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취임 100일을 맞아 대규모 집회를 열어 그가 시행한 관세 정책을 자화자찬한 가운데 지난해 대선에서 승리를 안겨줬던 경합주 7곳에서 모두 50% 이하의 지지율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 폭스뉴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시간주 머콤카운티에서 개최한 집회에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경제를 가졌다"며 집권 1기에 대한 경제적 성과를 부각한 후 “우리는 잘했고 지금은 더 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 역사상 그 어느 행정부보다 가장 성공적인 첫 100일이고 모두가 이를 목격하고 있다"며 “우린 이제 막 시작했을 뿐. 여러분은 아직 어떤 것도 보지 못했다. 지금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의 관세 정책에 대해 “우리의 세금과 관세 정책 때문에 전 세계에서 오고 있다. 그들은 여기에 와서 공장을 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십년간 정치인들이 중국을 강화하기 위해 디트로이트(미국 자동차산업의 요람)를 파괴했지만, 여러분은 드디어 노동자를 위한 투사를 백악관에 가지게 됐다. 난 중국을 우선하는 대신에 미시간을 우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에서 수입한 부품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들의 부품 관세 부담을 2년간 한시적으로 줄이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전 세계 국가가 미국과 무역 협상을 하려고 찾아온다면서 “우리는 협상하겠지만 그러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이어 “(외국이 원하는) 상품을 가진 것은 우리이며 미국에 있는 것도 우리다. 그들은 우리 상품의 일부를 원한다. 우리는 그냥 가격을 정할 수 있지만 난 공손하고 친절해지고 싶다. 하지만 협상이 너무 오래 걸리면 그냥 가격을 정하겠다"고 밝혔다. 국가들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되 뜻대로 안 되면 관세를 일방적으로 부과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대(對)중 관세와 관련, “중국에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우리는 세계 역사상 가장 큰 일자리 절도 사건을 종식시키고 있다"며 “중국이 어느 나라보다 일자리를 많이 훔쳐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우린 이미 인플레이션을 끝냈는데 가격 하락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없앨 것"이라며 “일을 못 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가 있음에도 인플레이션과 금리는 모두 내렸다"고 했다. 이어 “연준을 비판하면 안 된다고 한다. 그가 자기 일을 하도록 둬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난 그보다 금리에 대해 훨씬 많이 안다"고 말했다. 이렇듯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집회에서 자신의 관세 정책에 대한 성과를 강조했지만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표를 몰아줬던 유권자들의 민심은 싸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온라인 여론조사업체 시빅스가 이날 공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선 핵심 경합주 중 하나이자 트럼프 대통령이 집회를 열었던 미시간주에서 국정 운영 지지율은 45%로 나타났다. 애리조나(46%), 네바다(46%), 위스콘신(45%), 노스캐롤라이나(45%), 펜실베이니아(44%), 조지아(44%) 등 나머지 경합주에서도 지지율이 모두 50%선을 밑돌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대선에서 경합주 7곳을 모두 가져가면서 대통령으로 당선됐지만 취임 이후 불과 100일 만에 그에 대한 지지가 시들해진 것이다. 이런 와중에 미국 경제 상황은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보다 암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미 상무부는 3월 상품무역 적자가 전월 대비 9.6% 증가한 1620억 달러(약 231조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상품 수출은 1808억 달러(약 258조원)로 1.2% 증가에 그친 반면 수입이 5% 늘어난 3427억 달러(약 490조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소비재 수입이 27.5% 늘었다. 같은 날 미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는 4월 소비자신뢰지수가 5개월 연속 하락, 전월 대비 7.9 낮은 86.0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0년 5월(85.9) 이후 최저이며, 90을 하회한 것은 2021년 1월(87.1) 이후 4년여 만이다. 소득·사업·노동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단기 전망을 반영한 '기대지수'는 12.5 급락한 54.4로 2011년 10월 이후 13년여 만에 최저였다. 아울러 미국 노동부의 3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 구인 건수는 719만2000건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이자 시장 전망치 748만건도 밑도는 수치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월가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3월 무역적자 발표 후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일제히 낮췄다고 보도했다. 모건스탠리는 전망치를 기존 0%에서 -1.4%로, JP모건은 0%에서 -1.75%로, 골드만삭스는 -0.2%에서 -0.8%로 각각 전망치를 낮췄다. 월가의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미국은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하게 된다. 다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집회에 참석한 지지자들은 개의치 않는 듯 했다. 스텔란티스에 근무하는 30세 더크 킹은 미국 제조업이 생각보다 빠르게 강화될 것이라며 “그(트럼프 대통령)는 기업들을 해치고 싶어하지 않으며, 오히려 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철강업계에서 은퇴한 65세 폴 루게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을 지지하기 위해 단기적 경제적 타격은 괜찮다"며 “우리는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 당분간 고통스럽고 가격 인상이 있을 수 있겠지만 변화가 필요하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