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4일(토)

에너지 환경 issue 전체기사

장마철에 쏟아붓고 이후엔 가뭄…기후대응댐 확보 절실

7월 장마철에 예년보다 훨씬 많은 집중호우가 내렸지만 이후로는 가뭄이 이어지면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녹조 주의보가 확산되고 있다. 홍수를 막고, 가뭄을 해결할 수 있는 기후대응댐 건설이 절실하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12일 물정보포털에 따르면 낙동강 영천댐과 운문댐에 가뭄주의 단계가 발령됐다. 이날 기준 영천댐의 수위는 저수량은 4766만㎥로 총 저수용량 1억300만㎥의 46.2%에 머물렀다. 영천댐 유역에는 지난달 8월 31일 가뭄 '관심' 단계로 진입 후 지난 10일까지 약 8mm의 강우가 내렸다. 영천댐 유역 강수양은 해당 기간 동안 예년 평균인 75mm의 약 11%에 불과하다. 영천댐은 영천시 및 경주시 등의 생활용수와 포항 산업단지의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운문댐의 저수량은 7710만㎥로 총 저수용량 1억6000만㎥의 48.1%에 머물렀다. 두 댐 모두 총 저수용량의 절반 수준만 보유하고 있다. 낙동강 유역에는 댐 가뭄에 이어 녹조(남조류)도 창궐하고 있다. 낙동강 조류 측정 지점인 강정·고령, 칠서, 물금·매리 세 곳 모두에서 지난 5일 기준 조류경보 경계 단계, 해평은 관심 단계가 발령됐다. 경계 단계 조류경보는 1㎖당 남조류가 '1만세포 이상, 100만세포 미만'으로 두 차례 연속 검출되면 발령된다. 관심 단계 조류경보는 남조류가 1㎖당 '1000세포 이상 1만세포 미만'일 때다. 강정·고령의 유해 남조류 세포 수는 지난 5일 기준 3만4172세포, 칠서는 4만3619세포, 물금·매리는 13만5900세포이다. 해평의 유해 남조류 세포 수는 지난 2일 기준 3만7950세포로 다음 조사에서 1만 세포 이상 검출되면 해평에서도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될 수 있다. 이처럼 가뭄과 녹조가 나타난 이유는 강수량이 장마철에 몰리고, 이후로는 가뭄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녹조는 수온 상승과 오염물질 유입으로 식물성플랑크톤이 과다 증식하면 발생하는 현상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여름철(6~8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602.7mm로 평년(727.3mm)보다 적었다. 하지만 올해 전체 여름철 강수량 중 78.8%(474.8mm)가 장마철에 몰렸다. 이는 1973년 이래 가장 큰 비율이다. 장마철 이후에는 평년보다 비가 적게 내렸다. 지난 8월에는 총 87.3mm의 비가 내렸는데 이는 역대 51위 수준의 적은 강수량이었다. 추석 연휴에도 날이 시원해지길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3~14일에도 기온이 30도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15~16일에도 티베트고기압이 재차 세력을 확장해 기온이 계속 높게 유지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집중호우 및 가뭄에 대비해 물그릇 역할을 하는 기후대응댐을 전국에 14개 건설할 계획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지난 11일 간담회에서 “시간당 100㎜ 폭우가 올해 9번 내렸는데 이는 과거 10년 평균의 1.4배이고, 올해 장마철 강수량은 지난해의 두 배에 달한다. 하지만 현재 환경부 관리 댐 중 세군데가 가뭄 관심과 주의 단계에 들어갔다"며 “예전하고는 확실히 다른 기후변화로 인해 정부가 해야 할 일이 늘었고 그 중 하나가 물그릇 키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원희 기자 wonhee4544@ekn.kr

‘신규 원전 5GW’ 11차 전기본 초안 완성…국회 보고 앞두고 ‘긴장’

