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김은지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김은지 기자 입니다.
  • 전국부
  • elegance44@ekn.kr

전체기사

‘7.8% 늘었지만…’ 유통업, 온·오프 양극화 심화

올해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가운데, 오프라인 유통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온라인 유통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 확대를 이끌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3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및 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오프라인 13개사와 온라인 10개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상반기 총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7.8% 늘었다. 이 중 온라인은 15.8% 급증한 반면, 오프라인은 0.1% 줄며 상반기 기준으로 5년 만에 역성장을 나타냈다. 오프라인 업태별로는 대형마트(–1.1%)와 편의점(–0.5%)이 감소했고, 백화점(0.5%)과 준대규모점포(SSM, 1.8%)는 소폭 증가했다. 전체 유통 매출에서 오프라인 비중은 46.4%로 줄었고, 온라인은 53.6%로 처음으로 절반을 넘겼다. 상품군별로는 식품(8.3%), 생활·가정용품(3.7%), 서비스·기타(28.8%) 부문에서 매출이 늘었으나, 패션·잡화(–2.6%)와 아동·스포츠(–2.9%)는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온라인에서는 서비스·기타 분야가 57.6% 급증했고, 식품도 19.6% 증가해 오프라인의 식품 증가율(0.6%)을 크게 웃돌았다. 온·오프라인 간 매출 성장률 격차도 확대되는 추세다. 상반기 기준 온라인과 오프라인 간 격차는 2023년 5.1%p에서 2024년 11.9%p로 커졌고, 올해는 15.9%p에 달했다. 6월 한 달만 봐도 이러한 흐름은 이어졌다.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7.3% 증가했지만, 오프라인은 1.1% 줄었다. 반면 온라인은 15.9% 증가해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다. 오프라인 중에서는 대형마트(–2.8%), 백화점(–0.9%), 편의점(–0.7%)이 모두 감소했고, SSM만 2.1% 증가하며 4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6월 상품별 매출은 식품(9.5%), 서비스·기타(20.4%), 생활·가정용품(6.2%) 부문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온라인에서는 식품(24.1%)과 서비스·기타(38.7%)가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고, 화장품도 9.0% 늘며 상승폭이 컸다. 오프라인 점포 수는 대형마트(–1.1%), 백화점(–5.0%), 편의점(–1.3%) 등 대부분 업태에서 줄었으며, SSM만 2.8% 증가했다. 전체 구매건수는 전년 동월보다 3.0% 줄었고, 구매단가는 2.0% 늘어 점포당 매출은 0.6% 감소했다. SSM은 구매건수(1.6%)와 단가(0.6%)가 모두 증가하며 26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한편, 이번 조사는 통계청 승인 통계가 아닌 민간 유통업체의 자체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산업부는 “소비 동향 파악을 위한 참고용 자료"라고 설명했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세종시의회, 첫 인사청문회 개시…공공기관장 검증 제도화 ‘첫발’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도입을 두고 수차례 의견이 엇갈렸던 인사청문회가 마침내 현실이 됐다. 세종시의회가 개원 이후 처음으로 공공기관장 후보자에 대한 검증 절차에 들어가면서, 지방행정 투명성 제고의 제도적 출발점을 찍었다. 세종시의회는 30일 제99회 임시회를 열고,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선임안을 포함한 3건의 안건을 처리했다. 이로써 시의회 출범 이후 처음으로 공공기관장 인사청문회가 공식 절차에 들어갔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임시회 회기 결정의 건 △회의록 서명의원 선임의 건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이 차례로 의결됐다. 청문특위는 총 11명으로 구성되며, 행정복지위원회 김현미 위원장과 김영현 부위원장을 비롯해 김충식, 상병헌, 여미전, 이순열, 홍나영 의원, 산업건설위원회 김현옥, 최원석 의원, 교육안전위원회 유인호, 윤지성 의원이 포함됐다. 임채성 의장은 개회사에서 “세종시의회가 인사청문회를 처음 실시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공공기관장 인사청문회가 정례화돼 시민의 알 권리가 충족되고, 시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제도적으로 확보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청문회는 단순한 질의가 아닌,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 도덕성과 공직관을 시민 앞에서 검증하는 엄중한 절차"라며, 청문위원과 후보자 모두에게 성실하고 진정성 있는 자세를 당부했다. 이번 청문 대상자인 권영걸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장 후보자는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계원예술대학교 총장, 서울디자인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과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사청문특위는 오는 8월 1일 인사청문 계획서를 채택한 뒤, 8월 12일 공식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는 8월 18일까지 세종시에 송부된다. 