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란 불가피" 삼성 ‘리더십 부재’에 비상경영 체제 가동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되면서 ‘총수 부재’ 상태에 놓인 삼성그룹은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게 됐다. 일단 급한대로 이 부회장이 직접 주요 현안을 보고받으며 ‘옥중 경영’에 나설 전망이지만 한계가 분명하다는 지적이다. ◇ 이재용 ‘옥중 경영’에 전략 수립 차질 불가피···준법위 이달 회의는 예정대로19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 경영진들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긴급 사장단 회의를 열고 이 부회장 구속에 따른 대응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회의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최소 인원만 참여하거나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삼성이 비상경영 체제를 가동한다 하더라도 당장 뚜렷한 ‘플랫 B‘를 찾기는 힘든 상태다. 이에 따라 이 부회장은 일단 ’옥중 경영‘에 나서 최대한 현안은 챙길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2017년 2월부터 1년여간 구속됐을 때도 이 부회장은 직접 중요한 현안을 보고 받고 결정을 내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변수는 코로나19다. 코로나19 여파로 이 부회장의 일반 접견이 최소 4주간 중지되고, 면회도 변호인을 통하거나 스마트폰 등 전화 접견만 가능하다. 성박 1078일만에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이 부회장은 신체검사, 코로나 검사 등을 받았다고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4주간 신입 거실에서 격리 수용될 예정이다. 2주 뒤 코로나19 음성 판정이 나오면 2주 더 격리된 다음 일반 거실로 옮겨진다.이에 따라 당장은 이 부회장의 측근인 삼성전자 정현호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 사장이나 이인용 대외협력사장 등이 그룹 내 소통 창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내 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 김현석 소비자가전(CE)부문 사장, 고동진 IT·모바일(IM)부문 사장 등 사업 부문별 대표들의 어깨도 무거워질 것으로 보인다.이 부회장의 구속으로 위상에 타격을 입은 준법감시위원회의 경우 이달 21일로 예정된 정기회의와 26일 7개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와의 모임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앞서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 7개 관계사는 이번 파기환송심 공판에서 전문심리위원들이 준법위의 한계로 지적했던 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만들어 지난달 28일 준법위에 제출한 바 있다. 준법위는 21일 열릴 정기회의에서 이들 개선방안을 검토, 논의하고 준법위의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준법위 기능은 종전처럼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부회장이 지난해 5월 대국민 사과에서 "저와 관련한 재판이 끝나더라도 준법위는 독립적인 위치에서 중단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언급했기 때문이다.이 부회장의 구속으로 삼성이 사업지원TF 전반을 손질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사업지원TF는 삼성이 2017년 초 그룹 해체의 상징으로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미전실)‘을 없앤 뒤 신설한 조직이다. 삼성은 사업지원TF의 준법 감시를 종전보다 강화하면서 조직 규모를 축소하거나 계열사 관련 업무를 최소화하는 등 기능을 재정립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며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로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