정부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초안을 완성하고 공청회 및 국회 보고를 앞두고 있다. 초안은 실무안에 비해 발전원 비중이나 최대전력수요 전망 등 바뀐 것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재생에너지 비중 강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국감까지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벌써부터 긴장감이 돌고 있다. 12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차일피일 미루던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공청회를 이달 중에 개최할 예정이다. 에너지경제가 입수한 11차 전기본 정부안(9월 기준)에 따르면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에서 전략환경평가와 기후변화환경영향평가 협의를 마치고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 관계부처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정부안에 따르면 이달 중에는 공청회가 열릴 예정이다. 산업부는 공청회 이후 10월 국정감사 전에 국회보고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연내 전력정책심의위원회에서 최종안을 심의·확정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국감 등 국회 일정 등을 감안하면 빨라도 11월은 돼야 최종안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전기본은 2년 마다 수립하는 계획이다. 지난 10차 계획이 지난해 초에 발표된 만큼 올해 말까지만 수립하면 된다"면서도 “다만 정부의 국정과제도 있는 만큼 최대한 빨리 수립하려고 했던 것이다. 급하게 하는 것보다 올바른 계획을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초안은 지난 5월 발표된 실무안과 발전원별 발전량 비중 등 대동소이한 것으로 확인됐다. 11차 전기본은 2038년까지의 국가 발전설비계획을 담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38년까지 무탄소 전원인 원자력과 재생에너지가 전체 발전원 비중의 70% 이상을 차지하게 됐다. 2038년 전원별 발전비중은 실무안과 동일하게 △원전 35.6% △석탄 10.3% △LNG 11.1% △신재생에너지 32.9% △수소·암모니아 5.5% 등이다. 2038년 발전비중은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를 주축으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를 온실가스 감축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2038년 원전은 소형모듈원전(SMR) 1기와 대형 원전 3기 등 5기가와트(GW)에 육박하는 신규 원전이 진입하면서 발전원 가운데 가장 높은 35.6%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도 풍력·태양광을 중심으로 꾸준히 늘어나 2038년 발전비중이 32.9%까지 올라갈 것으로 분석됐다. 최대전력수요 전망도 변동이 없다. 2038년 우리나라 최대 전력수요는 129.3GW로 전망됐다. 경제성장률·기후변화·인구 전망을 기반으로 한 모형수요 전망치에 추가수요를 합산한 후 에너지 절약분을 차감해 산출됐다. 정부가 수립하는 전기본은 국회 상임위에 보고만 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국회 여소야대 상황과 10월 국감까지 앞두고 있어 정부로서는 야당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과 기후환경단체들은 초안 공개 이후부터 향후 10년이 기후대응을 위한 골든타임임에도 재생에너지 확대가 아닌 SMR 등 불확실한 기술에 너무 의존하고 있다며 비중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공청회와 국회보고, 국정감사를 거치면서 최종안 내용이 수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등 중요한 국가적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만큼 계획 수립 후 국회의 검토를 거쳐 계획을 추가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며 “야당 협조를 구하지 못하면 수립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지난 9차 전기본도 원래 일정보다 1년이 연장된 바 있다"고 말했다. 전지성 기자 jjs@ekn.kr

에너지 수입의존도 94%…“수입길 막히면 한국은 석기시대”

