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11만전자·62만닉스’ 흔들렸지만…증권가 “AI 반도체 펀더멘털 견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05 14:23

외국인 2조원 차익실현에도 펀더멘털 이상 무…단기 조정 후 상승세 지속 전망
증권가 “선주문 후생산 구조 최대 수혜는 하이닉스…삼성전자 12만5000원 간다”

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로고. 각사

'62만닉스' '11만전자' 고점을 찍었던 반도체 투톱이 이틀 연속 5% 넘게 밀리며 단기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차익실현이 이어지면서 단기 과열된 투자심리가 빠르게 진정되는 분위기다.


5일 오후 12시 기준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보다 5.97% 내린 55만1000원, 삼성전자는 5.62% 떨어진 9만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에도 각각 5.48%, 5.58% 급락하며 이틀 연속 5%대 낙폭을 기록했다.


조정 흐름은 외국인 매도세가 주도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이틀간 SK하이닉스를 248만6000주(1조4826억원), 삼성전자를 550만5000주(5951억원) 순매도했다. 합산 약 2조원 규모의 물량이 집중적으로 출회된 셈이다.




반면 개인은 SK하이닉스 226만주(1조3515억원), 삼성전자 660만주(7172억원)를 순매수하며 하락분을 받아냈다. 기관은 각각 500억원 안팎의 소폭 매수에 그쳤다. 이틀간 두 종목의 거래대금은 7조원을 돌파하며, 단기 급등 이후 수급 교체가 집중적으로 이뤄진 구간으로 평가된다.


외국인 지분율도 소폭 낮아졌다. SK하이닉스의 외국인 보유 비중은 10월 말 54.9%에서 11월 4일 54.2%로 0.7%포인트 하락했다. 보유주수로는 약 1900만주가 빠졌다. 삼성전자 역시 같은 기간 52.6%에서 52.4%로 0.15%포인트 낮아지며, 약 900만주 규모의 포지션 축소가 확인됐다.


업계 전반에서는 이번 하락을 '숨 고르기' 수준의 일시적 조정으로 보고 있다. AI 반도체의 펀더멘털이 여전히 견조하고, 주요 기업들의 수주·이익 전망이 탄탄하다는 점에서 중장기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는 HBM을 포함한 전 응용처 판매 협의를 이미 마쳤고, 주요 고객사들의 장기공급계약(선주문)이 잇따르고 있다"며 “DRAM·낸드 모두 고도화된 제품 비중이 확대되면서 구조적 업사이클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4000억원으로 시장 기대에 부합했으며, 4분기 12조6000억원, 내년 1분기 14조1000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이라며 “2026년 HBM 공급계약이 대부분 확정된 가운데, M15X와 용인 1기 등 신규 투자 확대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또 “스마트폰·PC 등 B2C 영역을 넘어 AI 데이터센터 중심의 B2B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며, 이번 메모리 사이클은 과거보다 훨씬 긴 호황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SK하이닉스는 '선주문 후생산' 구조 속에서 최대 수혜주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에 대해 “AI 반도체 부문 실적 개선 가시성을 감안할 때 'Buy & Hold(매수 후 보유)' 전략이 유효하다"며 목표주가를 11만원에서 12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HBM4 출하 확대와 파운드리 선단공정 수율 개선이 맞물리며 삼성전자의 체질 개선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AI 서버 수요 증가와 메모리 가격 상승이 내년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