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김윤호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김윤호 기자 입니다.
  • 산업부
  • kyh81@ekn.kr

전체기사

삼성전자, 시각장애인용 AI가전 매뉴얼 공개

삼성전자가 15일 '흰지팡이의 날'을 맞아 시각장애인과 저시력자를 위한 인공지능(AI) 가전 매뉴얼 '모두를 위한 사용법'을 공개했다. 흰지팡이의 날은 1980년 세계시각장애인연합회(World Blind Union)가 시각장애인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 제정한 날이다. 삼성전자는 시각장애인이 기존 매뉴얼을 통해 가전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해, 올해 초 삼성전자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C랩 아웃사이드'에 선정된 시각보조앱 개발 스타트업 투아트(TUAT)와 협업해 '모두를 위한 사용법' 매뉴얼을 개발했다. 새로운 매뉴얼은 삼성닷컴과 AI 기반 시각보조앱 '설리번 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매뉴얼은 화면 읽기 기능을 제공하며, 하단에 위치한 재생버튼을 통해 음성으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매뉴얼은 제품 외관과 조작부 위치 등에 대해 눈앞에 그리듯 상세하게 설명하고 음성 제어나 접근성 기능 사용 방법도 자세히 전달한다. 또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스티커 부착 위치도 안내해 접근성을 높였다. 예를 들어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의 먼지필터를 청소해야 하는 경우, 기존 매뉴얼은 해당 부품의 상세한 위치나 조작법이 그림으로 표현됐지만 '모두를 위한 사용법' 매뉴얼은 '세탁기 전면부 상단 오른쪽 모서리에 먼지필터 도어가 있습니다'와 같이 상세한 위치를 안내한다. 또 부품의 외관에 대해서도 '손바닥보다 조금 큰 사이즈의 문이 먼지필터 도어입니다'와 같이 보다 쉽게 제품을 인지할 수 있는 자세한 설명을 담았다. 또 음성인식 Q&A 기능을 탑재하고 목차와 자주 묻는 질문 등을 포함해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규 매뉴얼이 시각장애인의 실사용 환경에 적합한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의 전문 리서치와 삼성화재 안내견 학교, 시각장애인 임직원의 자문을 받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 매뉴얼은 △2024년형과 2025년형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 △인피니트 AI 콤보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원바디 세탁기·건조기 △비스포크 AI 세탁기와 비스포크 AI 건조기 6개 제품에 대해 우선 제공된다. 한국어 버전을 시작으로, 향후 스페인어·영어·프랑스어를 비롯한 20개 언어로 확대될 예정이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삼성 ‘프로젝트 무한’ 출격 초읽기…22일 첫 XR 헤드셋 공개

삼성전자의 첫 고성능 확장현실(XR) 헤드셋이 마침내 베일을 벗는다. 삼성전자는 미디어 관계자 등에 오는 22일 오전 11시(한국시간) '멀티모달 AI의 새로운 시대, 더 넓은 세상이 열린다'라는 주제로 온라인 공개 행사를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행사는 삼성전자 뉴스룸과 삼성닷컴, 삼성전자 유튜브 등 주요 온라인 채널을 통해 중계된다. 이번 행사에서 공개되는 제품은 그동안 '프로젝트 무한'으로 알려진 XR 헤드셋으로, 삼성전자와 구글, 퀄컴이 협력해 만든 고성능 기기다. 삼성전자는 뉴스룸을 통해 “삼성은 언제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것을 가장 먼저 생각하며, 세상을 연결하고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을 개척해 왔다"며 “이제 모바일 AI의 리더로서 AI 네이티브 기기의 새로운 카테고리를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LG전자, 14.6억명 인구 1위 ‘인도 국민기업 비전’ 선포