우리나라에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대폭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여전히 9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석유와 가스는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전쟁이나 재해, 공급망 갈등으로 수입길이 막힐 경우 심각한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11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8월 에너지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1~5월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93.8%로 나타났다. 작년 동기간의 94%보다 아주 소폭 개선됐지만 여전히 매우 높은 상황이다.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통계가 시작된 1990년 이후로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1990년 수입의존도는 88.7% 였으나, 이후 2001년 98%까지 오른 후 2010년 97.5%, 2020년 95%, 2023년 93.9%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그만큼 국내 생산이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차에너지 공급량은 1990년 8968만TOE(석유열량환산톤)에서 2000년 1억8307만8000TOE, 2010년 2억5440만TOE, 2020년 2억8551만2000TOE, 2022년 3억395만4000TOE, 2023년 2억9740만7000TOE(잠정)로 거의 계속 증가했다. 2023년 기준 일차에너지 공급의 구성을 보면 석유 1억1103만7000TOE(비중 37.3%), 석탄 7351만6000TOE(24.7%), 가스 5664만3000TOE(19%), 원자력 3844만2000TOE(12.9%), 바이오 및 폐기물 894만3000TOE(3%), 지열·태양 및 기타 796만TOE(2.7%), 수력 79만2000TOE(0.3%), 열 7만3000TOE로 돼 있다. 이에 비해 국내 에너지 생산량은 1990년 2256만TOE, 2000년 3125만5000TOE, 2010년 3809만7000TOE, 2020년 4832만5000TOE, 2022년 5462만1000TOE, 2023년 5651만4000TOE(잠정)로 계속 증가하긴 했으나 공급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수입의존도를 거의 줄이지 못했다. 특히 석유와 가스는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석유공사가 울산 앞바다에서 동해-1 가스전 개발에 성공하면서 2004년부터 가스와 석유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가스 생산량은 2004년 21만3000TOE에서 2010년 53만9000TOE까지 증가하다 이후로 점차 감소해 2020년 18만5000TOE, 2021년 5만5000TOE를 생산하고 이후부터는 매장량 고갈로 생산이 종료됐다. 석유 생산량은 2005년 5만6000TOE, 2010년 5만6000TOE, 2020년 1만5000TOE, 2021년 5000TOE, 2022년 3000TOE를 생산하고 이후 종료됐다. 석탄 생산량도 1990년 774만8000TOE에서 2000년 186만8000TOE, 2010년 96만9000TOE, 2020년 48만2000TOE, 2023년 30만5000TOE(잠정)로 급감했으며, 내년에 공공 탄광은 모두 문을 닫을 예정이다. 다만 원자력은 1990년 1322만2000TOE, 2000년 2724만1000TOE, 2010년 3194만8000TOE, 2020년 3411만9000TOE, 2023년 3844만2000TOE로 계속 증가했다. 바이오 및 폐기물도 1990년 6000TOE에서 2023년 894만2000TOE로, 같은 기간 지열·태양 및 기타는 3만3000TOE에서 796만TOE로 대폭 증가했다. 자원업계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여전히 석유와 가스 사용량이 많은 데 반해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만약 전쟁이나 공급망 갈등으로 수입길이 막히면 석기시대가 연상될 정도로 엄청난 에너지 빈곤을 겪을 수 있다"며 “동해 울릉분지 가스전 등 신규 유가스전 개발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원전, 바이오에너지 등 에너지 자급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위치한 동해 울릉분지 가스전은 탐사자원량 35억~145억배럴로 추정되며, 연말부터 첫 시추가 이뤄질 예정이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이슈+] 가을철 태양광 발전량 급증…타발전원은 ‘죽을 맛’

