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송두리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송두리 기자 입니다.
  • 금융부
  • dsk@ekn.kr

전체기사

카카오뱅크, 상반기 순익 2637억원 ‘역대 최대’…“비이자수익 36%”

카카오뱅크는 상반기 263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고 6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규모로 사상 최대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3532억원으로 11% 성장했다. 2분기 기준 순이익은 1263억원, 영업이익은 17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0.2% 각각 늘었다. 가계대출 관리 기조 속에 수수료와 플랫폼, 투자금융자산 수익 등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고객 활동성을 비이자수익으로 전환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카카오뱅크는 설명했다. 상반기 여신이자수익을 제외한 비이자수익은 5626억원으로, 전체 영업수익 중 36%의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30.4% 증가했다. 대출, 투자, 지급결제 등 다양한 부문에서 플랫폼 역량이 강화되고 펌뱅킹·오픈뱅킹, 광고 부문 수익이 고르게 성장했다. 상반기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8.3% 늘어난 1535억원을 달성했다. 카카오뱅크 앱에서 다른 금융사의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는 '대출 비교 서비스'의 제휴사는 70여곳으로 확대됐다. 2분기 카카오뱅크 대출 비교 서비스를 통해 제휴 금융사의 대출을 실행한 금액은 1조38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배 규모로 증가했다. 2분기 말 고객 수는 2586만명으로, 상반기 약 100만명의 고객이 신규 유입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전년 동기 대비 40대는 71%에서 76%, 50대는 49%에서 57%까지 확대됐다. 20대, 30대 연령대별 침투율은 각각 82%, 86%까지 높아졌다. 고객 활동성도 꾸준히 증가해 역대 최대 트래픽을 달성했다. 2분기 카카오뱅크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전분기 대비 약 100만명이 늘어난 1990만명을 기록했다. 주간활성이용자수(WAU)는 1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수신 성장도 두드러졌다. 수신 잔액은 63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조3000억원 늘었다. 특히 모임통장 출시 7년 만에 이용자 수 1200만명을 돌파했으며, 잔액은 1년 만에 2조원 이상 늘어나 10조원을 기록했다.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따라 여신 잔액은 4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가계대출은 24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중·저신용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포용금융은 지속했다. 지난 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6000억원 규모의 중·저신용 대출을 공급했다. 2분기 중·저신용 대출 잔액 비중은 33.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영업자·소상공인 금융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매분기 꾸준히 증가해 2분기 말 기준 2조5000억원을 돌파했다. 2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92%로, 시장 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0.17%포인트(p) 축소됐다.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지난해 말 36.4%에서 35.2%로 개선됐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09%를 기록했다. 연체율은 전년 말과 동일한 0.52%를 기록했다. 해외 진출도 순항 중이다. 동남아시아 최대 슈퍼앱이자 IT플랫폼인 '그랩'과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지분 투자를 단행한 인도네시아 디지털은행 '슈퍼뱅크'는 3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했다. 카카오뱅크의 아이디어가 담긴 슈퍼뱅크의 신규 서비스도 추후 인도네시아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태국 금융지주사 SCBX(SCB X Public Company Limited)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태국 '가상은행' 인가도 획득했다. 카카오뱅크 참여 컨소시엄은 1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내년 하반기 대고객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산재, 이제는 금융리스크] 안전 외면한 기업, ‘돈줄 죄기’ 나선다

