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역세권 고밀개발 후암1구역 가보니…"개발 환영하지만 보상이 관건"](http://www.ekn.kr/mnt/thum/202102/2021020801000381900016221.jpg)
[르포] 역세권 고밀개발 후암1구역 가보니…"개발 환영하지만 보상이 관건"
[에너지경제신문 최지혜 기자] "조만간 재개발이 되면 좋은 아파트로 이사갈 것 같아 기대감이 큽니다. 집주인도 동네 환경이 좋아질 것이라고 반기는 분위에요. 저희는 기초생활수급자라서 주민센터에서 이사비도 지원받을 수 있고 임시주택도 제공된다니 사업이 차질없이 잘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후암1구역 연립주택 세입자 A) 정부가 서울역 인근 용산구 위치한 후암특별계획구역 1구역 1획지(동자동) 쪽방촌을 공공재개발 해 2410가구의 주택을 공급키로 했다. 1250가구는 공공임대주택, 200가구는 공공분양주택, 960가구는 민간분양주택으로 각각 공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원주민들의 정착률을 높이기 위해 공원과 게스트하우스 등을 이용해 선이주단지를 조성한 뒤 부분적으로 철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후암1구역은 서울역 고층 오피스텔 타운 뒤편에 위치한 낙후된 지역이다. 2006년 재개발 대상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15년 동안 사업이 정체됐다. 이 구역의 면적은 4만4993㎡로 역세권 고밀개발계획에 따라 기존 250%보다 높은 700%의 용적률을 적용받는다. 2·4 공급대책 이후 첫 번째로 진행되는 도심 역세권 고밀개발 사업이다. 정부 발표 다음날인 6일 현장을 방문했다. 정부의 공공재개발에 관한 현지 주민들의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쪽방촌에 거주하는 세입자들은 대부분 임대아파트로 이주 소식을 반기고 있다. 다만 실제 쪽방촌에 살고 있는 주민이 정부가 예상했던 숫자보다 많아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후암1구역 다세대주택 세입자 B씨는 "정부는 1차로 철거될 부지에 1000여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실제 2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어 집계되지 않은 주민들은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면서 "이들 대부분 경제적 능력이 부족해 개발이 진행되면 갈 곳을 잃는다"고 말했다. 토지나 상가 소유주들은 개발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앞으로 있을 보상에 관심이 더 많다. 후암1구역 소재 건물을 소유하고 직접 소매업을 운영하는 C씨는 "이 지역 건물 소유주 일부는 공공재개발을 반기지 않고 있다"며 "기존 임대수익이 주택 분양권으로 얻는 시세차익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상가 세입자들은 사업장 이전을 걱정하고 있다. 현지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상가세입자 D씨는 "재개발이 추진되면 사업장을 옮겨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들고 불편할 뿐"이라며 "여기서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사업을 정착시켜 왔는데 사업장을 옮겨야 하니 반대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말했다. 현지 부동산 관계자들은 정부의 보상이 충분하다면 사업 진행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후암1구역 E부동산 관계자는 "앞서 재개발에 대한 주민 동의율이 70%에 달할 정도로 개발에 대한 기대가 크다"면서 "보상이 충분하다면 토지주와 상가주들도 개발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정자 후암1구역 재개발추진위원장 역시 보상문제가 "보상금보다 분양권 등으로 보상이 이뤄지길 바라는 주민들이 많다"면서 "현재 시세대로의 토지보상은 토지주에게 불리하기 때문에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반대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후암1구역은 건물의 대다수가 30년 이상 지나 낙후하고 오랜 기간 재개발이 정체돼 부동산 시장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현지 공인중개사들에 따르면 매물 거래가 거래가 거의 없고 거래가 되더라도 인근의 고층 오피스텔과 달리 가격변동 폭도 크지 않다. 작년 12월 후암1구역에 위치한 동자아파트 3층 전용면적 27㎡는 5억원에 매매됐다. 같은 면적 1층은 작년 7월 4억8000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동자1 정부가 서울역 인근 용산구 후암1구역을 고밀개발을 시작한다. 쪽방촌인 이곳을 공공이 시행하는 재개발 사업을 통해 2410가구의 주거단지로 개발해 250가구는 공공임대주택, 200가구는 공공분양주택, 960가구는 민간분양주택으로 각각 공급할 방침이다. 후암1구역 골목길 모습. 사진=최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