전력 수요가 감소하는 가을철에 태양광 발전량이 급증하고 있어 전력시장 운영의 불안정성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송전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태양광 발전량 증감에 대비하기 위해 타 발전원의 출력제어, 가동대기 등 전력계통운영 측면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10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30분 기준 태양광 발전량은 5836메가와트(MW)로, 전체 발전량 7만9978MW의 7.3%를 기록했다. 특히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2374MW까지 합하면 전체 발전량의 10.3%까지 높아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경부하기 발전과잉에 따른 수급불균형에 대비하기 위해 오는 14일부터 11월 3일까지 총 51일간 가을철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실시한다. 전력당국은 계통 불안정이 정전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2023년 봄부터 경부하기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운영 중이며, 이번이 네 번째이다. 산업부가 제시한 경부하기 대책 주요내용은 발전량 감축, 수요량 증대, 국지적 계통 안정화 등 선제적 안정화 조치다. 발전량 감축 방안으로는 △주요 발전기 정비 일정 조정 △석탄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이다. 또한 수요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요자원(DR) 활용 △태양광 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 충전시간 조정 등을 추진한다. 이 조치에 따라 이미 일부 지역의 석탄화력발전소들은 한여름에도 가동률이 15%대에 그치는 등 송전제약으로 인한 피해가 막심한 가운데 가을철에도 손실이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전력당국은 일부 석탄화력발전소들에 가을철 최대 가동률을 10%대 이하로 제한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의 가동률이 최소 60%는 돼야 건설비 등 고정비와 연료비를 회수할 수 있다. 절반인 30%로 가동률이 제한되면 수익악화를 넘어 부도의 위험에 처할 수밖에 없어 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올해 강릉에코파워 3000억원, GS동해전력이 500억원, 포스코 삼척블루파워도 시운전을 마치고 나면 연간 2600억원 정도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전력도매시장에서 전기를 구매하는 한전은 낮시간에 태양광 발전량이 늘어나면 해당시간에 더 저렴한 발전원에서 생산된 전기를 살 수 없어 재무악화도 불가피하다.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의 전제는 수요와 공급의 일치인 만큼, 전력당국은 그간 여름·겨울철 증가하는 전력수요 대비 발전량이 부족한 '공급부족'을 대응해왔다. 그러나 최근 태양광과 풍력 등 변동성·경직성 전원 증가, 태양광 발전원의 지역 편중 등 계통여건 변화에 따라 봄·가을철 '공급과잉'이 계통 안정성을 위협하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봄·가을철은 냉난방 수요가 크지 않아 많은 발전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부하기이나, 현재 약 31GW에 달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이용률은 이 시기에 높아지므로, 주말을 중심으로 낮시간대 발전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전국적인 수급불균형 상황이 최근 나타나고 있다. 또한 태양광이 밀집된 일부 지역에서는 발전량이 송전선로 수용용량을 초과하는 국지적 계통 불안정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전은 전기사업법 31조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사업자의 전기를 우선 구매할 수 있다'를 근거로 같은 시간대에 생산된 전기 중 재생에너지 전기를 우선 구매하고 있다 한 발전업계 관계자는 “한전이 강제조항이 아님에도 비싼 태양광을 먼저 사는 건 말이 안 된다. 태양광 발전은 연료비용은 0원인데 해당시간 변동비가 가장 비싼 발전원의 가격으로 정산해주는 계통한계가격(SMP)으로 정산받고 거기에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에도 가중치를 적용받고 있다"며 “지금은 고비용 구조를 낮추는 것이 우선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태양광은 계통 불안정성 확대, 흐리거나 비가 올 경우 태양광 발전이 급격이 줄어드는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타 발전원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도 있다. 태양광 발전이 급증한 여파는 원전과 석탄화력발전 등의 감발 운전으로 이어졌다. 전기는 부족해도 문제이지만,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도 송배전망에 문제를 일으켜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이 일어날 수 있다. 결국 태양광 발전이 급증하며 전기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자 원전과 석탄화력발전의 출력을 낮춰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전과 석탄화력발전은 발전기를 켰다가 끄는 시간이 오래 걸려 지금처럼 수요가 많을 때는 상시 운전을 하고 있어야 한다. 출력을 낮춘다고 해도 태양광 발전이 급증하면 해당 시간에 생산한 전기를 버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일몰 후 저녁시간에 급격하게 태양광 발전량이 줄어들 때 열대야 등으로 냉방수요가 늘면 상대적으로 빠르게 발전기를 가동할 수 있는 LNG 발전의 필요성도 커진다. 간헐성이 큰 재생에너지 설비가 늘어날수록 역설적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LNG 발전이 늘어야 하는 상황이다. 태양광 발전은 효율도 최대 25% 안팎에 불과해 80%를 웃도는 다른 발전원들에 비해 절대적인 설비용량도 더 많이 필요하다. 현재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은 전력시장 내 9.1GW, 전력시장 외 21.5GW로 총 30.6GW에 달한다. 원전 30기에 해당한다. 산업부 측은 “새만금, 서남해, 신안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연계, 재생에너지 예측 기반의 선제적 계통보강 추진 등 재생에너지 등의 발전기 연계를 위해 적기에 계통을 보강할 것"이라며 “전력계통 신뢰도 준수 및 발전제약 완화를 위한 ESS(1.4GW) 설치, 고장전류, 전압 불안정 해소를 위한 계통안정화 설비 확대·적용 등 전력계통 불확실성 대응을 위해 계통을 안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지성 기자 jjs@ekn.kr

