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원격의료(텔레메디신)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부각시켰지만, 제도적 장벽으로 확산에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임상 중심의 빠른 기술 적용과 제도적 실증을 통해 원격의료의 현실적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이제는 아시아가 함께 표준을 만들어갈 시점입니다." 아시아 각국의 원격의료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아시아 원격의료학회'(Asian Telemedicine Society, ATS)가 지난 24일 서울에서 공식 출범했다. 초대 회장으로 서울대 의대 강대희 교수(예방의학교실)가 선임됐다. 이날 서울대 의대 의학도서관 우봉홀에서 열린 'ATS 2025 아시아 원격의료학회 컨퍼런스'에서 만난 강 회장은 “한국원격의료학회(KTS)가 지난 4년간 축적한 지식과 경험을 아시아와 나누며 공동 발전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ATS는 한국,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대만,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등 아시아 10여 개국의 원격의료 및 디지털헬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범아시아 학술 단체이다. “ATS는 AI, 데이터과학, 간호학, 심리학, 산업계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다학제적 협력 플랫폼으로, 각국의 경험과 데이터를 공유하며 함께 발전하는 디지털 헬스 협력체로 성장할 것입니다." 강 회장에 따르면, ATS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Pan-Asian Telemedicine Network'(범아시아 원격의료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정기 학술교류, 공동 연구, 정책 협력, 의료데이터 표준화 등 아시아 디지털헬스 표준화와 글로벌 연계를 모색한다. 학회 사무국은 서울대 의대에 설치되며, 향후 일본·베트남·인도네시아 등과 협력한 순회 학술대회도 추진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아시아 각국의 전략과 관점으로 그리는 원격의료의 미래 △글로벌 원격의료 전망-병원 적용과 임상 혁신 △차세대 디지털헬스 생태계와 플랫폼 구축) 등 3개 세션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아시아 각국의 정책부터 병원 중심의 임상 혁신, 차세대 기술 생태계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뤘다. 강 회장은 원격의료 제도화를 위한 과제로 “국민 편익과 공공선이라는 측면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혜택과 의료비 감소라는 두 가지 목표로 원격의료를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원격의료 활성화를 위해 비대면 진료 수가 신설 등 제도 개선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도서산간 거주자, 재소자, 군인, 원양어선 선원, 해외 주재원, 병원을 찾기 힘든 고령층 등에게 있어 원격의료는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행위별 수가 제도 하에서 검사와 시술을 해야 병원이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가 되다보니 불필요한 검사와 수술, 과다 처방과 입원으로 인해 의료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됐는데 비대면 진료를 통해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여 의료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강 회장은 “미래 의학은 예방하고(Preventive) 예측하며(Predictive) 개인에 맞추고(Personalized) 참여하는(Participatory) '4P'가 중요한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참여의학"이라고 제시했다. 강 회장은 “디지털 기기를 바탕으로 원격 협력진료를 활성화하는 것이 현재 빨간불이 켜진 지역의료 공백을 메우려면 가장 실효적인 방법"이라고 역설했다.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뒤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심부전의 위험도를 알려주는 패치도 있고, 혈압·심박수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스마트폰 앱으로 보여주는 시계나 반지도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수가 때문에 임상에서 널리 쓰이지 못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는 장래성이 큰 원격의료 산업을 적극 밀어줘야 합니다." 박효순 의료 전문기자 anytoc@ekn.kr













![[산업돋보기] 스마트폰 ‘두뇌’ AP, 삼성·애플 패권 경쟁 향방 가른다](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4.8332f58998654554ba45724529a1765c_T1.png)



![[김성우 시평] ESG, 위기를 돌파하는 아시아의 새 해법](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EE칼럼] 중국이 수소마저 우리를 추월하게 둘 건가?](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321.6ca4afd8aac54bca9fc807e60a5d18b0_T1.jpg)

![[이슈&인사이트] 원화 스테이블코인, 해볼만하지 않을까?](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318.a08eb2bb1b6148bdbbc5277847497cdf_T1.jpg)
![[데스크 칼럼] 이커머스 정산주기 단축, ‘선의의 규제’가 초래할 역풍](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0105.00106f8496ba40f5af6df3babd4ef03c_T1.jpg)
![[기자의 눈] 삼성 ‘갤럭시 XR’의 미래는 애플과 다를까](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4.f8895eb731554cdf84bb4312b2064bcd_T1.jpg)


![[단독] 파라타항공, 내년 3월 29일 인천-LA·라스베이거스 취항 계획…美 교통부 서류 제출](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4.1dc2257762b74466959ad1cd05064d5b_T1.png)
![[단독]김성환 기후부 장관, 화석연료 퇴출 ‘속도전’…청정수소발전 입찰 전격 취소](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17.80b3afa87edd49ec90ce81a9af2e98a5_T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