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코렌텍, 112억 원 규모 전환사채 조기취득 코렌텍은 제9회차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112억 원어치를 만기 전에 취득했다고 27일 공시했다. 해당 전환사채는 2021년 11월 10일 발행된 것으로, 당초 만기일은 2026년 11월 10일이었다. 이번 조기취득은 사채권자와 협의에 따른 조기상환 청구권 행사에 따른 것으로, 취득분은 한국예탁결제원 등록채권에서 말소 처리된다. 취득 자금은 자기자금으로 마련됐으며, 취득 방식은 장외매수였다. 이번 취득으로 코렌텍의 제9회차 전환사채 잔액은 63억5000만원으로 줄었다. 현대홈쇼핑, 200억원 규모 자회사 채무보증 현대홈쇼핑은 27일 자회사 현대엘앤씨의 캐나다 법인(Hyundai L&C Canada Inc.)에 대해 200억800만 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보증 채권자는 신한은행 캐나다지점이며, 보증 기간은 2025년 8월 27일부터 2026년 8월 27일까지다. 이번 보증금액은 현대엘앤씨 자기자본(약 1조6501억원)의 12.1%에 해당하며, 이로써 현대홈쇼핑의 채무보증 총 잔액은 1554억6216만원이 됐다. 동성제약,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항고 기각 동성제약은 서울고등법원이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사건(2025라2637)에 대한 즉시항고를 기각했다고 27일 공시했다. 법원은 “제1심 결정 취소를 구하는 항고는 이유 없다"며 채권자 측 항고를 모두 기각하고, 항고 비용은 채권자가 부담하도록 했다. 이번 판결로 1심 결정이 유지되며, 회사는 이날 해당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에코아이, 24억원 규모 온실가스 감축량 매매 계약 체결 에코아이는 영국 Zero Imprint Limited와 약 24억2944만원 규모의 온실가스 감축량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약 257억원)의 9.43%에 해당한다. 계약 기간은 8월 25일부터 10월 13일까지며, 대금은 감축량 인도일로부터 10영업일 이내에 지급된다. 회사는 이번 계약금액을 미 달러화 174만 달러(환율 1395.6원 적용)에 해당하는 수익으로 인식할 예정이다. 보해양조, 자사주 21만9647주 매입 완료 보해양조는 자기주식 취득 결과를 27일 공시했다. 회사는 이달 18일부터 25일까지 NH투자증권을 통해 보통주 21만9647주를 총 9999만9872원에 매입했다. 이는 당초 예정 금액 1억원 내에서 집행된 것으로, 예정 수량(22만750주)과는 주가 변동에 따라 소폭 차이가 났다. 이번 매입으로 보해양조의 보유 자사주는 기존 4만4537주를 포함해 총 26만4184주가 됐다. 최대주주 창해에탄올의 지분율은 변동이 없다. 코오롱글로벌, 347억원 규모 채무보증 결정 코오롱은 26일 자회사 코오롱글로벌이 더파트너스·더시티 주식회사의 차입금에 대해 347억 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27일 공시했다. 보증 채권자는 프라임마켓 주식회사이며, 보증기간은 8월 26일부터 11월 27일까지다. 이번 보증금액은 지난해 말 연결 기준 자기자본(약 5조9594억원)의 5.82% 수준이다. 이로써 코오롱의 채무보증 총 잔액은 1조8338억원에 달하게 됐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자본법안 와치] 스테이블코인 발의안 4건…자기자본 요건 5억이냐, 50억이냐

지난주 세계 2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의 총괄 사장이 한국을 방문해 한국은행 총재, 4대 금융지주, 가상자산 업계 경영진을 폭넓게 만났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가 시작된 한국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둔 행보로 풀이된다. 국내에선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진척은 더딘 상황으로 신사업 진출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한국을 찾은 서클(Circle)의 히스 타버트 총괄사장은 '국빈급 방한'을 마치고 돌아갔다. 타버트 사장은 이틀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우리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 고위급 임원, 국내 3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 임원진과 만났다. 타버트 사장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가 시작된 한국에서 사업 기회를 살펴보기 위해 방한한 것으로 보인다. 테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서클은 최근 유럽과 일본 등으로 시장을 넓히고 있다. 서클은 유로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EURC를 발행했고, 출시를 앞둔 엔화 스테이블코인 JPYC에도 투자를 단행했다. 서클은 한국 업무를 맡을 인력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입법 논의는 지지부진하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정부안을 낼 금융위원회 조직 개편이 미뤄졌다. 