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케이뱅크, 몸값 낮춰 흥행 노릴까…‘마지막 IPO’ 분수령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1 10:24

이르면 이달 상장예비심사 청구…세 번째 도전
FI와 계약 탓 내년 7월 상장 데드라인

증시 활황 속 기업가치 관건…몸값 조정 주목
실적 등 양호…“인뱅 차별점 보여줘야”

케이뱅크.

▲케이뱅크.

최근 증시 활황에 힘입어 케이뱅크의 세 번째 기업공개(IPO) 추진이 탄력을 받고 있다. 내년 7월까지 상장을 마무리 하는 상황에서 사실상 이번이 마지막 기회다.


앞서 케이뱅크는 최대 5조원의 기업가치를 제시했다가 고평가 논란을 겪었던 만큼, 이번에는 몸값을 조정해 흥행 안정성을 확보할지 주목된다.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3월 이사회 결의 후 세 번째 IPO 절차를 밟고 있다. 현재 상장예비심사 청구를 앞두고 있으며, 심사 소요 기간 등을 고려하면 이르면 이달 내 청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상장예비심사 기간은 45영업일 이내로 규정돼 있다. 하지만 자료 보완 등에 따라 2~3개월 이상이 걸리는 경우도 많고, 올해는 추석 연휴도 길어 실제 결과 통지 시점이 달력상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예비심사 이후에도 증권신고서 제출, 수요예측·청약 등 절차가 남아 있어 케이뱅크가 이를 감안해 청구 시기를 조율할 것이란 전망이다.


케이뱅크는 내년 7월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마무리해야 한다. 2021년 유상증자 당시 MBK파트너스, 베인캐피탈 등 재무적투자자(FI)에게 7250억원을 유치하며, 2026년 7월까지 상장을 하지 못하면 FI가 드래그얼롱(동반매각청구권)과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내용의 주주 간 계약을 맺었다.


드래그얼롱은 대주주나 일정 지분 이상을 보유한 주주가 지분을 제3자에게 매각할 때 소수주주인 FI도 동일한 조건으로 지분을 매각할 수 있는 권리다. 케이뱅크가 기한 내 상장을 하지 못할 경우 최대주주인 BC카드가 케이뱅크 지분을 매각하면 FI도 같은 조건으로 지분을 매각해 투자금 회수에 나설 수 있다. 또 FI가 보유 지분을 정해진 가격에 대주주나 회사 측에 되팔 수 있는 풋옵션 권리를 행사하면 BC카드의 부담이 커진다.




앞서 두 번의 IPO가 무산되며 FI와의 약속 기한이 1년이 채 남지 않아 시장에서는 이번이 케이뱅크의 마지막 IPO 시도로 보고 있다. 케이뱅크는 2022년 IPO를 처음 추진하다 증시 침체 등에 상장을 철회했고, 지난해는 수요예측 흥행에 실패하며 상장을 또다시 연기했다.


이번에 주식시장 환경은 달라졌다. 코스피 5000을 내건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주식시장이 반등하고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기대감에 은행주도 관심을 받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19일 3445.24로 새 정부 출범 전인 6월 2일(2698.97) 대비 27.7% 상승했다. KRX은행 지수 또한 같은 기간 989.13에서 1243.52로 25.7% 올랐다. 다만 피어그룹(비교기업군)인 카카오뱅크 주가가 부진하다는 점은 변수다. 카카오뱅크 주가는 지난 19일 2만4050원으로 같은 기간 3.5% 상승에 그쳤는데, 오너 리스크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IPO 흥행 관건은 케이뱅크의 기업가치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IPO 추진 당시 공모 주식 수 8200만주(구주매출 50%), 희망 공모가 9500원~1만2000원을 제시했다. 현재 발행 주식 수가 3억7569만주인 것을 감안하면 IPO 후 시가총액은 4조~5조원 정도다. 하지만 기관 투자자들은 밴드 하단 또는 이하의 금액을 써내며 케이뱅크의 기업가치를 이보다 낮게 평가했다.


FI는 최소 4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요구하고 있어 케이뱅크와 막판 조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희망 공모가를 줄여 몸값을 크게 낮추기 보다는 공모 주식 수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알려졌는데, 이 경우 4조원대의 기업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신주와 구주를 각각 2000만주로 절반 가량 축소하고 희망 공모가를 유지한다고 가정해 단순 계산하면 기업가치는 3조7700억~4조7500억원 수준으로 형성된다. 희망 공모가를 낮추면 시가총액이 크게 감소하지만, 공모 주식 수를 줄이면 시가총액은 소폭 줄면서도 공급 부담을 낮춰 투자 심리를 개선할 수 있다.


실적 면에서는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케이뱅크는 2분기에 68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썼다. 최근에는 가계대출 성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사업자 대출을 강화하고 있고, 스테이블코인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는 등 신사업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10월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와 재계약을 앞두고 있는 점은 부담이지만, 계약 연장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이 나온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올해 주식 시장이 활황을 보이며 IPO 여건이 개선된 것은 긍정적"이라며 “높은 가계대출 의존도 등 한계에서 벗어나 인터넷은행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줘야 IPO 흥행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