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강남-마용성에 ‘투기 바람’ 거세다…“초양극화 시작”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강남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서울 주요 지역에 부동산 투기 바람을 불러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은 적은 데 매물 회수·호가 급등이 일어나고 신고가가 속출하는 등 전형적인 투기 수요가 부동산 가격 급상승으로 이어진 2021~2022년 상황과 비슷한 현상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다만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기 보다는 1급지만 오르고 나머지는 떨어지는 '초양극화' 현상을 부추길 것으로 전망된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4% 오른 13억8289만원으로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1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상승세가 본격화되면서 2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은 직전 주의 두 배나 됐다. 상승 흐름의 중심은 강남3구였다.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가격이 각 지역별로 서초구 0.25%, 강남구 0.38%, 송파구 0.58% 오르며 강남3구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은 24억513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 평균 거래가격(11억1828만원)의 두 배를 훌쩍 넘는 수준이다. 강남권에 이어 마용성에서도 집값 상승이 두드러졌다. 과거 강남발 상승장이 비강남권으로 확산됐던 흐름이 다시 반복되는 모양새다. 실제로 마포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후부터 신고가 거래가 잇따랐다. 지난달 17일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전용 59㎡가 18억45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새로 쓴 데 이어, 용산구에서도 지난달 15일 이촌동 한가람아파트 전용 59㎡가 17억8000만원에 손바뀜하며 역대 최고가를 갱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이들 지역의 데이터를 보면 거래량은 활황기에 비해 절반도 안 되는데 호가가 올라가고 매물이 자취를 감추는가 하면 신고가가 속출하는 등 전형적인 '투자 수요 우위' 상황을 보이고 있다"면서 “마치 3~4년 전의 부동산 급등기와 비슷하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과거처럼 강남발 상승세가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되기보다 마용성 등 일부 인기 지역으로 한정돼 수요가 번지며 초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거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강남을 비롯한 수도권 인기 지역 아파트값이 이미 높은 수준이지만, 공급 감소 우려와 맞물려 추가 상승 가능성이 여전하다. 특히, 최근에는 실수요인 '갈아타기'도 있지만,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자산가들이 강남권 재건축 단지 매수에 적극 나서며 가격 상승을 부추긴다는 게 현장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반면 수도권 외곽과 지방 아파트값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2월 넷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0.03%, 경기 아파트값은 0.04% 각각 하락했다. 특히 인천 송도의 '더샵송도마리나베이' 전용 84㎡는 지난달 14일 5억7000만원에 거래돼, 2022년 2월 기록한 최고가(12억4,500만원) 대비 6억7500만원(약 54%) 급락해 충격을 안겼다. 같은 기간 '송도더샵퍼스트월드' 전용 84㎡도 7억원에 거래돼, 최고가(11억5000만원) 대비 약 40%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안팎으로 낮아지자 일각에서는 대출금리가 본격적으로 하락할 경우 매수 대기 수요가 빠르게 유입, 부동산 거래 증가와 가계부채 확대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다. 김효선 NH농협 부동산 수석위원은 “서울 집값이 올라간다고 해서 투기수요가 따라 증가해 지방 미분양이 없어질 상황이 아니라 초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며 “불확실한 시장으로 인해 '똘똘한 한채'로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DSR 규제가 강화돼 주택 매입할 때 대출받을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움직이는 경우가 대다수인 만큼, 이에 따라 가계부채가 증가할 수 있으나 현 제도 내에서라면 악성부채가 될 것이라고는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김유승 기자 kys@ekn.kr