안전을 외면한 기업에 대한 '돈줄 제재'가 가시화된다. 이재명 대통령이 “산업재해는 살인"이라며 강경 대응을 주문하자 은행권이 즉각 움직이기 시작했다. 은행권은 앞으로 중대재해 기업의 자금줄을 죄는 방식으로 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재명 정부가 산업계의 중대재해 대응에 금융을 끌어들이며 산업재해와의 전면전을 선포한 것이란 해석이다. ▶ 관련기사 : “은행, 중대재해도 계량화한다"...신용모델 개편 '만지작'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노동자 사망사고가 잇따른 포스코이앤씨와 SPC를 공개적으로 거론하며 “산업재해 사망 사고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또 명색이 10대 경제 강국인 대한민국에서 연간 1000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일하다 죽는 것은 참담한 일이라며 “일하다 죽는 일이 최소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재 사망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여러 차례 공시하게 하고, 투자를 안 해서 주가가 폭락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단순한 법적 제재를 넘어 기업의 자금 조달 자체를 막아 산업재해에 대한 기업의 경각심을 높이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날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 대통령에게 “산업재해가 발생한 기업에는 투자와 대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보고했다. ESG(환경·사회·거버넌스) 평가에서 중대재해 기업의 평가 등급을 하락시켜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유인을 막고, 은행 내규에 명시된 기업 평판 요소를 강화해 대출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경제적 제재를 실제로 해야 (산업재해 예방에) 효과가 있다"며 즉각적인 조치를 지시했다. 이 대통령이 금융까지 동원해 중대재해에 칼을 빼든 것은 최근까지도 산업 현장의 안전 실태가 개선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발생한 중대재해 사망사고는 129건, 사망자는 137명에 달했다. 작년 1분기(사망사고 136건, 사망자 138명) 대비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다. 특히 건설·제조업에서 사고가 집중되고 있다. 올해 건설업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는 63건(48.8%), 사망자는 71명(51.8%)으로 절반 수준을 차지했다. 제조업에서는 29건의 사고(22.5%)로, 29명(21.2%)이 목숨을 잃었다. 은행권은 곧바로 행동에 나섰다. 금융당국은 지난 1일 은행권과 비공개 회의를 열고 중대재해를 은행의 기업 신용평가 내규에 직접 반영하고, 은행권 공동 기준을 만드는 내용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중대재해가 반복되는 기업의 신용등급을 낮추고 대출을 제한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산업재해가 대출 심사에서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조치는 '산업재해가 금융 리스크가 된다'는 새로운 기준을 세우는 계기가 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평가 모형에 특정 항목을 비중을 높이거나 새 항목을 추가하는 건 어렵지 않은 작업"이라며 “기업대출 시 기업의 재무뿐 아니라 비재무 요소도 평가하는데, 비재무 요소에서 중대재해 부분을 포함해 강화하는 방식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어 “당국과 협의가 되면 은행권이 빠르게 실행에 옮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돈줄 제재가 건설·제조업 등 특정 업종과 영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업 간 편차와 기업 규모에 따른 현실적인 어려움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중대재해 예방에 나설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며 “중대재해 사고를 예방한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당근과 채찍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경제학자 5인의 제언 “대출제한 신중, 인센티브로" 송두리 기자 dsk@ekn.kr

새마을금고보험, MG 국내·해외여행공제 출시

새마을금고보험은 '무배당 MG 국내여행공제', '무배당 MG 해외여행공제'를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무배당 MG 국내여행공제는 기존 △상해사망·후유장해 △질병사망·80% 고도장해 △실손의료비, 배상책임 보장에, 신규담보로 국내선 제주 출발 항공기 결항손해 담보를 추가 탑재했다. 무배당 MG 해외여행공제는 기존 △상해사망·후유장해 △질병사망·80% 고도장해 △실손의료비, 배상책임, 휴대품손해, 특별비용, 항공기납치 보장에, 신규담보로 △여권분실 후 재발급 비용 △항공기·수화물 지연 추가비용 △중단사고발생 추가비용 △식중독 △특정전염병 담보를 추가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새마을금고 보험은 회원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상품 출시와 더불어 상부상조 정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회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달러 강세 속 외환보유액 증가…외평채·운용수익 확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두 달 연속 증가했다. 미국 달러화 강세에도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과 운용수익 증가 등이 외환보유액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세계 외환보유액 순위는 10위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13억3000만 달러로 전월 말 대비 11억3000만 달러 증가했다. 앞서 외환보유액은 지난 5뭘 말 4046억 달러를 기록해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6월에 56억1000만 달러 늘었고 7월에도 증가세를 이어가며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한은은 외환보유액 증가 배경에 대해 “미국 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이 줄었으나, 외화 외평채 신규 발행, 운용수익 증가 등에 주로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중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미달러화지수(DXY)는 약 2.5% 상승했다. 이 가운데 지난 6월 26일에 발생된 14억 유로 규모의 외평채 대금이 7월 중 납입되며 외환보유액 확대에 반영됐다. 자산별로 보면 국채·정부기관채·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650억6000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65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IMF(국제통화기금) 포지션은 45억2000만 달러로 5000억 달러 늘었다. 이는 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입, 융자 등으로 보유하는 IMF 관련 청구권이다. 반면 예치금은 212억5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52억9000만 달러 감소했다. IMF 특별인출권(SDR)은 157억1000만 달러로 1억9000만 달러 줄었다. 금은 47억9000만 달러로 전월과 동일했다.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의 가격을 표시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 6월 말 기준 4102억 달러로 세계 10위 수준을 유지했다. 1위는 3조3174억 달러를 보유한 중국이 차지했다. 이어 일본(1조3138억 달러), 스위스(1조191억 달러), 인도(6981억 달러), 러시아(6887억 달러), 대만(5984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4576억 달러), 독일(4563억 달러), 홍콩(4319억 달러) 순이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지방銀 풍향계] JB금융, MSCI ESG 평가서 ‘최상위 등급’ 획득 외

