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타이어 업계가 덩달아 분주해졌다. 가성비와 내구성이 높은 전기차 전용 타이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타이어 업체들은 전기차 전용 타이어 자체 브랜드를 출범시키고 연달아 신제품을 출시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16일 에너지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타이어 시장의 상황에 대해 "올해 들어서 해상운임과 원재료 가격이 전년 대비 하락 중이기 때문에 수익성은 올라가고 있다"며 "작년까지 적자였던 위기가 극복돼 올 상반기 흑자로 전환되고 있다. 타이어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또 "향후 친환경차 시장은 각국 정부가 각종 규제를 통해 전기차 판매를 유도하고 있으며 제작사들도 앞 다퉈 전기차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고 했다. 전동화 시대로 진입하면서 타이어의 존재가치가 커지고 있는 데 대해선 조용한 전기차의 특성상 소음과 진동 성능에 대한 운전자의 관심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전기차는 워낙 조용하기 때문에,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운전자들이 소음과 진동에 민감하게 된다"며 "노면 소음 및 고속 주행 시 풍절음도 예민하게 와 닿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소음 및 진동 성능이 우수한 타이어를 찾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의 경우 차량 가격 대비 유지 관리비가 매우 적게 사용된다. 더불어 전기차에 필수적으로 장착된 회생제동 장치 덕에 타이어 마모도 생각보다 크지 않아, 필자의 경우 7~8년 정도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타이어 교체 주기도 길어지기 때문에, 성능만 만족스럽게 보장이 된다면, 고가의 타이어 구매에 선뜻 나설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했다.전기차 타이어가 일반 타이어에 비해 까다로운 평가를 받고 있는 데 대해선 고하중에 따른 고강성, 높은 가속력과 이에 따라 요구되는 높은 제동성능, 저소음 및 저진동, 적절한 마모율 등 가장 가혹한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코나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 무게만 500kg 이상이고, 테슬라는 600kg 이상, 타이칸의 경우는 700kg을 넘게 된다. 고성능 전기차 중에서 주행거리 600km 이상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는 배터리 무게만 800kg을 넘어선다. 롤스로이스 전기차의 경우는 총 무게가 3톤에 육박한다"며 "결국 전기차는 배터리 무게 때문에 고질적으로 매우 높은 하중 조건을 갖고 있다. 타이어의 강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이어 "전기차는 높은 토크로 가속력이 좋다. 또한 엔진 및 변속기와 달리 모터로 속도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기 때문에, 높은 변형이 쉴 틈 없이 타이어에 작용되는 조건"이라며 "차량 무게가 높기 때문에, 제동 성능도 향상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워낙 조용하다 보니, 노면의 소음이 그대로 전달된다"고 했다.이 점에서 이 교수는 국내 타이어의 제품력을 높게 평가했다. 국내 타이어 브랜드의 전기차 전용 타이어들이 소음과 진동 측면에서 우수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현재까지 탑티어로 분류되는 미쉐린, 브릿지스톤의 경우 제동 및 그립성능은 국산 타이어에 비해 매우 뛰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소음과 진동면에서는 성능이 뒤지고 있다"며 "결국 소음과 진동에 매우 민감한 전기차 시대에서는 국내 타이어 3사의 성능이 일부는 보다 우수하다고 평가 받고 있기 때문에, 경쟁력이 확보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이 교수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타이어 업체의 장점으로 가성비를 꼽기도 했다. 그는 "현재 미쉐린이나 브릿지스톤 같은 선두그룹대비 중국이나 동남아산의 경우 낮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성능에 대한 신뢰성 저하로 유럽이나 미국 등의 자동차 선진국에서는 선택을 꺼리고 있다"며 "반면 국내 타이어업계의 경우 탑티어 대비 85% 내외의 가격으로 90~95%의 안전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가성비 측면에서 호평 일색"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위해 국내 타이어 브랜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선 "타이어 3사가 스포츠 마케팅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고 이러한 부분은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 "해외 공장 확장 및 신설에 지속적인 투자를 병행해야 한다"며 "자국에서 생산되는 타이어에 대해서는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창출 및 인지도 향상인한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해상 운임료의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영향을 받는 리스크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고 분석했다.국내 타이어 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위해 국회, 정부가 나서야 할 점에 대해선 "어떠한 제품의 경쟁력은 자원, 시장, 기술력 및 규제 이렇게 4가지로 평가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원과 시장 여건은 늘 불리한 상태"라며 "기업체들이 이를 기술력으로 극복해 버티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규제에 대한 선도적인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타이어는 지속적인 R&D가 필요한 부분이다. 정부차원에서는 세제확대, 환경에 대한 과도한 규제 완화 등의 조치를 취해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kji01@ekn.kr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