국회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잇따라 발의됐지만 발행·운영 방식을 둘러싼 입장 차이는 여전하다. 27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2대 국회에서 '디지털자산' 관련 법안은 총 네 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덕·안도걸·김현정 의원,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각각 1건씩 대표발의했다. 금융위원회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요건, 담보 관리, 내부통제 체계 등을 포함한 정부안을 오는 10월 공개할 예정이다. 민병덕 의원이 낸 디지털자산기본법은 현재까지 발의된 법안 중 가장 폭넓은 범위에서 투자자 보호와 업계 요구를 담고 있다. 안도걸·김은혜 의원안은 스테이블코인에 특화해 자기자본 요건 등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 상품·유통에 관한 규율을 넣어 금융시장 리스크를 줄이려고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현정 의원안을 보면 발행사는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의 100% 이상을 현금·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보유해야 한다. 해외 발행 스테이블코인을 국내에 유통하려면 금융위에 등록하고 보호 기금을 마련하도록 했다. 법안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요건, 이자 지급 가능성, 관리·감독 주체 등은 다르다. 특히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자기자본금 요건에 관해 민병덕 의원안은 5억원, 김은혜·안도걸·김현정 의원안은 50억원 이상의 자본금을 마련하도록 했다. 자기자본금 요건에 따라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대기업·금융회사 중심으로 재편되거나,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에게 기회가 열릴 수도 있다. 한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논의가 활발한 건 좋은 일이지만 업계에선 어떤 법이 어떻게 제정될지 혼란스러운 것도 현실"이라며 “글로벌 사업자들이 한국을 기회의 시장으로 보고 움직이고 있는데, 국내 제도 논의가 늦어지면 신사업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고 말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서학개미, 8월 ‘헬스케어’로 이동…비트마인 대신 유나이티드헬스 선택

8월 들어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무게중심이 확연히 바뀌었다. 한 달 전만 해도 가상자산 수혜주에 매수세가 몰렸지만 이달 들어서 글로벌 헬스케어 대형주가 '최애 종목'으로 떠올랐다. 반면 오랫동안 '국민주'로 불렸던 테슬라·엔비디아는 상위권에서 자취를 감췄다. 2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유나이티드헬스(UnitedHealth Group) 주식을 약 3억4676만달러(한화 약 4840억원) 순매수하며 1위에 올려놨다. 7월까지만 해도 순매수 1위였던 비트마인(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 은 2위로 밀려났다. 같은 헬스케어 대형주인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와 일라이 릴리(Eli Lilly)도 각각 9위와 12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제약업계를 주도하는 두 기업은 당뇨·비만 치료제 '게임체인저'를 앞세워 시가총액을 단숨에 끌어올리며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이른바 '헬스케어 버블'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지만, 서학개미들은 오히려 장기 성장성을 보고 베팅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제 시장이 급격히 커지면서 관련 기업 주가가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점도 이런 투자 흐름을 뒷받침한다. 반면 오랫동안 '국민주'로 불렸던 빅테크 종목들은 매수세가 눈에 띄게 줄었다. 특히 테슬라는 이번 집계에서 20위권 밖으로 밀려났고, 엔비디아도 18위(약 6674만달러 순매수)에 그쳤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1~2위를 다투던 종목들이 상위권에서 밀려난 것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AI 열풍을 타고 급등했던 엔비디아, 전기차 대표주 테슬라 모두 고점 부담이 커지면서 단기 투자 매력이 약화됐다"며 “상대적으로 새로운 성장 스토리를 가진 헬스케어가 대체재로 떠오른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이동을 두고 '워런 버핏 효과'를 꼽는다.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유나이티드헬스 지분을 500만주 이상 매입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직후 국내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같은 시기 유나이티드헬스 주가도 꾸준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 '버핏이 사는 종목은 믿을 만하다'는 심리가 개인투자자들에게 강하게 작동했다는 분석이다. 