RE100 늘어나면 전기요금 인상 부담 줄어든다

일반 기업들이 RE100(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늘릴수록 대규모 발전사들의 재생에너지 확보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대규모 발전사들의 재생에너지 확보 비용은 전기요금에 청구되는 만큼 전기요금 인상을 일부 억제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재생에너지 전력을 소화할 계통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기업들과 대규모 발전사들의 재생에너지 확보 경쟁을 완화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RE100 물량을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총 의무량에서 경감토록 해주는 내용을 담은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및 연료 혼합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 개정안'이 행정예고됐다. 산업부는 오는 23일까지 의견을 받는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RPS 의무발전사들의 의무공급량을 계산할 때 일부 RE100 물량을 빼서 계산한다는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RPS 의무발전사들에 의무공급량을 배분하기 전에 RPS랑 관련 없는 전력구매계약(PPA) 물량과 RPS에서 쓰이지 않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물량을 빼주겠다는 것"이라며 “RE100 수단 중 녹색프리미엄은 RPS랑 연관돼 있어 녹색프리미엄 물량을 빼주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설비용량 500메가와트(MW) 이상 발전설비를 보유한 총 27개 화력, 원자력 발전사업자를 RPS 의무발전사로 정하고 일정 규모 이상 신재생애너지 발전량을 확보하도록 해마다 의무공급량을 배정해준다. 올해 RPS 의무비율은 13.5%로 27개 RPS 의무발전사들은 생산한 발전량의 13.5%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으로 채워야 한다. 그 결과 올해 27개 RPS 의무발전사들이 확보해야 할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6381만9293메가와트시(MWh)로 정해졌다. 이번 개정안이 그대로 시행되면 내년부터 RPS 의무비율이 RE100 물량에 따라 경감된다. 일반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PPA 계약을 맺어 재생에너지 물량을 확보하거나 REC를 구매하면 그 물량만큼 내년도 RPS 의무비율이 조정된다. RPS 의무발전사들이 재생에너지 전력을 확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전기요금 중 기후환경요금으로 청구돼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되고 있다. RPS 의무공급량이 줄어들면 기후환경요금 인상 부담을 줄이게 되므로 전기요금 인상 부담이 줄어든다. 2023년 한전의 RPS 의무이행비용정산금은 2조9408억원었다. 다만, 아직 기업들 RE100 실적이 많지 않은 만큼 당장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너지공단 재생에너지 사용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기업들이 RE100용으로 구매한 REC 물량은 총 4만4344REC다. 1REC는 1MWh만큼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했다는 인증서다. 또한,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월 직접 PPA를 통한 전력공급량은 3135MWh다. 올해 RE100 물량이 많아도 10만MWh 수준인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기업들이 RE100을 확대할 계획인 만큼 RPS 부담 경감 효과는 점점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지난 5월 RPS를 정부 주도 입찰인 재생에너지 경매제도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하며 RE100 물량만큼 경매제도 입찰물량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재생에너지 경매제도 도입 시기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RPS에 RE100 물량을 줄이는 조치를 취한 셈이다. RE100 물량이 계속 늘어날수록 RPS와의 겹치는 게 불가피하다. 산업부 관계자는 “RE100과 RPS 시장이 경합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게 기본적인 개념"이라고 이번 개정안에 대해 설명했다. 이원희 기자 wonhee4544@ekn.kr

성에 안차는 ‘전기차 화재 대책’…“셀단위 인증 빠지고, 불필요한 부분 많아”

