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어닝서프라이즈'를 발표하며 최근 확산됐던 AI(인공지능) 버블 논란에 제동을 걸었다. 글로벌 기술주 전반을 짓눌렀던 불안 심리가 빠르게 진정되면서 국내 증시도 장 초반 단숨에 4000선을 회복하는 등 반등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3분기 매출은 570억달러, 주당순이익(EPS)은 1.30달러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 실적 발표 직후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는 5% 이상 급등하며 196달러대를 기록했다. 전일 정규장에서 이미 2.85% 올랐던 데 이어 추가 상승에 나선 것이다. 무엇보다 이번 실적 발표는 최근 시장 최대 리스크였던 'AI 거품론'을 되돌린 사건으로 평가 받는다. 그동안 엔비디아는 실적을 잘 내고도 발표 직후 주가가 하락하는 악순환이 반복돼 왔다. 지난해 2분기와 3분기, 올해 1분기 모두 실적 호조 뒤 주가 하락 패턴이 이어졌지만 이번에는 정반대 흐름이다. 크리스 자카렐리 노스라이트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엔비디아의 실적과 전망은 시장의 상승 흐름을 다시 살릴 만한 수준"이라며 “AI 투자 사이클 둔화 우려가 실적으로 완전히 반박됐다"고 말했다. 국내 시장도 즉각 반응했다. 이날 코스피는 개장직후 단숨에 4030선을 넘어서며 4000선을 회복했다. 외국인·기관 순매수가 유입되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되살아난 것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블랙웰 판매는 폭발적이며 클라우드 GPU는 이미 매진됐다"고 말하며 AI 인프라 수요가 여전히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어 “트레이닝과 추론 모두에서 컴퓨팅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며 AI 생태계 확장의 속도도 직접 언급했다. 증권가에서도 AI 하드웨어에 대한 우려 해소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GPU 교체 주기가 지나치게 짧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도체주의 조정을 유발했는데 엔비디아가 구형 GPU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일정 수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불확실성이 줄었다"며 “AI 버블 논쟁도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윤지호 경제평론가는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9월에 한국 증시가 7.5% 올랐고 10월에는 19.9% 상승했다. 11월 기준으로 어제 아침 많이 빠졌을 때가 6% 하락한 수준이고 고점 대비 10% 빠진 것"이라며 “지금 큰일 난 것처럼 얘기하고 있지만 9월에 주식을 산 사람이라면 이 정도 조정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다. 최근 반응은 다소 과잉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 매출이 512억 달러고 AI 투자가 계속 늘고 있다는 점이 숫자로 확인됐다"며 “돈을 못 버는데 주가만 올라야 버블(인데). 엔비디아는 실적이 받쳐준다"며 AI버블 논란에 선을 그었다. AI 인프라 투자가 엔비디아 등 일부 기업의 부담을 넘어 신규 참여자들로 저변이 넓어지면서, 수요가 일시적 흐름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도 힘이 실린다. 고태봉 iM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소위 AI 투자 사이클 확대에 따른 낙수효과가 본격적으로 국내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과열 구간이 일단락되며 투자심리는 더욱 안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기술주 반등이 즉각 전고점 돌파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경로가 불확실한 데다 자산시장의 변동성이 여전히 크기 때문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 실적은 분명 긍정적이지만, 연준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장세 변동성을 감내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개장시황] 코스피, 엔비디아 호실적에 4000선 회복…삼전·하닉 강세 주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13b6aa82ca894194bdbdecc3fb7a1627_T1.jpg)
![[특징주] 시지트로닉스, 우주급 전력반도체 국산화 성공 소식에 상한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fe465bdaf93e4903bad0f86fbbe21768_T1.png)

![[특징주] 에스피지, LG사이언스파크와 로봇 감속기 MOU…주가 강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9.70e6f647539b42b7af6316b81180fd93_T1.jpg)

![[특징주] 삼익제약, 분당서울대병원 약제위 심의 통과 소식에 강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60cea81c51fc4c26b3dd04569d316aa8_T1.jpg)
![[윤수현의 해외 Top Picks] AI 조정에도 ‘서학개미 매수 폭발’…엔비디아·레버ETF 싹쓸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7.78be8654e1c845268c80e48d8c5a49e5_T1.png)
![[특징주] 젝시믹스, 3분기 최대 매출·영업익 개선에 12%대 급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7.ace7ba94b5314d4ca482738a0a365037_T1.png)
![[주간증시] 코스피 4000선 간신히 방어…엔비디아 실적·FOMC 의사록 분수령](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16.c8367654c09843379fc42be0f98dcd17_T1.png)


![[가스 소식] 가스공사, 가스기술공사, 가스안전공사, GS파워, 대성에너지, 귀뚜라미그룹](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0.0de9feb1a9e544ecab6fb87ee0a4daf8_T1.jpg)





![[금융 풍향계] 농협중앙회, 농축협 조합장 불법 선거 강력 대응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b11c61579bdf439899f711b4959600bb_T1.jpeg)

![[EE칼럼] 다시 생각해 보는 지속가능발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590fec4dfad44888bdce3ed1a0b5760a_T1.jpg)
![[EE칼럼] 기후변화협약의 정치와 과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528.6d092154a8d54c28b1ca3c6f0f09a5ab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부동산대책, 실수요자 배려해야 효과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710f4e5ba3f5454d85edc37966c891f6_T1.png)






















![[패트롤] 구리시-남양주시-동두천시-양주시-파주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5.ff1dcfd016dd452787577df9bf3eb219_T1.jpg)


![[포커스] 고양시, 일산1기신도시 선도지구 재건축 준비 ‘착착’](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2.09cd369ce3e64826817ce930a4d4bcc5_T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