LG전자가 인도법인을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 상장하면서 세계 1위 인구대국의 '국민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14일(현지시각) 열린 LG전자 인도법인 상장 기념식에는 조주완 LG전자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인장, 송대현 인도법인 이사회 의장 등 주요 경영진과 아쉬쉬 차우한(Ashish Chauhan) NSE CEO, 현지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 등이 참석했다. LG전자는 인도법인 지분 15%(주식 1억181만여주)를 구주매출 형태로 처분했다. 공모가는 희망밴드 상단인 주당 1140루피(약 1만8000원)로 확정됐으며, 청약 경쟁률은 54대 1을 기록했다. 이로써 LG전자 인도법인의 기업가치는 12조원 이상으로 평가됐고, 국내 본사로 유입되는 현금은 약 1조8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LG전자는 이번 상장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조달 자금을 미래 성장 투자에 활용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조주완 CEO는 이날 상장식에서 △Make for India(인도를 위해) △Make in India(인도에서) △Make India Global(인도를 세계로)의 3대 비전을 발표했다. 'Make for India'는 인도 고객의 생활방식과 문화에 맞춘 맞춤형 제품 전략을 강화해 현지 고객중심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구상이다. 'Make in India'는 생산, R&D, 판매, 서비스 등 전 밸류체인을 인도 내에서 완결시키며 인도 경제성장의 동반자가 되겠다는 의미다. 마지막으로 'Make India Global'은 인도를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전략 핵심 거점으로 육성해 신흥시장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겠다는 비전이다. LG전자는 인도 상장과 함께 현지 고객을 위한 '국민가전' 4종(냉장고·세탁기·에어컨·마이크로오븐)을 공개했다. 현지 라이프스타일과 구매력을 반영해 기능·디자인·가격을 새롭게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인도 전통 의상 '사리'를 손상 없이 세탁할 수 있는 AI 세탁기, 수질과 수압에 맞춘 정수기, 모기퇴치 기능 에어컨 등 현지 특화 제품이 대표적이다. 신제품은 11월부터 순차 출시되며, 전량 노이다와 푸네 공장에서 생산된다. LG전자는 인도 내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스리시티 지역에 약 6억달러를 투자해 신공장을 건설 중이다. 신공장은 약 2000개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이며, 완공 후 인도 내 연간 생산량은 냉장고 360만대, 세탁기 375만대, 에어컨 470 대 등으로 확대된다. 또한 벵갈루루 SW연구소를 AI, SoC, 플랫폼 등 차세대 기술 연구 중심지로 육성하고, 노이다 연구소를 통한 제품 현지화 역량도 강화하고 있다. LG전자는 인도법인 상장을 계기로 지역사회 공헌 활동도 확대한다. 인도법인은 글로벌 경영평가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로부터 2년 연속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받았으며, 청소년 기술교육 프로그램 'LG 희망기술학교', 영양식단 지원사업 'Life's Good Nutrition Program', 대국민 헌혈 캠페인 등 다양한 CSR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조주완 CEO는 “인도는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LG전자와 인도법인의 동반 성장을 통해 인도 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반도체 사이클’ 올라탄 삼성전자 ‘슈퍼 어닝’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인공지능(AI) 투자 확산으로 반도체 수요가 폭발하며 주력 사업의 실적이 되살아났고, 폴더블폰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호조도 수익성을 뒷받침했다. 삼성전자는 14일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6조원, 영업이익 12조1000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158.6%, 전년 동기 대비 31.8% 증가했다. 증권가 컨센서스(10조1000억원)를 20% 이상 상회하며, 2022년 2분기 이후 3년여 만에 10조원대 영업이익을 회복했다. 매출 또한 분기 기준 역대 최대다. 이번 실적을 이끈 핵심은 단연 반도체다. 증권가는 반도체 부문(DS)의 영업이익이 최대 7조원에 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AI 투자 확산에 따라 범용 메모리 수요가 급증했고,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도 경쟁사와의 격차를 좁히며 회복세를 탔다. 엔비디아, AMD,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의 주문이 확대된 영향이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도 신규 고객 확보로 가동률이 개선되며, 적자 폭이 2조5000억원대에서 1조원대로 축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민규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DS 부문이 전사 실적 개선을 주도했다"며 “파운드리 가동률 상승과 첨단 공정의 수율 개선이 동시에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모바일경험(MX) 부문도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갤럭시 S25' 시리즈의 글로벌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지난 7월 출시된 '갤럭시 Z 폴드7·플립7'의 수요가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며 영업이익은 3조원대 중반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 디스플레이 부문 역시 폴더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출하 확대에 힘입어 1조원 안팎의 흑자를 거둔 것으로 전망된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Z 폴드 판매가 예상보다 양호해 연말까지 MX와 디스플레이 모두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같은 호실적에 삼성전자 주가는 이날 장중 9만6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시장에선 이번 실적 반등이 일시적 흐름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다. 메모리 슈퍼사이클의 도래와 HBM 경쟁력 강화로 내년까지 호실적이 이어질 거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오픈AI의 700조원 규모 초거대 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삼성의 고성능·저전력 메모리가 공급되며 장기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삼성전자가 HBM3E 12단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던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맺으면서 HBM 출하량 확대도 기대된다. 엔비디아가 최근 삼성 파운드리를 'NV링크 퓨전(NVLink Fusion)' 에코시스템에 포함시킨 것도 호재다. 이는 그래픽처리장치(GPU) 간 고속 통신을 지원하는 엔비디아의 맞춤형 AI 인프라 아키텍처로, 삼성은 향후 맞춤형 중앙처리장치(CPU)·통합처리장치(XPU) 생산을 맡으며 AI 반도체 수요 확대에 대응할 계획이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삼성전자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영업이익 12.1조

