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트롤] 광명시-군포시-부천시-시흥시-안양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cca34780e40e46ea917a0f86f0177567_T1.jpeg)
광명=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광명시가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5 AI 지자체 성장 포럼 및 지방자치콘텐츠대상'에서 문화-관광 분야 대상(행안위원장 표창)을 수상했다. 지방자치콘텐츠대상은 전국 지방정부와 지방의회가 추진한 정책과 콘텐츠 중 혁신성-공공성-실효성을 종합 평가해 수여하며, 지방자치TV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등이 공동 주관한다. 광명시는 올해 '시민이 직접 만드는 문화-관광도시 광명'을 비전으로 시민 주도형 축제 정책을 적극 추진해 큰 호평을 받았다. 광명시는 페스티벌 광명, 광명시 평생학습 축제, 광명시 책 축제, 한내천 봄꽃축제, 광명마당극축제, 광명동굴 빛 축제 등 다양한 축제를 열어 시민이 기획-운영-참여-소비 주체가 되는 지속가능한 문화관광 생태계를 구축했다. 특히 광명을 대표하는 도심 음악 페스티벌로 성장한 '페스티벌 광명'은 올해 시민들이 직접 행렬을 구성해 참여하는 '퍼레이드 광명'을 도입하며 '시민이 만드는 축제'라는 정체성을 확실히 했다. 평생학습 축제와 책 축제 역시 시민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거버넌스형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배움과 문화, 관광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역 문화축제로 발전해, 광명시의 지속가능한 문화생태계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외에도 인근 상인회와 협력해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한 한내천 봄꽃축제, 지역 예술가들과 함께 만들어 지역문화 기반을 넓히는데 힘을 보탠 광명마당극축제 등 축제 운영 전 과정에서 지역 공동체와 협업을 강화한 점도 인정받았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일회성 관광 정책 한계를 넘어 시민이 주체가 되는 축제로 지속가능한 문화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고자 한다"며 “이번 수상은 시민과 함께 만든 성과로, 앞으로도 시민 주도 축제를 확대하고 지역 관광자원을 더욱 활성화해 문화-관광의 도시 광명 경쟁력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군포=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하은호 군포시장이 27일 세종정부청사 국토부를 방문해 철도지하화 국가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10만2193명의 군포시민 서명이 담긴 서명부를 전달했다. 이날 서명부 제출에는 철도지하화 범시민추진위원회 이영호-한진운-김창원-김정옥 공동대표들이 동행해 군포시민 뜻을 정부에 직접 전달했다. 군포시는 그동안 범시민추진위원회와 함께 관내 6개 역사(금정-군포-당정-산본-수리산-대야미역)를 비롯해 12개 동 행정복지센터, 산하기관, 복지관, 노인회관, 전통시장, 아파트 단지 등 생활권 곳곳에 서명부를 비치하고 현장 안내와 홍보물을 병행하며 서명 참여를 독려해 왔다. 이렇게 받은 서명부가 25일 오후 10만 명을 넘었다는 소식에 군포시 공무원은 크게 고무됐다. 이번 국토교통부 방문은 이런 시민 참여 결과물을 토대로 철도지하화 필요성과 시급성을 중앙정부에 분명히 전달하기 위한 절차다. 하은호 군포시장은 국토부에 “이번 서명부 제출은 행정이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사업이 아니라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책 결정 과정이런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시장인 저와 공직자들만의 노력이 아니라 한 줄 한 줄 마음을 실어 서명해준 시민 의지가 고스란히 담긴 결과물을 들고 정부 문을 두드리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상 철도는 군포 도심을 둘로 나누고, 보행과 교통안전, 소음-진동 등으로 시민 삶에 오랫동안 부담을 줘 왔다"며 “철도지하화는 단순한 시설 개선이 아니라 도시 구조를 바로 세우고, 군포 미래 30년을 좌우할 중대한 분기점"이라고 강조했다. 군포시는 철도지하화가 국가계획에 반영될 경우, 지상부를 활용한 공원-보행축 조성, 커뮤니티-복지-문화시설 확충 등으로 주거-생활 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단절된 생활권과 상권을 연결하는 등 도시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은호 군포시장은 “우리 군포시민의 간절한 염원과 소망이 정부 결정을 움직일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부천=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부천시는 지난달 31일 개장한 야간테마경관 '루미나래 도화몽'이 운영 24일 만에 누적 관람객 1만명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개장 후 가족, 연인, 청소년 등 다양한 세대 발길이 이어지고 있으며, 누리소통망(SNS)을 통한 인증사진 확산과 입소문을 통해 개장 초기부터 높은 호응을 얻으며 부천의 대표 야간 명소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루미나래 도화몽은 부천자연생태공원 1.5㎞ 구간에 조성된 미디어 테마파크다.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8m 크기의 움직이는 구형 LED와 70m 규모의 주상절리 지형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프로젝션, 감성조명 등을 결합해 총 12개 야간 콘텐츠로 구성됐다. 자연과 기술을 융합한 체험형 공간으로 시각적 몰입감과 예술성을 동시에 갖췄다. 운영 시간은 내년 2월까지는 오후 6시30분부터 11시까지, 3월부터 10월까지는 오후 7시30분부터 11시30분까지다. 매주 월요일과 명절은 휴관하며, 회차당 온라인 및 현장 발권 포함 150명이다. 입장료는 초등학생과 65세 이상은 9000원, 중-고등학생은 1만원, 성인은 1만2000원이다. 20명 이상 단체는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입장객은 일부 금액을 지류형 지역화폐로 환급받게 되며, 부천시민은 6000원, 타 도시 방문객은 3000원을 부천사랑상품권으로 돌려받는다. 