[리얼+스타]“성수동 핫플 될 줄 알았나?”…발 빠른 투자로 350억 번 권상우

2001년 배우로 데뷔해 '동갑내기 과외하기', '천국의 계단', '말죽거리 잔혹사' 등 수많은 히트 작품을 남긴 권상우가 최근 발빠른 빌딩 투자로 무려 5배의 차익을 낸 것이 알려지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4일 권씨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서울 성동구 성수동 건물을 찾아가봤다. 지난해 10월부터 세차장 및 권씨 소속사 사무실로 쓰던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짓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이 건물은 도보로 2호선 뚝섬역과 2분, 수인분당선 서울숲역과 6분가량 떨어져 있는 초역세권이었다. 건물 주변으로는 식당, 술집, 사무실 등이 포함된 상권이 조성돼 있었다. 주변에 각종 사무실이 위치한 만큼 평일 낮임에도 불구하고 유동 인구가 상당했다. 권씨는 2015년 4월 대지면적 945.5㎡(약 287평), 연면적 647.9㎡(약 196평), 지상 2층 규모의 공장부지를 80억원(평당 약 2800만원)에 매입했다. 이후 리모델링을 통해 직접 운영하는 셀프세차장과 본인 소속사 사무실로 활용하다 지난해 신축 작업에 들어갔다. 착공신고에 따르면 권씨의 부지에는 대지면적 대지면적 946㎡(약 287평), 연면적 997.92㎡, 지상 2층 규모의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공사는 오는 4월 말 까지다. 현재 부지의 주 용도가 2종근린생활시설로, 부속용도가 일반음식점으로 신고돼 있는 상태인 만큼 권씨의 건물에는 추후 식당이 들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권씨의 건물은 매입 후 10년 여가 지난 현재 다섯 배가량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직접 가치를 알 수는 없지만 인근 빌딩이 평당 약 1억6200만원의 가격으로 2023년 8월 거래된 것을 감안해서다. 이 건물에서 가까운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들은 권씨의 건물도 최소 평당 1억5000만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10년만에 350억원의 시세차익을 발생시킨 것이다. 성수동 A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권씨 건물 인근은 한동안 거래가 없었지만 시세는 평당 약 1억5000만원 수준으로 이를 대입하면 현재 가치는 430억원가량으로 추정된다“면서 “역과 1~2분 거리에 있는 초역세권에 위치하고 인근 상권에서 큰 부지라 매물로 나온다면 사려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업계 전문가는 “권씨가 건물을 매입했을 당시는 성수동이 지금과 같은 입지를 갖추기 전이었다"며 “당시 시세로 따져도 저렴한 금액에 스마트한 투자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성수동 상권의 발전을 생각하면, 향후 권씨 건물의 가치는 더욱 크게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

서울시, 도시건축디자인 혁신사업 3차 공모 설명회 개최

서울시는 오는 5일 오전 10시 시청에서 '도시건축디자인 혁신사업 3차 공모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달 17일 공고한 제3차 도시건축디자인 혁신사업 공모에 대한 참가자들의 궁금증을 풀고 세부 안내를 위해 마련됐다. 설명회에서는 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가 도시건축디자인 혁신사업의 취지 및 목적, 대상지 선정 기준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또한 사업 개요, 공모 절차 및 유의 사항에 대한 소개에 이어 참석자와의 질의응답도 진행된다. 시는 2023년부터 도시품격 향상과 시민 삶의 질 개선이라는 목표 아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건축디자인을 설계에 적용 시 용적률, 높이 완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도시건축디자인 혁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

5년간 건설재해로 1211명 사망…부상자도 3만명

서울세종고속도로 공사 현장 사고로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최근 5년간 추락과 붕괴 등의 건설재해로 1200여명이 숨지고 3만명 이상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5년간 건설재해 사망자는 총 1211명, 부상자는 3만340명으로 집계됐다. 매년 건설 현장에서 242명이 숨지고, 6068명이 다친 셈이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사망자 251명·부상자 4820명 △2021년 사망자 271명·부상자 5302명 △2022년 사망자 238명·부상자 6114명 △2023년 사망자 244명·부상자 7351명 △2024년 사망자 207명·부상자 6753명 등이다. 지난 5년간 사망사고 원인을 보면 '떨어짐'(사망자 622명)이 가장 많았고 이어 '깔림'(221명), '물체에 맞음'(121명), '끼임'(64명), '화상'(38명), '부딪힘'(22명) 등의 순이었다. 같은 기간 부상의 가장 큰 원인은 '넘어짐'(7109명)이었으며 '떨어짐'(4612명)과 '물체에 맞음'(4056명), '끼임'(3112명), '부딪힘'(2528명), '절단·베임'(2144명) 등도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경우 '떨어짐' 사고 사망자가 106명으로 가장 많았고, '깔림'과 '물체에 맞음'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각각 32명, 25명이었다. 이 통계는 정부의 건설공사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 또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 건수를 집계한 자료다.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시공사 등은 해당하는 피해 발생 시 신고 의무가 있다. 서예온 기자 pr9028@ekn.kr