삼성전자가 1년여 만에 영업이익 '10조 클럽'에 복귀하며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다. 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으며, 2022년 2분기(14조1000억원) 이후 3년 만의 최대치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전 분기 대비 15.3% 증가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분기 매출이 80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실적 개선을 이끈 주역은 단연 반도체(DS) 부문이다. 사업부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증권가에서는 DS 부문 영업이익이 5조~6조원 수준으로, 전 분기(4000억원) 대비 10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범용 D램 가격 상승과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 증가가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 여기에 2조원이 넘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시스템LSI 사업의 적자 폭이 줄며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 최근 삼성전자는 주요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잇따라 파운드리 수주 계약을 확보하고 있다. 모바일경험(MX)사업부 역시 폴더블 신제품 '갤럭시 Z 폴드7'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신제품 판매 확대와 고급형 모델 중심의 제품 믹스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부문별 세부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통신사, 해킹 충격 ‘실적 먹구름’ AI로 걷어낸다

해킹 사태 여파로 통신업계의 하반기 실적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업계는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통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며 반등을 모색할 방침이다. 1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올 3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8292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434억원) 대비 33% 감소할 전망이다. 통신 3사의 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밑도는 것은 지난해 4분기 이후 처음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전년 대비 소폭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해킹 사고의 직격탄을 맞은 SK텔레콤은 대규모 보상금 지급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 줄어들 전망이다. 지난 4월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 여파로 고객 보상비와 과징금이 3분기 실적에 반영된 영향이다. SK텔레콤은 지난 8월 고객 보상 방안의 일환으로 통신요금 50% 할인 조치를 시행했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부과한 1348억원 규모의 과징금도 비용으로 처리했다. KT와 LG유플러스 역시 최근 불거진 개인정보 유출 의혹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무선 가입자 증가와 부동산 매각 이익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지만, 해킹 이슈가 새 변수로 떠올랐다. KT는 지난달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해킹이 하반기 실적의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 위약금 면제와 고객 보상 방안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영섭 KT 대표는 지난달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서 “피해를 본 2만여명의 고객의 위약금 면제 여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향후 규제기관 과징금 부과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LG유플러스도 해킹 우려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다.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Prack)'은 국제 해킹 조직이 LG유플러스 내부 서버 8938대와 계정 4만2526개, 직원 167명의 정보를 유출했다고 주장했다. 서버 관리 협력업체는 이와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사고를 신고했지만, LG유플러스는 “침해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통 3사는 실적 부진의 충격을 AI 사업 확대를 통해 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조직 개편과 신규 모델 공개, 글로벌 협력이 주요 축이다. SK텔레콤은 최근 유영상 최고경영자(CEO) 주재 타운홀 미팅에서 전사 AI 역량을 결집한 'AI CIC(Company-in-Company)' 출범을 공식 선언했다. AI CIC는 △에이닷(A.) 서비스 △기업 대상 에이닷 비즈(A. Biz) △AI 데이터센터(DC) 사업 등 기능과 조직을 하나로 묶어 효율성을 높인다. 유영상 CEO가 AI CIC 대표를 겸임하며, 세부 조직 개편은 이달 말 시행될 예정이다. 회사는 향후 5년간 약 5조원을 투자해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 유 CEO는 “급변하는 AI 환경 속에서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AI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내부 혁신과 대외 AI 사업 혁신이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업을 통한 AI 경쟁력 강화도 본격화되고 있다. KT는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GPT-4o 기반 한국형 AI 모델 'SOTA K built on GPT-4o(이하 SOTA K)'를 선보였다. KT 관계자는 “SOTA K는 GPT-4o의 성능에 한국어와 문화적 맥락을 정교하게 접목한 협업형 모델로, 국내 AI 생태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오픈AI의 기술을 적용해 고객 상담용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콘택트사업(AICC)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AI 사업 비중 확대가 장기적으로 실적 방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SK텔레콤의 2분기 AI 신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했다. 같은 기간 KT와 LG유플러스의 AI 관련 매출도 각각 13%, 5%가량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AI를 단순 부가 사업이 아닌 핵심 성장축으로 보고 있다"며 “AI 고도화는 중장기 경쟁력 회복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삼성전자서비스, 매장서 제품 점검 ‘바로 서비스’ 시범도입