김미진 공원조성과 공원조성팀장은 “시민의 높은 관심과 호응이 이번 사업 성과를 입증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콘텐츠 개선과 품질 관리를 통해 부천의 대표 야간 관광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흥=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임병택 시흥시장은 27일 시흥시의회에서 열린 '제322회 시흥시의회 정례회'에서 2026년 시정 운영 방향을 발표하면서 “급변하는 대내외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시흥시민의 평범한 행복을 지키기 위해 민생을 최우선에 두고 미래를 준비해 왔다"며 “60만 시민 모두가 시흥 변화를 이끌고 누구나 행복을 체감하는 성장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임병택 시장은 '함께 성장하고 다 같이 누리는 시흥'을 위해 △인공지능(AI)-바이오 융합클러스터 조성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및 배곧대교 건설 △시청 앞 고밀-복합 개발 사업 △시흥 균형발전 및 원도심 활성화 △시민 안전과 노동자 복지 △지속가능한 경제 생태계 조성 △세대별 삶을 아우르는 시흥형 정책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K-컬처 중심 도시 조성 등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시흥 미래와 균형발전을 이끌 성장축으로 AI-바이오 융합클러스터 조성,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및 배곧대교 건설, 시청 앞 고밀-복합 개발사업을 긴밀히 연계해 “시흥 미래를 위해 과감히 도전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서해선, 신안산선, 경강선을 중심으로 광명시흥, 거모지구, 하중지구 공공주택지구, 매화지구 개발 등을 추진해 균형 있는 도시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시민 안전과 관련해서는 이상기후에 대비한 신천 우수저류시설 사업 등을 통해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시민 생명과 재산 보호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영세 소규모 사업장 노동자 권익 향상을 위해서는 노동상담 전문 노무사를 배치하고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노동자가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거북섬 MTV 노동자지원시설을 준공해 근로 환경 개선을 도모한다. 또한 임병택 시장은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경영 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위해 기업-상권 현장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쓸 계획이며, 청년 노동자의 지역 정착을 지원하고 기업에 인공지능과 로봇 지원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경제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는다. 세대별 삶을 아우르는 시흥형 정책도 강화한다. 경기도 최초로 시작한 시흥돌봄SOS센터는 동 단위 돌봄을 실현하며 공공성을 강화했으며, 내년 관련 법이 시행되면 통합돌봄을 더 주도적으로 추진해 전 시민이 촘촘한 돌봄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초-중-고등학생에게는 1인당 10만원 입학준비금을 지급하고, 65세 이상 대중교통 비용을 지원해 노인 사회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흥의 자연-문화 자산을 도시 경쟁력으로 삼아 시화호 거북섬을 사계절 해양레저-문화 콘텐츠 복합 관광지로 조성하고, 내년 개관 예정인 시흥아트센터를 통해 고품격 문화예술 공연을 제공할 계획이다. 2026년도 시흥시 총예산안 규모는 1조6419억원이며, 일반회계는 전년 대비 약 8.3%(1285억원) 감소한 1조4135억원이다. 임병택 시장은 “현재와 미래 모두가 살기 좋은 도시 시흥을 만들기 위한 전략적 투자인 만큼, 시흥시의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바란다"며 “미래 시흥의 청사진을 완성하고 그 결실을 모든 시민께 온전히 돌려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안양=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안양시가 여성친화도시 활성화 조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성평등가족부 주관 '2025년 여성친화도시 조성 정부 포상'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성평등가족부는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된 106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매년 이행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중 A등급 이상을 받은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3곳을 선정해 유공 표창을 하고 있다. 안양시는 △성평등 조직문화 조성 사업 추진 △여성일자리실무협의체를 통한'안양형 여성친화기업'인증-협약 사업 내실화 △시민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사업 발굴및 점검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안양시는 3차례에 걸쳐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된(2012~2016, 2017~2021, 2023~2027) 경험을 바탕으로, 도내 최초로 '안양형 여성친화기업' 지정 사업을 추진해 여성이 일하기 좋은 기업문화 확산에 앞장서 왔다. 또한 안양시는 갑작스러운 돌봄 공백이 발생했을 때 부모 등 양육자가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안양형 24시간제 어린이집'을 운영하며, 지역사회가 함께 책임지는 사회적 돌봄체계 구축에도 힘써왔다. 이번 표창은 26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2025년 여성친화도시 정부포상 수여식 및 협약식(성평등가족부 주관)에서 수여됐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27일 접견실에서 열린 전수식에서 “여성친화도시라는 이름에 머무르지 않고, 내실 있고 진정성 있는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시민 의견을 적극 청취하겠다"며 “시민 모두가 공감하는 성평등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근주 기자 kkjoo0912@ekn.kr
![[패트롤] 고양시-동두천시-양평군-포천시-하남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06068f5d8dc744c19642bd3d3022d928_T1.jpg)
![[패트롤] 구리시-동두천시-안양시-양주시-하남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968403e00ceb49afbbec47b2894943dd_T1.jpg)
![[패트롤] 과천시-김포시-부천시-안양시-의왕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c3986507481a46bbaf0fc045ca6883ab_T1.jpg)
![[패트롤] 고양시의회-남양주시의회-안양시의회-연천군의회](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2162b384aa1a45e9817c6e0f950558db_T1.jpg)
![[패트롤] 고양시-남양주시-양주시-의정부시-파주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f4a9a3478b42415aadfd771e90cc45b2_T1.jpg)
![[패트롤] 김포시-군포시-부천시-시흥시-안산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d6aec62c28d54048b5bdea4f27dcd599_T1.jpeg)
![[패트롤] 고양시의회-연천군의회-의정부시의회-하남시의회](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20cc204fe6ab4c53bd864d8058f3d62f_T1.jpg)
![[패트롤] 김포시-군포시-부천시-시흥시-하남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104b40566d904595b72b6c1bab5cdd61_T1.jpg)