국토부 핵심부서 주택정책과에 첫 여성 과장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교통부 핵심 부서인 주택정책과에 처음으로 여성 과장이 탄생했다. 국토부는 오는 4일 자로 이유리(45) 서기관을 주택정책과장으로 임명한다고 3일 밝혔다. 주택정책과는 국토부 내에서 중요성이 가장 높은 부서 중 하나로, 주택시장 관리와 주택 공급, 주거 복지 정책 등을 총괄한다. 정부 부동산 대책 수립 때도 주택정책과가 금융·세제 정책까지 조율해 최종 결과물을 내놓는다. 그간 국장급 직위인 국토부 주택정책관을 여성이 맡았던 적은 있으나 여성 주택정책과장은 없었다. 이유리 과장은 서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뒤 전공과 관련 있는 기술고시가 아닌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한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다. 그는 사무관 때 주택정책과에서 일한 경험이 있으며 그간 주택건설공급과장, 도심주택공급총괄과장, 부동산평가과장을 거쳤다. 서예온 기자 pr9028@ekn.kr

신당8구역·여의도 대교아파트 재건축 통합심의 통과

서울시는 27일 열린 제2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에서 '신당 제8구역 주택재개발 사업'과 '여의도 대교아파트 재건축사업'이 통과됐다고 28일 밝혔다. 중구 신당동 321번지 일대 신당 제8구역 사업 대상지는 지하철 5·6호선 청구역 더블 역세권과 인근에 위치한 초등학교를 이유로 입지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 주거지역이다. 대상지에는 총 12개 동, 지하 4층∼지상 29층, 1159가구 규모 공동주택이 탄생한다. 신당8구역은 이후 사업시행계획 인가를 거쳐 내년 착공에 들어가며 오는 2029년 준공될 전망이다. 영등포구 여의도동 41번지 일대 대교아파트 재건축 정비사업은 공동주택 4개 동(43∼49층), 912가구를 건립하는 재건축 사업으로 사업시행계획인가, 관리처분계획 인가 및 이주 철거를 거쳐 2029년 착공이 예정돼있다. 통합심의에서는 인근 아파트 정비사업과 연계된 교통체계 등을 종합 검토할 것을 보완 조건으로 제시했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