삼성전자서비스는 삼성스토어 매장에서도 제품 점검 및 상담을 받을 수 있는 '바로 서비스'를 13일부터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바로 서비스'는 △더현대 서울 △갤러리아 광교 △삼성스토어 삼송 △삼성스토어 상도 4곳에서 제공되며, '간단 점검 서비스'와 '하루픽(맡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간단 점검 서비스'는 서비스센터에 방문해야 받을 수 있던 제품 점검을 삼성스토어 매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서비스 엔지니어가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제품의 상태를 전문 프로그램으로 진단해 꼼꼼히 확인해 준다. 디스플레이 필름 부착 등 간단한 증상은 현장에서 바로 조치까지 가능하다. '하루픽 서비스'는 제품을 인근 서비스센터로 이송해 수리를 마친 후 고객에게 돌려주는 서비스다.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소형 가전(청소기, 전자레인지, 프린터 등) 등 운반이 가능한 제품이 대상이며, 이송 및 수리까지 약 1~2일 정도 소요된다.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은 4개 매장 모두에서 하루픽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소형 가전의 경우 삼성스토어 삼송점과 상도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로 서비스' 운영 시간은 매장별 영업시간과 동일하며 자세한 이용 방법은 삼성전자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바로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 후 고객의 서비스 수요를 면밀히 분석해 향후 운영 방향을 추가 검토할 예정이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정신아 카카오 대표, 2년만에 계열사 50개 이상 줄인다

카카오가 그룹 계열사 수를 두 자릿수로 대폭 줄였다. 13일 카카오에 따르면, 정신아 대표는 이날 공개한 주주서한에서 현재 카카오 그룹의 계열사가 99개이며, 올해 연말까지 80여 개 수준으로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23년 9월 CA협의체 사업총괄을 맡은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핵심과제 '거버넌스 효율화'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정 대표가 사업총괄로 취임했을 당시 카카오 계열사는 142개였다. 지난해 3월 대표이사로 선임된 정 대표는 취임 당시 132개였던 계열사 수를 현재 99개까지 줄였다. 사업총괄 기간까지 포함하면 2년 만에 계열사 30%를 감축한 것이다. 카카오는 “이는 인공지능(AI) 시대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과 함께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라고 설명했다. 핵심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재무 체질 개선도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이다. 카카오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859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경기 둔화에도 톡비즈니스의 견고한 성장과 계열사의 이익 개선 등으로 재무적 기반을 탄탄히 다진 결과로 풀이된다. 현재 카카오는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 실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달 말 출시 예정인 오픈AI와 협업제품 '챗지피티 포 카카오(ChatGPT for Kakao)'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의 이용자들이 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AI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온디바이스AI '카나나 인 카카오톡(kanana in KakaoTalk)'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자체 경량 모델 '카나나 나노(Kanana Nano)'를 활용해 스마트폰 안에서만 작동하며,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는 지난 1년 반 동안 그룹 지배구조를 속도감 있게 개편하고 전사적인 비용 효율화를 동시에 진행해 미래 성장에 집중할 수 있는 재무구조를 마련했다"고 자평한 뒤 “올 하반기부터는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또 한 번의 일상 혁신을 본격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LG전자, 3분기 영업익 시장전망치 상회 ‘선방’

