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되며 최근 강남 3구를 중심으로 매물이 다소 증가한 분위기다. 다만 이는 대출 규제 효과로 유발된 집값 안정 신호라기보다 '숨 고르기'에 가깝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3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한 달 전인 7만4204건 대비 6.3% 늘어난 7만8894건이다. 6월 초까지 8만 건대를 유지하던 매물은 대출 규제 이후 두 달간 7만4000~5000건대에서 정체됐다. 이후 지난달 말에 7만7000건대로 올라서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번 매물 증가는 강남 3구가 견인했다. 강남구 매물은 지난달 기준 5940건에서 6770건으로 13.9% 늘었다. 송파구는 3758건에서 4169건으로 10.9%, 서초구는 4856건에서 5359건으로 10.3% 각각 증가했다. 1년 전인 △강남구 7934건 △서초구 6697건 △송파구 6215건과 비교하면 매물은 여전히 적은 수준이다. 다만 올해 초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여파로 집값이 급등하자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는 일이 잦았다. 당시 성사 직전 계약까지 파기되던 상황을 고려하면, 현재는 매물 시장이 일정 부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공인중개소를 비롯한 현장에서는 매물 증가가 강남권 거래가 사실상 멈춰 선 데 따른 영향이라고 지목한다. 실제로 강남구 거래량은 6월 566건에서 7월 338건, 8월 들어서는 아직 신고 기간이 남은 걸 감안해도 55건 수준이다. 송파구와 서초구도 각각 668건→395건→100건, 365건→215건→57건으로 줄었다. 반면 신고가 갱신은 이어지고 있다. 3일 기준 송파구 신천동 장미1차 아파트 전용 182.01㎡는 50억원에 거래되며 지난 6월과 같은 신고가를 다시 썼다. 장미2차 아파트도 전용 82.45㎡가 30억6000만원에 거래되며 직전 대비 2000만원 오른 가격에 손바뀜했다. 강남구 역삼푸르지오 전용 59.88㎡는 1억7500만원 오른 29억5000만원에 팔렸고, 서초동 서초현대4차 전용 140.03㎡도 29억원에 거래돼 직전보다 2억1000만원 올랐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규제 발표에 따라 외국인 매수가 막히면서 신고가 상승세는 주춤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보유세 부담 확대와 대출 규제 강화가 예고되면서 차익 실현을 위한 매물이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강남은 전액 현금 거래도 이뤄지는 대표적인 부촌인 만큼 6.27을 비롯한 대출 규제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다. 반면 세제 개편과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달 외국인 고가 아파트 매수를 집값 급등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서울 전역과 수도권 대부분을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했다. 앞으로 외국인은 서울·수도권에서 주택을 취득하면 4개월 내 입주하고 2년 이상 실거주해야한다는 취지이다. 외국인은 그동안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반포자이' 등 고급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갱신을 이끌어온 큰손이다. 그러나 이번 규제로 거래가 막히며 강남권에는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종부세 공정시장가액비율 상향, 공시가격 현실화율 인상 등을 포함한 보유세 제도 개편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시장에서는 다소 소강 상태에 접어들더라도 집값 하락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민주당 정권의 기존 기조를 고려했을 때 집값은 무조건 오른다는 분위기가 아직도 있다"며 “시간이 흐르면 집값이 더 오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 집주인들은 급할 게 없는 상황"이라 전했다. 김유승 기자 ky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