“이미 10년만 최고치 찍었는데” 1월 ‘악성 미분양’ 더 늘었다

지난 1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2만2872호로, 전월 대비 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해당 매물이 2만 가구를 넘어서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1월에도 주택 시장 침체가 더욱 심화된 것이다.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2025년 1월 기준 주택통계에 따르면, 1월 말 미분양 주택은 총 7만2624호로 전월(2만1480가구) 대비 3.5% 증가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은 2만2872호로 지난해 12월과 비교했을 때 6.5% 늘어나며 큰 폭으로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이 2만 가구를 넘어선 것은 2014년 7월 이후 처음이었다. 수도권 1월 인허가는 1만5128호로 전년동월(1만967호) 대비 37.9% 증가했다. 서울은 인허가가 2783호로, 전년동월(2501호)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며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 인허가는 7324호로 전년동월(1만4843호) 대비 50.7% 감소했다. 1월 착공 물량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가운데 서울만 증가세였다. 서울은 전년동월(1306호) 대비 56.5% 늘어난 2044호를 기록했으나, 수도권은 3985호로 전년동월(1만2630호) 대비 68.4% 급감했다. 비수도권 착공도 6193호로 전년동월(1만345호) 대비 40.1% 감소했다. 1월 준공은 수도권이 1만6032호로 전년동월(1만9884호) 대비 19.4% 줄었다. 단, 비수도권은 2만5692호로 전년동월(1만6878호) 대비 52.2% 증가했다. 아울러 1월 분양 시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하락세로 침체기를 이어갔다. 수도권 1월 분양은 3617호로 전년동월(7906호) 대비 54.2% 감소했고, 비수도권은 3823호로 전년동월(5924호) 대비 35.5% 줄었다. 매매거래도 위축됐다. 1월 매매거래는 총 3만8322건으로 전월(4만5921건)보다 16.5%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1월 3233건으로 전월(3656건) 대비 11.6% 축소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는 각각 11.8%, 20.3% 줄었다. 전월세 거래 역시 감소세였다. 1월 전월세 거래는 20만677건으로 전월(21만7971건) 대비 7.9% 줄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도 각각 9.2%, 5.5% 감소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건설업계 위기로 꼽히는 지방 악성 미분양 매물 해소를 위해 최근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지방의 악성 미분양 주택 3000가구를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에 직접 매입해 공공임대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또한,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운영하는 CR리츠를 출시하고,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를 신설하는 등의 대책도 내놓았다. 다만 건설업계는 정부 대책이 '미봉책'에 불과하다 비판하며 오는 7월부터 시행 예정인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유예, 취득세 중과 배제 또는 50% 감면, 5년 내 매도 시 양도세 100% 감면 등 보다 강력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유승 기자 kys@ekn.kr

“지금도 높은데” 강남3구 아파트 분양가 더 오른다

오는 3월부터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공공택지 등에 공급되는 분양가상한제 주택의 기본형건축비가 1.61% 오른 ㎡당 214만원으로 조정된다. 국토교통부는 간접공사비, 노무비 등의 영향으로 기본형건축비(16~25층 이하, 전용면적 60~85㎡ 지상층 기준)가 직전 고시된 ㎡당 210만6000원에서 214만원으로 1.61% 올랐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는 현재 공사비 변동요인을 적기에 반영하기 위해 기본형건축비를 6개월마다 정기적(매년 3월 1일, 9월 15일)으로 고시하고 있다. 이번 인상분은 지난해 9월 대비 3.3% 상승했던 것에 비해 인상폭이 줄었다. 지난해 3월(203만8000원)부터 1년간 인상 비율은 총 5%이다. 개정된 고시는 3월 1일 이후 입주자모집 승인을 신청하는 단지부터 적용된다. 실제 분양가격은 기본형건축비에 따른 분양가 상한 내에서 분양 가능성, 주변 시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된다. 건설업계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본격화된 금리 인상과 PF 부실 여파에 따른 조달금리 증가, 원자재 가격 급등, 인건비 및 물류비 상승 등으로 당분간 기본형건축비를 비롯한 분양가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분양가가 계속 오르며 지난해에는 전국 아파트 분양가(3.3㎡당)가 15년 만에 매매시세를 앞질렀다. 김유승 기자 kys@ekn.kr

전국 아파트값 떨어지는데 서울만 펄펄…“상승폭 두배”

