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강원도는 4월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2% 증가한 2억 9708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국 평균(3.7%)을 크게 상회했다. 강원도는 글로벌 수출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품목 다양화와 시장 다변화 전략을 통해 수출 확대를 이어가고 있다. 19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강원도는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출 증가율이다. 수입은 76.0% 급증한 5억 2466만 달러를 기록했다. 강원도 수출 증가세는 주요 품목의 호조에 기인했다. 의료용전자기기(5165만 달러, 54.9%↑)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면류(4065만 달러, 25.5%↑), 전선(3876만 달러, 5.0%↑), 화장품(2662만 달러, 62.8%↑), 의약품(2283만 달러, 59.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재(28.6%)와 자본재(28.2%)의 수출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전체 수출의 42.8%를 차지하는 중간재 수출도 17.2% 증가하며 지역 수출 확대를 견인했다. 대륙권별로는 중동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7.4%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중남미(43.5%), 중국(43.2%) 등으로의 수출도 호조를 보였다. 국가별로는 최대 수출국인 미국(4598만 달러, 12.8%↑)과 중국(3362만 달러, 43.2%↑) 모두 강세를 보였다. 미국은 면류, 의료기기, 화장품 수출이 호조를 보인 반면, 자동차부품 수출은 16.8% 감소했다. 중국은 의약품(292.4%↑), 화장품(123.5%↑), 면류(68.2%↑), 의료기기(37.2%↑) 등이 모두 증가했다. UAE(1008만 달러, 189.5%↑)와 브라질(676만 달러, 61.9%↑), 말레이시아(653만 달러, 161.6%↑) 등도 수출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 반면, 러시아는 주요 품목의 감소로 전체 수출이 21.9% 줄었고, 멕시코(-14.8%)도 부진했다. 강원도 수출의 중심 품목인 의료용전자기기의 경우 브라질(132.0%↑), 미국(94.8%↑), UAE(417.1%↑) 등 주요 수출국 모두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전선 수출은 대만(3344만 달러)을 중심으로, 싱가포르(310만 달러, 6만7615.1%↑)의 급증이 눈에 띄었다. 또 의약품은 대만(3만6346.0%↑), 중국(292.4%↑), 인도네시아(214.0%↑)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보호무역 기조 장기화와 미중 간 무역 긴장의 지속 가능성은 향후 수출 환경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WTO는 2025년 세계 교역량 증가율이 –0.2%에 그칠 것으로, IMF는 올해 세계 GDP 성장률을 2.8%로 하향 조정하며 글로벌 경제의 둔화를 경고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ess003@ekn.kr

















![[카드사 풍향계] 南 테니스 1·2위, ‘현대카드 슈퍼매치’서 격돌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3.1dc55fae3e4f4424b2de2f30ddc15c43_T1.jpg)
![[보험사 풍향계] 현대해상, 병원 내 도서관 ‘마음心터’ 확대 운영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3.eb17a71040f34918a159b8da141eacec_T1.jpg)
![[EE칼럼] 동떨어진 한국의 에너지 ‘패스트 트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702.05b45b3b37754bef91670415ae38a4b8_T1.jpg)
![[EE칼럼] 2025 노벨경제학상과 지속가능성장](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31.e2acc3ddda6644fa9bc463e903923c00_T1.jpg)
![[김병헌의 체인지] 한국의 외교적 주도권과 실질 성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625.3530431822ff48bda2856b497695650a_T1.jpg)
![[이슈&인사이트] 정보시스템의 재난 방지를 위한 중복 설계의 중요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221.166ac4b44a724afab2f5283cb23ded27_T1.jpg)

![[기자의 눈] 신뢰 사라진 코스닥 시장](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924.557f404e66b243fdb312b183c238d211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