◇ JB금융, MSCI ESG 평가서 '최상위 등급' 획득 JB금융그룹은 글로벌 ESG(환경·사회·거버넌스) 평가기관인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한 ESG 평가에서 최상위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글로벌 투자 리서치 기관인 MSCI는 매년 전 세계 8500여개 상장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AAA부터 CCC까지 총 7단계로 등급을 부여한다. 이 중 AAA 등급은 은행업 평가대상기업 중 상위 9%에 해당하는 기업만 획득할 수 있는 최상위 등급이다. JB금융은 이번 평가에서 △친환경 금융 △인적자본 개발 △금융 접근성 △기업 지배구조 등 부문에서 글로벌 은행산업 평균 대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JB금융은 이사회 전원으로 구성된 ESG위원회와 JB금융지주와 계열사 주요 임원, 실무진으로 구성된 ESG 협의회를 통해 그룹 전사적인 ESG 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은행권 최초로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에서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는 국내 RE100 시장 활성화와 민간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제1금융권 최초로 '민간 RE100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했다. 또 그룹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뤄진 '씨앗봉사단'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소외계층 아동·청소년과 외국인 근로자 등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이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JB금융 관계자는 “지난해 DJSI(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코리아 인덱스(Korea Index) 편입에 이어 JB금융의 ESG경영 성과를 다시 한 번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ESG 경영을 통해 진정성 있는 ESG 실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BNK경남은행, 공무원·공기업 재직자 전용 '공공드림 통장·적금' 출시 BNK경남은행은 'BNK 공공 드림통장'과 'BNK 공공 드림적금'을 각각 출시하고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 두 상품은 영업점과 모바일뱅킹앱(App)에서 가입할 수 있는 공무원·공기업 재직자 전용 상품이다. 공공 드림통장은 급여 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 월별 이자 지급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통장 일별 잔액에 따라 최대 100만원까지 2.5~4%의 우대금리가 적용된다. 수수료 우대 혜택으로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모바일뱅킹 타행이체 수수료 △경남·부산은행 CD·ATM 타행이체 수수료 △경남·부산은행 CD·ATM 마감 후 현금인출 수수료 △타행 ATM 출금 수수료(최대 월 10회) 등이 면제된다. 공공 드림적금은 △마케팅 동의(0.4%) △계약기간 3분의 2 이상 급여이체(1.4%) △계약기간 3분의 2 이상 경남BC카드 월 30만원 이상 이용(1.4%) 등 조건 충족에 따라 최대 3.2%(세전)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기본금리에 우대금리를 모두 받으면 최고 연 4.7% 금리가 적용된다. 가입 기간은 12개월이며 월 1만원부터 100만원까지 1만원 단위로 납입 가능하다. 박진용 경남은행 개인고객부 부장은 “공무원과 공기업에 재직 중인 고객들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 상품들을 출시했다"며 “앞으로도 경남은행을 이용하는 다양한 고객들에게 보다 많은 서비스와 혜택을 드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BNK부산은행, 부산 바다축제서 보이스피싱 예방 캠페인 BNK부산은행은 지난 1~2일 부산 다대포에서 열린 '부산 바다축제' 현장에서 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보이스피싱·전자금융사기 예방캠페인'을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예방캠페인은 △보이스피싱 수법 안내 △피해 발생 시 대응 방법 △악성 앱(App) 설치 시 대처 방법 등을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최근 카드발급 사칭 스미싱 등 지능화·고도화되고 있는 보이스피싱 수법과 피해 규모 증가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하고자 추진됐다. 부산은행은 행사장을 찾은 시민들에게 금융사기 예방법이 담긴 책받침과 보이스피싱 신고 전화번호가 적힌 핸드폰용 스티커를 배포하며 보이스피싱 주의 사항을 안내했다. 또 온라인 금융사기 피해 시 최대 500만원까지 보장받을 수 있는 보이스피싱 피해예방보험 가입도 도왔다. 문정원 부산은행 금융소비자보호 총괄책임자(CCO)는 “갈수록 교모해지는 금융사기 수법으로 인해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시대"라며 “부산은행은 고객들이 소중한 금융자산을 지킬 수 있도록 일상 가까이에서 금융사기 예방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한 달 만에 ‘7조→4조’…가계대출 ‘숨 고르기’ 속 풍선효과 주시