관계자는 또 “서학개미들의 투자 패턴은 단순한 쏠림이라기보다 글로벌 트렌드에 발 빠르게 반응하는 과정"이라며 “헬스케어, 가상자산, 빅테크 등 테마 간 무게중심이 빠르게 이동하는 것은 시장을 읽는 또 다른 지표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서학개미들은 2020년 팬데믹 당시에는 테슬라·빅테크에, 이후에는 반도체·AI 테마에, 최근에는 가상자산과 헬스케어로 이동하며 글로벌 자금 흐름을 적극적으로 좇아왔다. 향후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9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후 금리 정책에 따라 다시 테크주로 회귀할지, 아니면 헬스케어 강세가 이어질지가 관전 포인트다. 시장에서는 '헬스케어가 단기 테마로 끝날지, 장기 성장 산업으로 자리잡을지에 따라 개인투자자의 수급도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더블유에스아이, 비만치료제 개발 본격화 소식에 ↑

더블유에스아이 주가가 27일 장초반 강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45분 현재 더블유에스아이는 전 거래일 대비 17.56% 뛴 1781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자회사 인트로바이오파마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유사체 경구용 비만치료제 핵심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비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알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인트로바이오파마는 임상시험수탁(CRO) 자회사 아이비피랩을 통해 비만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혈액 분석법을 확립했으며 현재 동물실험이 막바지 단계에 있다고 전했다. 회사는 빠르면 3분기 내 동물실험을 완료하고 특허출원 등 기술기반을 확보한 뒤 임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원 규모에 달하는 캐나다 잠수함 수주 사업에서 한국 컨소시엄이 최종 후보군에 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 종목들이 들썩이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범한퓨얼셀은 이날 9시 45분 기준 전 거래일보다 24.73% 오른 2만2800원에 거래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주가는 장중 52주 최고치를 새로 쓰기도 했다. 같은 프로젝트에 '원팀'으로 참여한 한화오션(3.15%), HD현대중공업(3.10%) 역시 나란히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범한퓨얼셀은 잠수함 추진체계의 핵심 공급업체로 꼽히며 수혜 기대감이 집중되고 있다. 강경태·남채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STX엔진과 범한퓨얼셀 등 추진체계 관련 업체를 비롯해 주요 방산기업들이 동반 수혜를 볼 것"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실적 전망치에 반영하기는 이르지만, 투자심리는 이미 기대감을 선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한화오션, 캐나다 잠수함 수주 기대에 강세

한화오션 주가가 27일 장 초반 강세다. 최대 6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캐나다 잠수함 사업에서 적격 후보로 선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9시 24분 기준 한화오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06%(3300원) 오른 11만1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한화오션은 “캐나다 잠수함 사업에서 해외 유수의 방산업체들을 제치고 숏리스트(적격후보)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최대 12척의 디젤 배터리 추진 잠수함을 도입하는 사업으로 획득 비용에 유지·보수·정비(MRO)까지 합하면 사업 규모가 최대 60조원으로 추산된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달러 패권 흔들린다…연말 1330원도 가능” 최광혁 LS증권 센터장

LS증권은 올해 하반기 약달러 가능성이 있고 원·달러 환율은 1330원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경기 둔화와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이 맞물리며 달러 하방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26일 최광혁 LS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거래소에서 '하반기 달러 전망과 약달러 가능성'을 주제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올 하반기 원·달러 환율이 1370원에서 연말에는 1330원까지 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추세적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오전 9시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6.3원 오른 1391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오후 5시 13분 기준 1397.5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최 센터장은 달러 약세의 배경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꼽았다. 