지난달 연이은 전기차 화재 사고에 정부가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배터리 인증 강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고도화, 스마트제어충전기(PLC) 보급 확대 등을 통해 소비자의 부담과 불안을 줄이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지난달 1일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사고 이후 1달이 지난 시점에서 나온 대책치고는 대체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들 역시 “셀단위 인증이 빠진 점이나 스마트제어충전 등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많다"고 지적한다. 배터리 인증과 BMS 고도화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부족하고, 반면 불필요한 내용도 포함됐다는 주장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지난 6일 개최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대책은 크게 화재예방과 진압 두 가지 갈래로 나뉜다. 화재 예방을 위한 방안은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조기 실시 △전기차 제작사와 충전사업자의 책임보험 가입 확대 △BMS 기능 고도화 △스마트제어충전기 보급 확대 등이다. 이어 화재 진압 대책은 △습식 스프링클러 설치 △화재감지기 설치기준 강화 △전기차 화재 진압장비 확대 보급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라인 등이다. 대책을 통해 기존보다 배터리 관리 기준 등이 강화됐지만, 일부 전문가와 소비자들 사이에선 '아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대책의 기준이 애매하고 실속이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업계 전문가는 '배터리 셀단위 인증 부재'를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이번 대책으로 배터리 인증 기준이 셀 전압, 온도·충전·열화 상태, 누적 충·방전 등으로 확대되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며 “안전한 배터리 관리를 위해선 셀단위 인증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배터리 셀은 전기차 화재의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기준이 필요하다"며 “현행 자동차관리법으로는 배터리 회사 조사도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BMS 고도화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점도 꼬집었다. 이호근 교수는 “BMS는 배터리 화재를 예방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장치인데 이번 대책엔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다"며 “화재발생 최소 몇 분 전에는 예고하게 하는 등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이 교수는 “스마트제어충전기 보급과 충전사업자 책임 보험 가입 확대는 불필요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호근 교수는 “기존 완속충전기는 충전율을 다소 낮추는 등 보완정책으로 충분하고 책임보험은 이미 대부분 가입돼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업계에선 '과충전은 전기차 화재의 결정적 원인이 아니다'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전기차용 배터리는 100% 충전해도 충분한 안전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설계됐다.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100%라는 충전량은 실제로 어느 정도의 여유용량을 제외한 수치라는 설명이다. 그런데 정부는 여전히 과충전을 전기차 화재의 원인으로 바라보고 스마트제어충전기 보급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미 보급된 완속충전기도 순차적으로 스마트제어충전기로 교체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많은 소비자들이 불만을 표출했다. 스마트제어충전기 보급엔 수많은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자동차 커뮤니티의 한 네티즌은 “모든 전기차 관련 업계에서 과충전 안전마진을 두고 배터리를 설계했다는데 굳이 국민 혈세를 의미 없는 곳에 써야하냐"며 “차라리 그 돈을 전고체 배터리 개발 지원에 투입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네티즌은 “충전기를 교체할 것이 아니라 BMS 등 배터리 품질을 더 세밀하게 봐야하는 것 아니냐"며 “BMS가 문제가 있으면 충전기도 제대로 된 충전값을 전달 못받는데, 스마트제어충전기를 확대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고 말했다. 이에 정부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배터리 화재위험을 낮추기 위해 분리막 안정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 개발과 배터리팩 소화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전고체 배터리 기술개발도 지속할 것"이라며 “추가로 개선과제는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기상시장 1조 돌파…쑥쑥 성장하는 ‘기후테크’ 산업

전 지구적으로 기후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이를 막는 기후테크 시장도 쑥쑥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산업으로는 재생에너지 및 그와 연계한 에너지저장장치(ESS)가 꼽히며,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날씨를 예측하는 기상, 폐기물을 처리하는 자원순환 산업도 유망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6일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량은 3만1985메가와트(MW)로 전체 발전설비 14만9408MW의 21.4%까지 늘어났다. 이는 1000MW 규모의 원전 32기에 달하는 규모다. 정부가 지난 5월 발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 따르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총 11만9500MW까지 늘어난다. 지금보다 3.7배나 늘어나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가 재생에너지에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지만 실제 보급 목표는 지금보다 꽤나 가파르게 늘어난다. 우리나라도 가입해 있는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전 세계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설치량을 현재 목표보다 3배 이상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생에너지는 기후테크에서 가장 큰 산업으로 꼽힌다. 기후테크는 기후도 막으면서 수익도 창출하는 분야를 말한다. 정부가 정의한 기후테크는 5대 분야는 △재생에너지 및 분산화 솔루션 등 클린테크 △공기 중 탄소포집·저장 및 탄소 감축기술을 개발하는 카본테크 △자원순환, 저탄소원료 및 친환경제품 개발에 초점을 둔 에코테크 △식품 생산·소비 및 작물재배 과정 중 탄소 감축을 추진하는 푸드테크 △탄소관측· 모니터링 및 기상정보 활용해 사업화하는 지오테크 등이다.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쓰고 남은 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BESS) 시장 규모도 대폭 확대되고 있다. 11차 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해 오는 2038년까지 총 용량 2만1500MW의 장주기 ESS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10차 전기본에서는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구성을 위해서 최대 약 45조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봤다. 수송부문 탄소 감축의 핵심인 전기차 산업도 이미 해마다 성장하고 있다. 최근 잇따른 전기차 화재 사고 등으로 보급에 적신호가 켜졌지만, 정부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전기차 보급이 필수라고 보고 보급을 더욱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짜고 있다. 정부는 지난 6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을 확정하고 이를 발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까지 보급된 전기차 누적 대수는 55만2500대이며, 이를 2030년까지 420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탄소를 땅 속에 저장하는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기술을 활용한 산업도 성장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2030년 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2030년까지 온실가스 총 1120만톤을 감축할 계획이다. 이는 2018년대비 2030년에 줄이는 온실가스 감축량 2억9100만톤의 약 4%에 달하는 양이다. 기후변화로 극한 기상현상이 빈발해지면서 기상을 활용한 산업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 4~6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올해부터 기상산업 최신 기술을 전시하는 기상기후산업대전과 함께 개최됐다. 기상산업이 해마다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국제박람회까지 열리는 계기가 됐다. 기상산업기술원의 '기상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상산업 총 매출액은 지난 2019년 5022억원에서 2022년 9785억원까지 성장했으며, 지난해에는 1조원을 넘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을 순환하는 재활용 산업은 최근 10년간 대폭 성장했다. 한국환경공단 '폐기물 재활용실적 및 업체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재활용제품 판매액은 6조원에서 지난 2022년 20조6000억원으로 세 배 이상 성장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80배나 높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는 메탄 배출을 줄이는 분야를 친환경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후솔루션은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기후위기 해법을 제안하다, 국내외 메탄 감축을 위한 협력 강화' 세미나에서 우리나라가 석유, 가스 등 수입과정에서 2022년에만 배출한 매탄 배출량이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4959만톤에 달한다고 밝혔다. 국내 메탄 배출량은 약 2700만톤으로 추산된다. 윤세종 플랜 1.5 변호사는 “궁극적으로 메탄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에너지전환이 핵심"이라며 “에너지 전환은 긴시간이 걸리지만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게 있다. 신규주택을 건설할 때 반드시 가스가 들어가야 했는데 지금은 전기로 하도록 인프라를 새롭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원희 기자 wonhee4544@ekn.kr