LG전자가 올 3분기 대미 관세 부담 본격화 등 비우호적인 대외 환경에도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냈다. LG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68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 공시했다. 이번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 6005억원을 13% 상회했다. 매출은 21조875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1.4% 감소했다. 이는 역대 3분기 중 2번째로 높은 매출액이다. LG전자는 “생활가전이 사업 경쟁력과 시장 지위를 공고히 유지했고, 전장이 역대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한 것으로 전망되는 등 주력 사업과 미래 사업이 고르게 선전해 시장 우려를 상쇄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통상 환경 변화로 인한 관세 부담과 인력 선순환 차원에서 희망자에 한해 진행한 희망퇴직 등 비경상 요인이 전사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LG전자는 △전장, 냉난방공조 등 기업 간 거래(B2B) △가전구독, 웹OS 등 Non-HW △온라인 사업 등으로 대표되는 '질적 성장' 영역에 집중하며 사업의 펀더멘털을 견고히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이달 인도법인 상장을 계기로 대규모 자금 조달을 계획 중인 만큼 사업 체질개선과 미래성장에 더욱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한편 LG전자는 이달 말 연결 기준 순이익을 포함한 3분기 확정 실적과 사업 본부별 경영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삼성 ‘반등 본격화’ vs. LG ‘부진 장기화’…전자 빅2 희비

국내 전자업계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3분기 실적 전망이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1년여 만에 10조원대 영업이익 달성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반면, LG전자는 가전 수요 둔화와 관세·물류비 부담, 중국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 등 악재가 겹치며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1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84조1312억원, 영업이익 10조141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4%, 10.4%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가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한다면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1년 3개월 만의 기록이 된다. 2분기 '바닥'을 찍고 3분기 반등하는 흐름이 예상된다. 앞서 삼성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 4조676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5.23%나 줄어든 수치다. 실적 회복의 주된 요인은 반도체(DS) 부문의 선전이다. 범용 메모리 가격이 상승한 데다, 부진했던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수익 개선이 기대된다. 파운드리 사업 역시 수주 확대에 따라 적자 폭이 줄어들 전망이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의 호실적도 성장세를 뒷받침한다. 3분기 MX 사업부의 영업이익은 3조~3조4000억원으로 예상되며, 전년 동기(2조8200억원) 대비 최대 20%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성과는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 Z폴드7·플립7'의 흥행 효과 덕분이다. 지난 7월 말 출시된 두 제품은 국내 사전판매에서 시리즈 역대 최다인 104만대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도 정식 판매 첫 주 주문량이 전작 대비 25% 이상 늘었으며, 인도 시장에서는 출시 48시간 만에 21만대가 팔리는 등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MX사업부는 올 상반기에도 '갤럭시 S25' 시리즈 흥행을 바탕으로 7조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2021년 말 무선사업부에서 MX사업부로 개편된 이후 상반기 기준 최대 실적이다. 여기에 폴더블폰까지 판매 호조를 이어가면서 삼성전자 실적을 이끄는 '효자 사업부'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갤럭시 Z폴드7 판매량이 예상치를 웃돌아 디스플레이와 MX사업부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며 “연말까지 이익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LG전자는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부진이 예상된다. LG전자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21조2278억원, 영업이익 600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3%, 20.1% 감소한 수치다. 회사는 2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46% 급감한 영업이익을 기록한 바 있다. 부진의 원인으로는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관세 부담, 물류비 상승, 중국 제조사의 저가 공세 등이 꼽힌다. 이 같은 복합 악재는 특히 TV를 담당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솔루션(MS) 사업본부에 직격탄이 됐다. MS사업본부는 2분기 191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이번 분기에도 반등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박상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확대 등으로 MS사업본부는 이번 분기에도 적자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전장(VS) 사업본부는 긍정적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황지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VS사업본부는 수익성 높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수주 잔고의 매출 전환이 이어져 역대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삼성전자는 반도체와 스마트폰을 앞세워 실적 회복세를 본격화하는 반면, LG전자는 TV 부문의 부진을 전장 사업 성장으로 얼마나 만회하느냐가 향후 실적 반전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