욱 중요한 승리 요인으로 작용한다. 과거 수차례의 '치킨게임'을 겪은 이 산업에서, 정부 지원은 종종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 요소였다. 과거 인텔이 D램 시장에서 철수한 것도 정부 지원을 힘입은 일본의 반격 때문이었으며, 그런 일본마저 시장을 다시 한국 기업에 내어준 것 역시 미국의 규제 강화와 함께 한국 정부 차원의 화력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최근 중국은 64조원이 넘는 대규모 펀드를 조성해 자국의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은 막대한 보조금을 통해 자국 내 반도체 생산을 강화하고 있다"며 “반도체 산업에서의 국가 차원의 지원은 치킨게임에서의 승리와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강조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LG전자, AI가전 홍보 위해 서바이벌 리얼리티쇼 제작

LG전자가 자사 AI가전을 홍보하기 위해 서바이벌 리얼리티쇼를 제작해 아마존의 글로벌 OTT 서비스인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 공개했다. LG전자는 12일(현지시간)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 '하우스 오브 서바이벌(Estate of Survival)'을 프라임 비디오에 런칭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북미와 중남미 지역에서 프라임 비디오와 LG채널을 통해 시청 가능하며, 국내에서는 8월 말부터 LG webOS TV의 무료 콘텐츠 플랫폼인 LG채널에서 볼 수 있다. '가전 없는 가전쇼'를 주제로 한 이 프로그램은 총 6개 에피소드로 구성됐다. 약 900명의 지원자 중 인터뷰와 심리 검사 등을 통해 선발된 8명의 참가자들이 빈 집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LG 가전을 획득하고 그 기능을 사용하는 내용이다. 참가자들은 양말 짝 찾기, 눈 가리고 머핀 만들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가전과 생활용품을 획득한다. 매회 투표로 탈락자가 발생하며, 최종 우승자에게는 10만 달러의 상금이 주어진다. 프로그램 중 참가자들은 LG 워시콤보, 냉장고, 오븐 등 다양한 LG AI가전의 기능을 사용한다. LG 워시콤보로 세탁과 건조를 한 번에 하고, LG전자 냉장고의 '크래프트 아이스(Craft Ice)'로 얼음을 만든다. 오븐의 '스캔투쿡(Scan-to-Cook)' 기능으로 밀키트의 바코드나 QR코드를 스캔하여 요리를 한는 장면이 방송된다. 또 참가자들은 LG전자의 스마트홈 플랫폼인 LG 씽큐(LG ThinQ) 앱의 '씽큐 케어(ThinQ Care)' 서비스도 사용한다. 이 서비스는 AI 기반으로 제품 작동상태를 분석하고 고장이 예상되면 씽큐 앱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LG전자 류주현 H&A브랜드커뮤니케이션담당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LG전자 AI 가전의 기능과 편의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이재용·정의선이 이끈 기업 국가대표도 ‘金빛’ 행진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활동한 국내 대기업들도 금메달급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지를 직접 찾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물론 물심양면으로 대회와 선수들을 후원한 다른 기업들도 한국 경제의 위상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재용 회장, 글로벌 네트워킹 강화 기회로 12일 재계에 따르면 이번 올림픽 기간 중 파리 현지를 방문한 이재용 회장은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에 집중했다. 이 회장은 현지에서 피터 베닝크 전 ASML CEO 등 반도체, IT, 자동차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인들과 릴레이 미팅을 통해 중요 비즈니스 현안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초청으로 파리 엘리제궁에서 열린 글로벌 기업인 오찬에 참석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제임스 퀸시 코카콜라 CEO 등 글로벌 기업인 40여 명들과 글로벌 경제 전망, 미래 기술 트렌드, 조직문화 혁신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삼성전자는 지난 1988년부터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공식 파트너 지위를 유지 중이다. 이 회장은 현지에서 주요 글로벌 인사들과의 연쇄 회동을 통해 비즈니스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삼성전자의 신제품을 홍보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올림픽 참가 선수들에게 '갤럭시 Z 플립6 올림픽 에디션'을 제공하고, 시상대에서의 '빅토리 셀피'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이러한 활동은 삼성전자의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개회식에서 선수단 보트에 '갤럭시 S24 울트라'를 설치해 센강을 따라 6km가량 퍼레이드를 펼치는 각국 선수들의 생생한 모습을 촬영했다. 이 모습은 올림픽방송서비스(OBS)를 통해 전 세계로 송출됐다. 또 올림픽 최초로 시상대 위에 오른 선수들이 직접 셀피(셀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빅토리 셀피'는 영광의 순간을 간직하는 상징으로 연일 화제를 불러 모았다. 포디움에 오른 선수들은 앞서 삼성전자가 각국 선수 1만7000여 명에게 제공한 '갤럭시 Z플립6 올림픽 에디션'으로 메달을 딴 뒤 영광의 순간을 직접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은 '애슬리트 365'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 세계 팬들에게 공유됐다. ◇정의선 회장, 양궁 전종목 석권 이끈 '투명한 지원' 정의선 회장은 대한양궁협회장으로서 양궁 선수들을 직접 지원하고 격려하는 데 집중했다. 현대차그룹은 1985년부터 양궁을 지속적으로 후원해왔다. 이번 올림픽에서도 양궁 선수단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현장에서 직접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정 회장은 개막식이 열리기 전에 현지에 도착해 양궁 선수단의 준비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또 양궁 경기를 직접 관전하며 선수들을 응원하고, 경기 후에는 선수들을 만나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의 응원과 후원에 힘입은 대한민국 양궁 팀은 이번 올림픽에서 전 종목을 석권하는 역사적인 성과를 거뒀다. 대한양궁협회는 원칙을 지키는 투명한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 회장은 선대 회장으로부터 이어받은 공정한 협회 운영을 통해 양궁의 발전을 이끌었다. 