한수원, 美 SMR 개발사 ‘테라파워’에 수백억원 투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사인 테라파워에 약 4000만달러(약 534억원)를 투자한다. 투자가 확정되면 국내 에너지 공기업이 SMR 개발사에 투자하는 첫 사례가 된다. 6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최근 이사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국 4세대 원전 SMR 개발사 지분 인수 계획안'을 조건부 의결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수원이 테라파워에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사회 최종 의결 등 투자 확정을 앞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테라파워는 지난 2006년 빌 게이츠가 설립한 기업으로, 차세대 SMR 상용화 기술 중 하나인 소듐냉각고속로(SFR) 노형을 개발하는 대표 개발사다. 지난 6월에는 미국 와이오밍주 케머러에서 SMR '나트륨'을 포함한 전력 생산 장비 등 제반 공사에 착수하는 등 SMR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그룹은 지난해 8월 테라파워에 3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는데, 이 당시부터 한수원도 지분 참여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은 SK그룹이 테라파워 투자를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의 지분 약 16%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가액도 SK 측이 테라파워에 투자를 집행할 당시와 같은 수준으로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인수는 한수원이 한국원자력연구원과 공동 개발 중인 3세대 혁신형 SMR(i-SMR)에 이어 4세대 SMR 포트폴리오를 확보한다는 의미도 있다. 한수원은 이르면 이달 중 SK 측과 주식 양수도 계약을 체결하고 연내 투자를 집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지성 기자 jjs@ekn.kr

빅테크社·에너지전문가 “SMR 반드시 필요…에너지안보, 기후대응 충족”

