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 여파가 금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금융당국도 비상대응본부를 꾸리고, 피해 예방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일단위로 금융권 대응 현황과 특이사항을 보고받는 한편, 금융결제원, 신용정보원 등 금융 인프라 기관은 해킹 등에 대비해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SK텔레콤 해킹 사고가 금융보안 사고로 이어질 경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대응현황 공유, 신속 연락체계 구축을 위한 비상대응본부를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비상대응본부는 본부는 종합대응반, 상시감시반, 사고대응반, 신고센터로 구성되며, 금융협회, 금융보안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공조한다. 비상대응본부는 일단위로 금융권 대응 현황과 특이사항을 보고받아 금융권 대응 현황과 이슈를 신속히 파악한다. 금융감독원은 부정, 사기거래 등 금융사고에 대비해 사고보고체계를 강화하고, 일일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한편, 금융사고 전담 신고센터를 꾸려 금융소비자 피해 예방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현재까지 부정 인증 증가 등 해킹 사고 관련 이상 징후는 포착되지 않았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그럼에도 각 유관기관은 사고 예방 보안조치를 시행하는 한편 향후 사고 가능성에 대비해 상시적인 대응태세를 갖추고 있다. 금융권은 금융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비대면 계좌개설·여신거래 안심차단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해당 서비스는 모든 금융기관의 비대면 계좌개설, 대출 실행을 일괄 차단하는 서비스로 자신도 모르게 발생하는 부정 금융거래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실제 SK텔레콤 해킹사고 이후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 간 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신청은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기간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에 가입한 소비자는 약 35만명, 여신거래 안심차단에 가입한 소비자는 약 45만명에 달한다. 특히 해킹사고 이전에는 전체 신청 인원 가운데 40대 이하 비중이 약 22%를 차지했지만, 해킹사고 이후에는 40대 이하 비중이 약 65%를 차지할 정도로 청년층 신청이 급격하게 늘었다. 금융당국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금융계좌 비밀번호, 신분증 사본 등 금융거래 본인인증 수단으로 이용되는 자료를 휴대폰에 저장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만일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하면 통합신고센터에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해야 한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