그는 “연준의 두 가지 목표는 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인데, 최근 고용지표가 둔화하면서 금리 인하 압력이 커지고 있다"며 “9월과 12월 두 차례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달러의 가치가 점진적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율 변동의 또 다른 요인으로는 한국 내수의 불확실성이 지목됐다. 최 센터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내수 성장 기대와 자산가격 상승 기대감에 외국인 매수세가 들어왔지만, 지금은 '정말 내수가 살아나는 게 맞는지' 시장이 의문을 품고 있는 상황"이라며 “환율은 결국 해당국 경제의 투자 매력도를 반영한다. 한국 내수가 실제로 회복하는지가 원화 강세 여부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무역수지 중심의 환율 전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서학개미)와 미국에 투자하는 국내 기업 증가로 달러가 국내에서 빠져나가면서 과거처럼 무역수지와 원·달러 환율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최 센터장은 “이제는 무역수지가 아니라 내수가 환율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라고 짚었다. 글로벌 차원에서도 달러의 지위 변화가 감지된다. 그는 “과거 달러는 불확실성 국면에서 안전자산으로 강세를 보였지만, 지금은 미국이 불확실성의 진원지로 지목되면서 오히려 달러 약세로 이어지는 '달러 프로운(frown)'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달러의 절대적 패권이 흔들리는 조짐"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정책에 따라 단기적인 변동성은 불가피하다. 최 센터장은 “만약 한국이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린다면 환율이 약세로 갈 수 있다"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연준의 결정을 확인한 뒤 대응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끝으로 “한국 경제가 수출주도형이라고 해도 내수가 받쳐 주지 않으면 환율 안정은 어렵다"며 “정부가 확장재정을 통해 성장의 그림을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연말 환율 전망의 핵심은 미국의 금리 인하와 내수 회복 여부라는 점에서, 향후 한국 경제 정책의 성과가 환율 흐름에 직결될 것으로 보인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한국금융지주는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운영자금 등 9000억원을 조달하고자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6일 공시했다. 1주당 액면가액은 5000원이며 신주 1만8000주(보통주)가 발행된다. 신주배정 기준일은 다음달 10일이며 1주당 신주배정주식수는 0.0005116주로 결정했다. 청약예정일은 다음 달 26일이다. 이번 유상증자의 목적은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한 자본확충'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미얀마 A-1/A-3 광구 가스전 3단계 완료…4단계 공사 진행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공시를 통해 미얀마 해상 A-1/A-3 광구 가스전 개발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는 2021년 2월 시작한 3단계 개발(설비 설계 및 제작)을 2024년 12월 완료했으며, 현재 4단계 개발을 진행 중이다. 4단계는 오는 2027년 2분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6일 유럽 소재 제약사와 883억원 규모의 의약품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연결 매출액(약 4조5473억원)의 1.94%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이날부터 2031년 12월 31일까지이며, 계약 금액은 미화 6378만 6500달러를 원화 환산(기준환율 1386.30원)한 금액이다. 회사 측은 계약 상대방을 경영상 비밀 유지 사유로 2031년 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씨에스윈드, 466억원 규모 풍력발전기 구조물 공급 계약 씨에스윈드는 Anna Offshore Wind Energy Co., Ltd와 466억원 규모의 풍력발전기 구조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연결 매출액(약 3조725억원)의 1.5%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이달 25일부터 2026년 12월 12일까지이며, 대금은 인보이스 발행 후 45일 이내 지급 조건이다. 이번 계약은 고객사의 공사진행통보서(NTP) 발급을 조건으로 효력이 확정되며, 최종 발급 기한은 2026년 1월 15일이다. 회사 측은 “계약 기간과 금액은 향후 고객사와 협의 및 공사진행 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