전국의 아파트값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건축에 힘입어 송파·강남 위주로 서울 집값만 전주 대비 상승폭이 두 배로 확대되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2월 4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 서울 매매가(0.06%→0.11%)가 전 주 대비 두 배 가까이 올랐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지방(-0.04%→-0.05%) 하락폭이 확대된 것과는 대조되는 결과로, 서울 아파트값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주 연속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실제로 서울 동남권(강남구·서초구·송파구·강동구)의 상승률은 0.36%로, 지난해 8월 넷째 주(0.37%) 이후 최대 오름 폭을 기록했다. 송파구(0.58%)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남구(0.38%)는 압구정·대치·청담동 위주로 집값이 올랐다. 잠원·서초동이 포함된 서초구(0.25%)도 오름세를 이어갔다. 반면, 서울 외곽지역인 노원구(-0.03%)는 상계·월계동 위주로, 강북구(-0.02%)는 번·수유동 구축 위주로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는 전주와 마찬가지로 0.04% 내렸다. 인천은 0.03% 하락하며 내림세를 유지했으나 전주(-0.06%)보다는 하락 폭이 줄었다. 경기와 인천의 동반 하락에도 서울의 상승세에 힘입어 수도권은 0.01% 올라 11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지방은 0.05% 내리며 낙폭이 커졌다. 전북(0.04%), 강원(0.01%) 등은 상승했으나 대구(-0.11%), 경북(-0.10%), 광주(-0.06%), 부산(-0.06%), 대전(-0.05%), 경남(-0.04%), 전남(-0.04%) 등은 일제히 하락했다. 울산은 보합(0.00%)이었다. 전국적으로는 0.02% 내리며 14주 연속 하락세였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직전과 마찬가지로 보합으로 제자리걸음이었으나 서울은 0.03% 오르며 전주(0.02%)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일부 입주영향 있는 지역 및 외곽지역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했으나, 선호도 높은 역세권 및 대단지 중심으로 임차수요가 지속돼 상승계약을 체결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이 지속됐다고 한국부동산원은 풀이했다. 경기도는 전주와 마찬가지로 0.01% 올랐으며 인천은 0.04% 떨어지며 낙폭을 유지했다. 지난주 0.01% 하락했던 지방은 이번 주 보합 전환했다. 김유승 기자 kys@ekn.kr

내년 전셋값 폭등 예고…“수도권 수요, 지방으로 돌려야”

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급격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전셋값 폭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민 주거비 부담이 예상되면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부동산R114 랩스에 따르면 2026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6만9642가구로 올해(11만3465가구) 대비 38.6% 가량 줄어들 예정이다. 수도권 입주 물량이 10만가구 이하로 내려가는 것은 2015년(9만2640) 이후 약 11년만이다. 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을 최근 10년간 연평균과 비교하면 감소폭은 더욱 커진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수도권 입주물량은 14만4977가구로, 내년 물량은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감소폭이 가장 컷다.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올해 3만1300가구에서 내년 7768가구로 무려 75.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6만1838가구에서 4만9035가구(-20.7%)로, 인천은 2만327가구→1만2839가구(-36.84%)로 줄어든다. 이처럼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급감하는 것은 최근 3년간 아파트 착공 물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주택 인허가에서 착공까지는 1~2년, 착공에서 준공까지는 2~3년이 소요된다. 때문에 착공 물량 감소 여파는 몇년 후 입주 물량 변화를 통해 본격화된다는 해석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 58만4000가구였던 주택 착공 물량은 이듬해 34.4% 감소한 38만3404가구로 집계됐다. 2023년에는 보다 더 감소한 24만2188가구가 착공했으며, 지난해에는 어느 정도 늘어난 30만5331가구가 착공했지만,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1년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몇 년간 주택 착공 물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세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에 상승 압력을 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그래도 현재 수도권 전셋값은 계속 오르고 있다.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2023년 8월 0.06% 오르며 상승전환한 이후 이달까지 1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 누적 상승률은 4.83%였으며, 이러한 흐름은 올해(1월 0.09%↑·2월 0.07%↑)도 계속되고 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정부가 예전부터 공급을 늘리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없었다. 3기 신도시 입주 또한 한참 남았기 때문에 대책이 될 수 없다"면서 “비아파트 공급 또한 전세사기 여파로 막혀있어서 불안심리가 커지면 전셋값에 이어 매매가격까지 폭등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전셋값 폭등을 방지할 유일한 방법은 수요를 분산시키는 것"라며 “지방 주택 매매시 5년간 양도세 혹은 취득세 면제, 아니면 더 큰 혜택을 통해 서울로 몰리는 똘똘한 한 채 수요를 지방으로 돌리는 정책의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라고 조언했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