지연·학연 등 파벌로 인한 불합리한 관행이나 불공정한 선수 발탁 없이 국가대표 선발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한국 양궁의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는 비결이라는 평가다. ◇SK·한화도 펜싱·사격 메달 획득에 '숨은 조력자' 역할 비록 총수가 직접 현지를 찾지는 않았지만, SK, 한화 등 다른 대기업들도 올림픽과 선수들, 그리고 각 기업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SK텔레콤은 2003년부터 대한펜싱협회 회장사를 맡아 지금까지 약 300억원을 지원하며 펜싱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도왔다. 파리 올림픽 기간 동안 선수들의 훈련 파트너를 현지에 파견하고, 현지 한식 배달을 통해 선수들의 경기력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다. 그 결과 한국 펜싱은 이번 올림픽에서 남자 사브르 단체전 3연패(2012 런던, 2020 도쿄, 2024 파리)를 달성하는 등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오상욱 선수는 사브르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한국 펜싱 선수로는 첫 올림픽 2관왕에 올랐다. 한화그룹도 오랜 기간 사격을 후원해왔다. 이번 올림픽에서 사격대표팀은 이번 올림픽에서도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를 따내며 성과를 이어갔다. 한화는 2001년 한화갤러리아 사격단을 창단하고, 2002년에는 대한사격연맹 회장사 역할을 맡았다. 또한, 2008년부터는 국내 주요 대회인 한화회장배 전국사격대회를 매년 개최하며 종목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다. 한 재계 관계자는 “선수 못지 않게 이재용과 정의선 두 회장의 활동은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했다"며 “다른 대기업들도 각자의 방식으로 올림픽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면서 국민들에게 감동을 선사한 무대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두산의 ‘숨겨진 카드’…교환·합병비율 20% 상향 가능성

두산그룹이 결국 두산밥캣을 중심으로 한 지배구조 재편 과정에서 주식 교환비율과 합병비율을 손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정신고서를 받아든 금융감독원장이 “무제한 정정 요청도 할 수 있다"고 나서면서 반려를 시사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두산그룹은 비율 조정은 법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정정된 신고서에서도 비율은 변하지 않았다. 하지만 관련 법규를 검토한 결과 개인주주들에게 지금보다 약 20% 가량 유리한 조건의 비율로 증권신고서 수정이 가능하다. 11일 금융감독원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주주들에게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다면 두산 측이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정정을 계속해서 요구하겠다"며 교환비율과 합병비율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요구했다.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그리고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로보틱스 간의 주식 교환과 합병이 일반 주주들에게 불리하다는 시장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그동안 두산은 교환비율과 합병비율이 법적으로 정해진 것이므로 변경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실제 정정된 보고서에도 비율 부분은 수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5와 제176조의6을 살펴보면, 교환비율과 합병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존재한다. 해당 법규에 따르면 상장법인 간 주식 교환과 합병의 경우 기준주가의 100분의 30 범위에서 할인이나 할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번 두산의 경우처럼 계열회사 간의 경우에는 이 범위가 100분의 10으로 제한된다. 이를 적용하면 실제로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간의 교환비율과 두산에너빌리티 분할 신설 투자회사와 두산로보틱스 간의 합병비율을 정정할 수 있다. 현재 두산은 두산에너빌리티의 기준주가는 1만221원, 두산로보틱스의 기준주가는 8만114원으로 산정했다. 두산밥캣은 5만612원이다. 시장에서는 두산로보틱스가 고평가되고 상대적으로 두산밥캣과 두산에너빌리티가 저평가됐다는 불만이 나온다. 하지만 법규상 허용되는 할인과 할증을 적용하면 현재 나오는 불만을 잠재울 수준은 아니지만 조금이나마 개인 주주들에게 유리한 수치가 나온다. 먼저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분할 신설되는 투자회사와 두산로보틱스 간의 합병에서 두산에너빌리티의 기준주가에 10%를 할증하고, 두산로보틱스의 주식가액에 10% 할인을 적용해 새로운 합병비율을 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두산에너빌리티 기준주가는 1만1243.1원, 두산로보틱스 기준주가는 7만2102.6원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적용한 합병비율은 0.1559로, 기존의 0.1275856보다 유리해진다. 이어 두산로보틱스와 손자회사가 된 두산밥캣의 주식 교환비율도 수정할 수 있다. 두산밥캣의 기준주가를 현재보다 10% 할증된 5만5673.2원으로 수정하면 된다. 이후 교환비율은 0.772로 조정될 수 있다. 기존의 0.6317462보다 두산밥캣 주주들에게 유리하다. 한편 이 원장이 취임한 뒤 금감원은 증권신고서의 정정을 요청하는 경우가 대폭 늘었다. 요구하는 수준도 상당히 높았다는 평가다. 이에 두산이 각 회사의 기준주가에 10% 수준의 할인과 할증을 적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만약 기준주가 변경에 따른 합병과 교환비율을 수정하고도 당국의 심사 문턱을 통과하지 못한다면 두산 입장에서는 기준주가를 산정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야 할 수 있다. 상장사 간의 교환과 합병은 시가를 기준으로 비율을 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비상장사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두산로보틱스로부터 분할해 신설될 회사는 두산밥캣의 시가 대신 자산가치를 기초로 기업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주주들에게 유리한 비율로 산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한 재무회계 전문가는 “두산은 이번 지배구조 재편에서 조금이나마 개인주주를 배려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에도 이를 명확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당국은 이를 정조준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재편 작업의 향방이 SK 등 구조 재편을 앞둔 기업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현창 기자 k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