최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물론 국제에너지기구(IEA)등 국내외 전문기관과 전문가들이 일제히 소형모듈원전(SMR)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AI(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등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면서도 탄소배출 저감,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안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게 배경이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지난 3일 '한·IEA 공동선언문' 발표 기자회견에서 “연중무휴로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원전은 에너지안보와 기후변화 저지를 위해 중요한 에너지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원은 기상 조건에 크게 좌우되고 이런 지리적 조건 때문에 부국과 빈국이 존재한다"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원전 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공동선언에서 IEA는 한국이 주창한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에 대한 지지를 공식 표명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지난해 9월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국제사회에 제안한 것으로, 유엔이 제시한 2050년 넷제로(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 달성의 조기 이행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모든 무탄소에너지를 폭넓게 활용하자는 개념이다. 재생에너지만 인정하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운동과 달리 원자력발전과 청정수소 등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CFE를 발판으로 2030~2040년까지 탄소배출 넷제로(Net-zero)달성을 선언했다. MS는 SMR 건설을 지원하는 리더가 되기 위해 원자력에너지 전문가들을 고용하고 SMR 사업자들와 전력구매계약(PPA)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회장 겸 CEO인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는 “회사는 글로벌 SMR 및 마이크로원자로 에너지 전략을 성숙시키고 구현할 원자력기술 수석 프로그램 관리자를 찾고 있다"고 발표했다. 발표 직후 MS는 전 테네시강유역개발공사(TVA) 고위 원자력 에너지 전문가인 에린 헨더슨 박사(Erin Henderson, Director of Nuclear Development Acceleration)와 토드 노에(Todd Noe, Director of Nuclear & Energy Innovations)를 고용해 SMR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 포브스지에 따르면 AI, 데이터센터는 세계 에너지수요의 1~2%를 차지하며 향후 10년간 3~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버트 에클스(Robert G. Eccles) 하버드비즈니스스쿨 교수는 “SMR은 AI 개발에 집중하는 기술 커뮤니티에서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AI는 만족할 줄 모르는 에너지 괴물"이라며 “MS가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해 첫 SMR 계약을 하게 되면 기후변화 문제와 미국 에너지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장의 르네상스를 촉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유일 대형,소형 원자로 제작 업체 두산에너빌리티는 “SMR 생산 위해 전용 공장 설립, NuScale SMR 건설을 추진 중인 루마니아 클라우스 요하니스 대통령이 이 SMR 전용 공장을 방문해 제작 역량을 확인했다. SMR 제작에 필요한 첨단 제조 기술 개발과 제작 설비를 확충하는 등 SMR 시대의 도래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롤 총장도 “한국이 국내에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다면 왜 자국에서 하지 않는 것을 수출하려 하느냐는 질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에너지 정책을 원전 중심으로 수정한 것이 원전 수출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전지성 기자 jjs@ekn.kr

‘바닥이 없다’…국제유가 연최저가 추락, “더 떨어진다”

국제유가가 올해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중동 산유국들이 증산 계획을 늦출 것이란 소식에도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가 더 크게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선물가격은 전장대비 1.62% 하락한 배럴당 69.2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연중 최저 수준으로, WTI 가격은 지난해 12월 13일 이후 처음으로 70달러선이 붕괴됐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11월 선물가격 역시 전 거래일 대비 1.42% 하락한 배럴당 72.70달러를 기록, 올해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는 다음 달부터 예정된 증산 계획을 중단하는 합의에 근접했다. 당초 OPEC+는 내달부터 하루 18만 배럴을 증산할 계획이었다. 유가가 최근 크게 하락하자 시장 대응에 나설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OPEC+측은 필요할 경우 증산을 중단하거나 되돌릴 수 있다고 반복해서 강조해왔다. 하지만 원유시장은 전날에 이어 미국 경제지표 부진 파장에 휩싸였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지난 7월 구인(job openings) 건수는 767만3000건으로 전달에 비해 23만7000건 줄면서 2021년 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809만건)를 크게 밑돈 수치이기도 하다. 여기에 중국 경제지표마저 부진한 것으로 발표되면서 주요 소비국들의 석유 수요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RBC 캐피털마켓의 헬리마 크로프트 원자재 전략 총괄은 “중국 관련 이야기는 유가에 있어서 올해 내내 역풍으로 작용했다"고 CNBC에 말했다. 이런 와중에 지난주 석유 생산을 급격하게 줄였던 리비아의 분쟁도 해결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는 공급 증가를 이어질 수 있어 국제유가 하락을 부추기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한다. 씨티그룹은 이날 메모에서 OPEC 플러스가 생산량을 추가로 줄이지 않으면 수요 감소와 비OPEC 국가들의 공급 증가로 내년 평균 유가가 배럴당 6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술적 반등은 가능하겠지만 OPEC 플러스가 현재 감산을 무기한 연장하지 않으면 70달러선이 방어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이에 씨티그룹은 브렌트유 가격이 60달러대까지 밀리면 시장의 흐름상 배럴당 50달러까지 하락한 뒤에야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UBS는 중국 수요 약세에도 원유 시장에서는 5월 이후 재고가 감소세를 이어왔다며 여전히 공급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UBS는 또 시장은 지나치게 비관적이라며 향후 몇 개월 이내 브렌트유가 80달러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라이스태드에너지의 스베틀라나 트레티아코바 선임 애널리스트는 “수요 증가세가 불확실하고 상당한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은 작아보이는 가운데 모든 시선은 다시 OPEC+에 쏠렸다"며 “OPEC+가 (감산) 전략을 명확하게 정하기 전까지 유가 약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