7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월 대비 약 40%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모두 증가폭이 줄며, 지난 6월과 같은 급등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은행권은 풍선효과 가능성 등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시장 분위기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3일 각 은행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8조9734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1386억원(0.6%) 증가했다. 지난 6월 한 달간 6조7536억원(0.9%) 늘어난 것에 비해 38.7%가 줄었다. 가계대출은 올해 6월 정점을 찍은 후 지난달 상승폭이 둔화됐다. 지난 6월 증가폭은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주담대와 신용대출 모두 성장세가 위축됐다. 주담대 잔액은 603조9702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4조5452억원(0.8%) 증가했다. 지난 6월(+5조7634억원)과 비교하면 21.1% 감소했다. 주담대 또한 지난 6월 정점을 찍으며 지난해 9월(+5조9148억원)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신용대출은 감소 전환했다. 지난달 말 기준 잔액은 103조9687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4334억원 줄었다. 지난 6월 1조876억원(1.1%)이 불었는데, 한 달 동안 1조원 이상 늘어난 것은 2021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이처럼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6·27 가계대출 규제와 7월부터 적용된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영향 때문이란 분석이다. 6·27 규제는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과 신용대출 한도 연 소득 이내 제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가계대출이 여전히 증가세는 보이고 있지만, 지난 6월 정점을 찍고 상승폭이 주춤한 만큼 앞으로도 현재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은행권은 전망한다. 실제 규제 이후 부동산 거래 심리가 위축되며 규제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 건수가 줄고 집값 상승도 둔화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상승했으며, 이는 전주(0.16%) 대비 0.04%포인트(p) 낮은 수치다. 특히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와 용산 등 고가 주택 밀집 지역에서 가계대출 신청액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증가 중인 가계대출도 은행 재원이 아닌 정책대출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규제 시행 전 접수된 주담대 수요가 마무리되는 9월 이후에는 더욱 진정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외곽 지역에서는 풍선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은행권은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 분위기다. 서울 도봉구는 7월 넷째 주 아파트 매매가격이 0.04% 올라 전주(0.02%)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강북구(0.03%)와 마포구(0.11%)는 전주 수준을 보였다. 은행권 관계자는 “외곽지역의 집값 상승세는 정책대출 영향이 클 것“이라며 "아직 가계대출이 안정권에 들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상호금융, 고소득 준조합원 비과세 ‘끝’…“예금 이탈 우려 크지 않아”