![[금융 풍향계] 새마을금고, 100억 들여 부당대출 막는다...검사시스템 재구축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39bce44264044ccaaa2e36b278fac009_T1.png)





![[단독] 해운연료 탄소 줄이는 바이오선박유, 내년 상반기 내 정식 도입](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581c58c08c334f608471771115248749_T1.png)
![[마감시황] 코스피, 장중 4000선 돌파 후 숨고르기…매물 출회에 상승폭 축소 마감](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6f2872f6a0ff4dd2b97742b6e82b1da5_T1.jpg)
![[EE칼럼] 브라질 아마존에서 열린 COP30의 현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521.f1bf8f8df03d4765a3c300c81692086d_T1.jpg)
![[EE칼럼] 데이터센터 논쟁, 전력수요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2cc8189f478749e4a78608eb1c336580_T1.jpg)

![[이슈&인사이트]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노동개혁의 새로운 로드맵’](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0714.6113a82b3a8646498673ad8e0ae0439f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눈] 부동산 정치 공방, 결국 실수요자만 피해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cdbea9187b8e4431a0bd46d0b3494b78_T1.jpg)

















![[패트롤] 구리시-남양주시-동두천시-양주시-파주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5.ff1dcfd016dd452787577df9bf3eb219_T1.jpg)

![[단독] 정부·여당, ‘석탄 암모니아 혼소’ 완전 폐지 나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4.335cad4341f9422f90e77a367b5a9b2f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