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최고경영자(CEO)를 교체하며 인적 쇄신에 나섰다. 어려운 경영 환경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회사 본원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통' 류재철 HS사업본부장을 전면에 내세웠다. LG그룹 전체적으로는 2인 부회장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주력 계열사에서 성과를 낸 인물들을 적극적으로 발탁해 '안정 속 쇄신'을 도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LG전자는 27일 이사회 승인을 거쳐 2026년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인사는 내년 1월1일자, 조직개편은 다음달 1일자다. 류 본부장(사장)이 LG전자의 새로운 CEO로 선임됐다. 류 신임 CEO는 1989년 금성사 가전연구소로 입사해 재직 기간의 절반가량을 가전 연구개발(R&D)에 종사한 '기술통'이다. 높은 기술 이해도를 바탕으로 사업을 이끌어 온 기술형 사업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2021년부터는 LG전자의 주력사업인 생활가전 사업을 총괄하는 H&A사업본부장을 맡고 있다. 류 신임 CEO 진두지휘 아래 LG전자는 제품 경쟁력 근간이 되는 본원적 성능에 대해 꾸준한 선행 R&D를 지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류 사장이 신임 CEO로 선임됨에 따라 키친솔루션사업부장 백승태 부사장이 HS사업본부장을 맡는다. 신임 백승태 HS사업본부장은 리빙솔루션사업부장, 키친솔루션사업부장 등을 역임하며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에서 LG전자의 시장 지위를 높여왔다. MS·VS·ES사업본부장은 유임한다. LG전자는 이밖에 사장 2명, 부사장 2명, 전무 9명, 상무 21명 등 총 34명(인도LG전자 2명 포함)에 대한 승진인사를 실시했다. 지난해(46명)와 비교하면 규모가 줄었다. 사장 승진자는 2명 나왔다. 은석현 VS사업본부장과 이재성 ES사업본부장이다. 기업간거래(B2B) 사업 양대 축인 전장 사업과 냉난방공조(HVAC) 사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은 사장은 지난 2018년 말 LG전자에 합류, 2021년 말부터 VS사업본부장을 맡아 전장 사업의 고속 성장을 이끌어 왔다. 특히 미국 관세, 전기차 수요 증가 둔화 등 불확실한 사업 환경에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 매출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사장은 1987년 금성사 공조기연구실로 입사해 연구개발, 상품기획, 마케팅, 영업, 전략 등 다양한 분야를 거친 냉난방공조 전문가다. 지난해 말부터는 ES사업본부장을 맡아 가정·상업용 공조 사업에서 제품의 본원적 경쟁력을 기반으로 성장을 이끌어 왔다. 이밖에 김진경 SoC센터장과 조병하 webOS플랫폼사업센터장이 부사장으로 각각 영전했다. 국내 가전구독 사업에서 '케어' 차별화로 본질적 경쟁우위를 달성하고 고속 성장에 기여한 이성진 한국구독영업담당 상무, 온라인브랜드샵(LGE.COM) 기반의 글로벌 D2C(소비자직접판매) 사업 확대에 기여한 정순호 D2C해외영업그룹장(상무) 등 성과를 낸 9명은 전무로 승진했다. LG전자는 조직 효율화와 중장기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을 가속화하는 차원에서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HS사업본부는 빌트인·빌더 중심인 가전 B2B 사업의 글로벌 확대와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해 HS B2B해외영업담당을 신설하기로 했다. MS사업본부는 TV사업부와 IT사업부를 통합해서 디스플레이사업부를 운영할 계획이다. 산하에 디스플레이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디스플레이상품개발그룹을 신설한다. ES사업본부는 산업용 냉각솔루션을 포함해 환기, 냉장·냉동 등 사업을 전담하는 어플라이드사업담당을 만든다. 조주완 사장은 건전한 세대교체를 위한 용퇴를 하게 됐다. 그는 1987년 입사 후 37여년간 LG전자에 몸담았다. 지난 4년간은 CEO로 LG전자의 지속가능한 성장의 초석을 다져왔다. 재임 기간 B2B, Non-HW, D2C 등 '질적 성장' 영역을 중심으로 한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추진하며 LG전자 미래성장의 기반을 닦는 데 주력했다. LG전자를 제외한 LG그룹 주력 계열사들도 이날 이사회를 각각 열고 정기 임원인사를 실시했다. LG화학은 리더 변화의 폭이 컸다. 부회장단 2명 중 1명인 신학철 부회장이 세대교체를 위해 물러난다. 지난 7년간 LG화학의 전지 소재 등 신성장 미래 사업과 글로벌 경영 기반을 마련한 인물이다. LG화학은 또 김동춘 첨단소재사업본부장(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키며 새로운 CEO로 임명했다. 김 사장은 1968년생으로 한양대학교에서 공업화학을 전공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MBA)를 취득했다. 1996년 LG화학에 입사한 이후 반도체소재사업담당, 전자소재사업부장, 첨단소재사업본부장 등 첨단소재 분야 주요 직책을 두루 거쳤다. LG화학은 김 사장이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 사업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고 미래 혁신을 주도할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상무급으로는 7명을 신규 발탁했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사장으로 영전했다. 지난 2023년 12월 CEO로 선임된 문 사장은 지속성장을 위한 미래 육성사업 발굴에 앞장서며 견고한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왔다. LG이노텍은 이밖에 경은국 LG디스플레이 회계담당(상무)을 회사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로 보직 발령했다. 지주사인 ㈜LG에서는 장건 법무·준법지원팀장, 장승세 화학팀장, 정정욱 홍보·브랜드팀장이 각각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윤창병 통신서비스팀장과 이승기 투자팀장을 전무를 달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김형식 ESS전지사업부장을 전무로 승진시키는 등 총 7명의 임원 승진안을 결의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및 관세 협약 등 시장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조직 실행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효율적 인사 운영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LG디스플레이는 부사장 1명, 전무 2명, 상무 신규 선임 10명 규모로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했다. 최영석 생산기술센터장(전무)을 부사장으로 승진시키고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선임했다. 최 부사장은 생산 기술 혁신 및 생산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성능 우위 기술 완성도를 제고해 사업을 위한 선제적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인물이다. LG유플러스는 부사장 3명, 전무 1명, 상무 7명 등 총 11명을 승진 명단을 공개했다. 권용현 기업부문장, 양효석 최고인사책임자(CHO), 여명희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부사장 직함을 달았다. LG생활건강에서는 박일상 HDB(Home care and Daily Beauty) 영업총괄과 박정철 정도경영담당이 각각 상무로 선임됐다. LG CNS는 부사장 2명, 전무 1명, 상무 5명 등을 승진시켰다. 재계에서는 LG그룹이 이번 인사를 통해 '안정 속 쇄신'을 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권봉석 LG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남았지만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떠나며 '2인 체제'가 끝났기 때문이다. 주력 계열사인 LG전자의 CEO를 교체하는 등 쇄신 노력도 돋보인다. 앞서 일각에서는 조주완 LG전자 사장 또는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 등이 차기 부회장단에 합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전반적으로 부회장단을 줄이는 방향으로 회사를 이끌어왔다. 2018년 구 회장 취임 당시 6명이던 LG그룹 부회장 수는 현재 1인으로 줄어든 상태다. 여헌우 기자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