정부가 상호금융에 적용하던 예탁금(예·적금)과 출자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차등 축소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일정 소득 이상의 준조합원은 저율 분리과세 대상이 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31일 총급여 5000만원(종합소득금액 3800만원)을 초과하는 상호금융 준조합원에 대해 내년부터 분리과세를 적용하는 내용의 '2025년 세제개편안'을 발표했다. 그동안 농협, 수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신협 등 상호금융은 예탁금과 출자금에 발생하는 이자·배당소득세에 비과세를 적용했다. 통상 이자소득에는 15.4%(이자소득세 14%·지방소득세 1.4%)의 세금이 부과되는데, 출자금은 2000만원, 예탁금은 3000만원까지 지방소득세인 1.4%만 부담하도록 했다. 이는 농어민·서민 지원 목적에서 1976년 도입돼 49년간 유지됐다. 개편안에 따르면 농어민 외 소득이 높은 준조합원 등은 내년부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총급여 5000만원을 초과하는 준조합원은 예탁금과 출자금에 대해 내년부터 5%, 2027년부터 9%의 세율이 붙는다. 반면 농어민 조합원과 총급여 5000만원 이하인 가입자는 2028년까지 기존의 비과세 혜택이 유지된다. 이후 2029년부터는 5%, 2030년부터 9%의 과세가 적용된다. 고소득자부터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며 상호금융 자금이 다른 곳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장 오는 9월부터 예금자보호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되는데, 저축은행 등이 수신금리를 높어 고객 유치에 나서면 높은 금리를 좇아 예금 이탈이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기존 이자·배당소득의 기본세율(14%)과 비교하면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만큼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상호금융 회원 대부분이 농어민과 은퇴 고령층 등 서민층이라 실제 분리과세 적용을 받는 대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상호금융업계 관계자는 “업권 특성상 신용도가 높지 않은 서민과 은퇴한 고령층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어 과세 기준에 해당하는 회원 비중이 많지 않을 것"이라며 “자금 이탈에 대해 크게 우려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NH농협금융, 상반기 순익 1조6287억…전년比 6.6%↓

NH농협금융지주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약 7% 감소했다. 농협금융은 상반기 1조6287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6.6% 줄어든 규모다. 이자이익이 감소한 반면 비이자이익은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시장 금리 하락에 따라 순이자마진(NIM) 하락이 지속되며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4조977억원을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6% 증가한 1조3296억원을 시현했다. 주가지수 상승 등 자본시장 활성화에 기반한 인수자문·위탁중개수수료와 유가증권 운용손익이 늘어나며 비이자이익 상승을 견인했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각각 0.65%, 10.35%를 기록했다. 전년 말 이후 2분기 연속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 불확실성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강화로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가 개선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0%로 전년말 대비 0.08%포인트(p) 낮아졌다. 향후 부실위험에 대비한 대손충당금적립율은 180.8%로 주요 금융지주 중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상반기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33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늘었다.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지난해 말 12.16%에서 올해 6월 말 12.37%(잠정치)로 0.21%p 개선됐다. 계열사별로는 NH농협은행이 1년 전 대비 6.2% 감소한 1조118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NH농협생명(1547억원)과 NH농협손해보험(875억원)은 5.6%, 20.7% 각각 줄었다. NH투자증권은 4650억원으로 10% 늘었다. 상반기 중 농협금융 계열사가 지출한 농업지원사업비는 총 32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늘었다. 취약계층과 소외계층을 위해 136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 지원에도 나섰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견조한 경영실적을 바탕으로 CET1비율 개선 등 안정적 자본비율 유지가 예상된다"며 “농업·농촌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적 책임 경영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BNK금융, ‘반등의 2분기’…일회성 이익에 웃었지만 핵심이익은 숙제

