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스가 발전사업으로 실적 홈런을 날렸다. SK가스는 LNG(액화천연가스)사업에 진출한 김에 이를 더 확장해 LNG선박에 연료를 공급하는 LNG벙커링사업으로 다시 한번 홈런을 노리고 있다. 4일 SK가스 3분기 실적에 따르면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1조9502억원, 영업이익 1735억원, 당기순이익 1127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 매출은 12.5%, 영업이익은 303.3%, 당기순이익은 53.7% 증가했다. 3분기 누적으로는 매출액 5조6576억원, 영업이익 4070억원, 당기순이익 25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7%, 147.3%, 89.9% 증가했다. SK가스는 발전사업에서 대박을 쳤다. 3분기 사업별 실적을 보면 LPG사업은 매출 1조6953억원, 영업이익 9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5%, 114.3% 증가했다. 발전사업(울산지피에스)은 매출 2549억원, 영업이익 8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3.5%, 1만5634% 증가했다. SK가스의 발전법인인 울산지피에스(지분 99.48%)는 지난해 12월부터 상업가동했다. 발전설비용량 1.2GW이며, 세계 최초로 LNG와 LPG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LNG를 직수입으로 공급해 타 발전소보다 경제성 높은 전력생산을 할 수 있다. 건설에는 총 1조4120억원이 투입됐다. SK가스는 발전사업과 연계해 한국석유공사와 LNG 및 석유제품 터미널 사업을 영위하는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지분은 SK가스 47.6%, 한국석유공사 52.4%이다. SK가스는 발전사업 홈런에 이어 또 다른 홈런을 준비하고 있다. LNG벙커링 사업이다. LNG벙커링이란 쉽게 말해 바다 위 주유소이다.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바다 위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것이다. 대형 선박들은 정박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보통 바다 위에서 벙커링선박을 이용해 연료를 충전한다. SK가스는 LNG벙커링 사업을 위해 올해 2월 100% 자회사 에코마린퓨얼솔루션을 설립했다. 회사의 영위업종은 운송장비용 연료 소매업이다. SK가스 이 사업을 위해 △올해 1월 HJ중공업과 선박(1만8000cbm) 신조 및 H-라인과 용선계약 체결 △2월 회사 설립 △4월 선박용 천연가스사업자 자격 취득 △9월 현대글로비스와 장기 연료공급계약 체결 △올해 말 벙커링선박 인도 받아 본사업 개시 예정이다. 2028년부터는 2번째 선박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SK가스의 코리아에너지터미널이 있는 울산항은 국내 최대이자 세계 7위 규모의 부산항에 근접해 있으며, 울산항에도 자동차운반선 등 수요가 있다. 무엇보다 코리아에너지터미널에는 벙커링 전용부두가 이미 구축돼 있어 즉시 사용이 가능하다. 선박연료의 배출 규제 강화로 친환경 선박 수가 늘고 있다. DNV 및 클락손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기준 글로벌 친환경 선박 수는 LNG추진선 879대, 메탄올 95대 등 총 974대이며 2028년까지 LNG추진선은 1344대, 메탄올은 317대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SK가스는 IR자료를 통해 “해양 환경규제 강화로 친환경 연료 전환은 필수이며, 친환경 연료 중 LNG가 메탄올 및 암모니아보다 경제성, 수급, 안전성 등에서 우위"라고 설명했다. SK가스는 계열사 SK어드밴스드에 대해 사업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SK어드밴스드는 LPG(프로판)를 기반으로 폴리프로필렌(PP) 계열 석유화학 기초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매출액 2908억원, 영업손실 624억원, 당기순손실 839억원을 기록했다. SK가스는 지분 45%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회사가 나머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SK가스 관계자는 “현재 SK어드밴스드와 관련해 다양한 방향으로 사업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