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력은 기후위기에 대응할 가장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입니다." 한국수력산업협회가 25일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제2회 수력의 날' 기념행사를 열고,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할 지속가능한 에너지로서 수력의 역할을 재조명했다. 올해 행사는 '함께 하는 수력, 함께 여는 미래'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산·학·연 수력 전문가 270여 명이 참석해 업계 협력과 미래 전략을 논의했다. 수력발전은 최근 기후위기 대응과 재생에너지 변동성 보완 요구가 커지면서 계통 안정성·무탄소 전원·장주기 저장장치로서 그 가치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력의 날'은 지난해 11월 20일, 국내 최초 중급형(15MW) 수차발전기 국산화 실증 성공일을 기념해 제정됐다. 최경순 한국수력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수력의 날 기념행사는 미래가능한 에너지체계로 도약하기 위해 수력의 역할을 한층 더 확고히 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며 “수력은 친환경 청정에너지전환이 가속화되는 오늘날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양수발전은 특히 재생에너지 출력 변동성을 보완하는 필수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라고 말했다. 이어 “수력발전 종사자들은 기술, 정책기반 강화 등 수많은 성과를 만들어왔다"며 “모든 성취는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 관심과 참여로 가능했다"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 최 부회장은 “그동안 수력발전업계가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비전을 나누는 날이 되길 바란다. 세계적으로 수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협회는 기술개발, 정책기반 강화 등 모든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며 “상생 협력을 통한 국산화 확대와 지역과의 공존을 통해 대한민국 수력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수력산업협회 회장사인 한국수력원자력 김형일 에너지믹스사업본부장은 “한국 수력발전을 위해 노력해오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린다. 덕분에 국가전력계통 안정과 탄소중립 핵심 에너지원으로 자리잡았다"며 “최근 전력환경은 재생에너지 확대, 기후위기 대응, 전력시장제도 변화라는 도전에 맞서있다. 무탄소 전원 확충과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한 수력의 역할을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확대되는 수력산업에 대비해 R&D를 강화하고 국산화와 기술자립, 산업생태계 구축과 해외진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수력의 친환경성 계통안정성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 글로벌 에너지전환으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 수력업계는 한수원과 수자원공사가 15개 일반수력발전소와 7개 양수발전소를 운영 중이다. 한국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 발전자회사는 9개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안호영 위원장은 이날 영상 축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한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수력발전의 위상과 역할이 높아지고 있다“며 “제2회 수력의 날 기념식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양수발전 국산화와 산업발전을 막는 규제 완화를 국회에서도 돕겠다. 양수발전소 건설로 청정에너지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양수발전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과 전력망 안정화, 재생에너지 수용 확대를 위한 필수 기반이다. 특히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는 태양광과 풍력을 보완하는 장점이 있어 에너지저장장치(ESS)로도 훌륭하다"며 “우리나라는 산이 많아서 양수발전소 건설에 유리하다. 앞으로 더 많은 양수발전소 건설로 청정에너지가 안정적으로 확보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어어진 기념식에서는 수력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에 대한 포상이 이뤄졌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상은 ㈜삼안, 두산에너빌리티 이충열 수석, 한국수력원자력 최희영 부장이 수상했다. 한국수력산업협회장상은 금화씨앤이 김영재 상무 외 총 8명이 수상했다. 유공 포상은 수력발전 국산화, 설비 운영 개선, 지역 상생 기반 조성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낸 기관과 전문가에게 수여됐다. 공식행사 2부로 열린 수력산업 상생협력 세미나에서는 국내 수력 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모델이 제시됐다. 세미나에서는 △수력발전 국산화 사례 △영양 양수발전소 유치 우수사례 △지자체와 상생하는 양수발전소 건설현황 △해외사업 회원사 동반진출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과 변동성 높은 재생에너지 확대 속에서 양수식 수력발전의 계통 안정화 역할이 강조되며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행사 후반에는 수력산업 공급망 상생협력 상담회가 열려 한수원 수력처·양수건설처가 2026년 발주계획을 발표하고 공급사들과 1:1 매칭 상담을 진행했다. 이어 중소기업 대상 기술보호 인식개선 설명회도 진행돼 수력 생태계 전반의 협력 기반을 강화했다. 수력산업협회는 2020년 3월 6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설립인가를 받은 비영리단체로, 국내 수력발전기업의 전문성 확보, 신기술 연구·상호교류, 인재양성 등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 및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를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수력산업협회는 “올해 제2회 수력의 날이 국산 기술 경쟁력 강화·수력생태계 상생 기반 구축·미래 청정에너지 산업 육성의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지성 기자 jjs@ekn.kr




![[EE칼럼] 한중 해저 수소 파이프라인 구상이 필요하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6ca4afd8aac54bca9fc807e60a5d18b0_T1.jpg)











![[금융 풍향계] 네이버페이 ‘Npay 스코어’, 삼성화재 신용대출 적용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5.3415844ba52e4e739f7cd468fa3567c4_T1.jpg)
![[운용사3Q] 미래에셋자산운용, 국내 1탑…글로벌 무대선 ‘확장 국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5.13fadbf4d4a546eb9c227041ce3af54c_T1.png)

![[김성우 시평] 탄소규제 강화와 기업의 고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이슈&인사이트] 어디 비교할 데가 없어서 직전 정부 따위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1109.b66efaf66a144273bc45695d05163e00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항공업계 ‘엄격한 아버지’ 국토부의 빈자리…반쪽짜리 ‘공정 문화’ 우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2f3910233d5f4cfbb66a59c952f09a6c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