BNK금융그룹이 2분기에 반등에 성공하며 1분기 부진을 만회했다. 다만 이자·수수료 등 핵심 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충당금 감소와 일회성 이익 반영에 따른 영향이 큰 만큼 성장 부담은 숙제로 안게 됐다. BNK금융지주는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4758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한 규모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감소, 1분기에 대거 반영된 대손비용 영향이 컸다. 하지만 2분기만 놓고 보면 순이익은 30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3%나 증가했다. 대손충당금 부담이 줄어든 데다, 일회성 이익이 반영된 결과다. 2분기 BNK금융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62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9%, 전분기 대비 40% 각각 감소했다. 1분기에는 주요 거래처들의 건전성 악화로 경기 부진에 따른 부실이 늘어나 충당금 규모가 컸으나 2분기에는 안정화되고 있다고 BNK금융은 설명했다. 서울 강남의 BNK디지털타워 매각 효과도 반영됐다. 지난달 이 건물 매각을 1009억원에 매각하며 세후 540억원(세전 670억원)의 일회성 이익이 반영됐다. 반면 그룹의 이자·수수료 이익 등 핵심 이익은 오히려 감소했다. 상반기 이자이익은 1조44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수수료 이익은 884억원으로 25.6% 줄었다. 권재중 BNK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진행된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IR)에서 “이자이익은 내부적으로 리프라이싱을 하며 의미 있는 부분도 있다"면서도 “비이자이익은 지난 몇 년 동안 크게 차지했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수수료가 줄어들면서 주춤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 기반 고객 중심으로 비이자이익을 더 적극적으로 하려고 한다"며 “자산관리(WM), 외환파생 관련 부분에서 외부 전문가들을 영입해 정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부동산 PF 관련 대출도 질적 전환을 통해 성장을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상반기 말 기준 PF 대출 잔액은 6조256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8%(3175억원) 줄었다. 김주성 BNK금융 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CRO)는 “반기로 보면 7000억원, 1년으로 보면 1조8000억원 정도 줄었는데, 신규로 한 것까지 포함하면 감소폭은 2배 수준"이라며 “상·매각 외 정상화를 통해 많이 정리되고 있으며, 하반기 고정이하여신은 3분의 1 수준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신규 PF는 보증서나 우량 시공사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점진적으로 질이 좋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BNK금융은 이날 이사회에서 주당 120원의 분기 배당과 하반기 6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다. 상반기에 매입한 자사주(약 396만주)는 전량 소각한다. 타 금융지주사들이 밸류업 계획의 조기 달성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BNK금융은 기존 밸류업 일정대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권 CFO는 “다른 경쟁사들은 자본비율이 올라가며 목표된 부분이 조금 빠르게 달성되고 있는데, BNK금융의 경우 지난해 총 주주환원율이 33%로, 2027년 목표치인 50%와 격차가 있다"며 “올해는 30% 후반대를 예상하고 있으며, 2026~2027년에 걸쳐 10%포인트(p)를 올리려고 한다"고 했다. 이어 “당장 자본비율에는 문제가 없지만, 은행 의존도가 큰 만큼 은행의 자본적정성도 고려해야 한다"며 “조금 빠르게 가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기존 일정대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BNK금융지주, 상반기 순익 3.4%↓…2분기 실적 개선으로 1분기 부진 만회

BNK금융그룹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1분기 대손비용 증가 등에 순이익이 줄었으나, 2분기 순이익이 개선되며 1분기 부진을 만회했다. BNK금융지주는 상반기 순이익이 4758억원으로 1년 전 대비 3.4% 줄었다고 31일 발표했다. 이자이익, 비이자이익 감소와 대손비용 증가 영향이 컸다. 2분기만 놓고 보면 순이익은 30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3% 증가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전분기보다 1092억원(40.2%) 줄었고, 강남 BNK디지털타워 매각 등 일회성 요인에 따라 영업외이익이 늘어나며 순이익이 개선됐다. 상반기 실적을 보면 은행 부문 순이익은 41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다. 부산은행은 2517억원으로 0.1% 늘어난 반면 경남은행은 1585억원으로 22.4% 줄었다. 비은행 부문 순이익은 1088억원으로 1년 전 대비 13.2% 증가했다. BNK투자증권(225억원), BNK저축은행(48억원), BNK자산운용(116억원)이 모두 성장하며 순이익 확대를 견인했다. BNK캐피탈은 696억원으로 9.5% 줄었다. 2분기 기준으로는 은행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1.3% 늘어난 2552억원을 기록했다. 부산은행(1661억원)은 31.6% 늘었고, 경남은행(891억원)은 13.6% 줄었다. 비은행 부문은 745억원으로 80%나 성장했다. 그룹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62%로 전분기 대비 7bp(1bp=0.01%포인트(p)) 개선됐다. 연체율은 1.39%로 전분기 대비 27bp 상승했다. 경기 둔화에 따른 부실 증가가 반영된 것이라고 BNK금융은 설명했다. 그룹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전분기 대비 31bp 상승한 12.56%를 기록했다. 적정이익 실현과 적극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에 나선 결과다. 이날 BNK금융 이사회에서는 주당 120원의 분기 배당과 하반기 6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다. 권재중 BNK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상반기에 매입한 자사주(약 396만주)에 대해 전량 소각을 실시하고 이사회 결의에 따라 분기 배당과 6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하반기에 추가로 실시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개선된 자본비율을 바탕으로 주주환원정책이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