한편, 세종시의회는 8월 25일 제100회 임시회를 개회해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조치결과를 청취하고 각종 조례안 등을 처리할 예정이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6월 고용, 5년 만에 꺾였다…종사자 수 1.5만 명 감소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종사자 수는 2,027만2천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1만 5천 명(–0.1%) 줄었다. 고용노동부가 30일 공개한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는 2020년 코로나 확산기 이후 처음으로 6월 기준 고용이 감소한 것이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1만5000명(+0.1%) 증가한 반면, 임시·일용근로자는 8000명(–0.4%), 기타종사자는 2만2000명(–1.7%) 줄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사업체 종사자가 1,678만5000명으로 4만4000명 감소(–0.3%), 300인 이상은 348만6000명으로 2만9000명 증가(+0.8%)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8만3000명),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만8000명), 부동산업(+1만4000명) 등에서 증가한 반면, 건설업(–9만1000명), 도소매업(–2만6000명), 숙박·음식점업(–2만1000명) 등에서 크게 감소했다. 제조업 종사자 수도 9000명 줄며, 3월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6월 중 입직자는 85만5000명(–7.0%), 이직자는 88만4000명(–5.9%)으로 모두 줄었다. 입직률은 4.5%, 이직률은 4.7%로 전년보다 각각 0.3%포인트 하락했다. 300인 미만 사업체에서는 입직자와 이직자가 각각 –8.0%, –6.3% 감소했고, 300인 이상 사업체는 입직 +1.5%, 이직 –3.2%를 기록해 대조를 보였다. 2025년 5월 기준 전체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91만6000원(+2.5%), 실질임금은 336만 8000원(+0.5%)이었다. 임시·일용근로자 임금은 173만2000원으로 –5.3%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696만원), 전기·가스업(616만원)이 가장 높았고, 숙박·음식점업(211만원), 사업지원서비스업(278만원)은 가장 낮았다. 전체 평균 근로시간은 147.0시간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6.3시간(–4.1%) 줄었다. 고용 형태별로는 상용근로자가 154.3시간으로 6.9시간 감소했고, 임시·일용근로자는 82.6시간으로 3.7시간 줄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161.6시간)과 수도·하수·폐기물 처리업(162.5시간)이 근로시간이 가장 길었으며, 반대로 건설업(123.7시간)과 교육서비스업(127.0시간)은 가장 짧았다. 지역별로는 서울(–6만7000명), 광주(–5000명), 부산(–6000명)에서 종사자 수가 줄었고, 충남(+1만4000명), 울산(+7000명), 경남(+1만1000명) 등은 증가했다. 제조업 종사자 수는 경남(+4500명), 경기(+3900명)에서 증가한 반면, 경북(–6500명), 서울(–6200명)에서는 줄었다. 김재훈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6월은 특별한 외부 변수가 없는 평달이었고, 전월과 유사한 고용 흐름이 이어졌다"고 총평했다. 그는 “종사자 수 감소는 건설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특정 업종의 구조적 부진에 따른 것"이라며, “이는 이번 달만의 현상이 아니라 일정 기간 계속되어 온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실질임금은 마이너스 국면에서 벗어나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근로시간 감소는 장기 추세"라고 밝혔다. 4.5일제 도입 여부와 관련해선 “아직 시행 전이므로 이번 통계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김 과장은 “건설업 경기가 회복돼야 고용도 개선될 것"이라며, “도소매와 숙박업은 정부의 소비쿠폰 정책 효과로 일부 개선 가능성이 있다"며 “이번 감소 폭은 1만5000명 수준으로, 고용시장 전체 흐름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기대수명 83.5년, 병상 수는 세계 1위…의료인력은 부족

2023년 기준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평균보다 2.4년 높았다. 병상 수와 CT 검사량, 외래진료 횟수는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았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역시 최고 수준이었다. 반면 임상 의사와 간호사 수는 평균에 못 미쳤다. 보건복지부는 3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10일 발표한 'OECD 보건통계 2025'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통계는 2023년 기준이며, 일부 항목은 2022년 이전 수치를 활용했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스위스(84.3년), 일본(84.1년)에 이어 높은 수준이었다. 남성은 80.6년, 여성은 86.4년으로 나타났다.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3.2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다만 2012년(30.3명) 이후 점진적 감소 추세다. 회피가능사망률은 151.0명으로 OECD 평균(228.6명)보다 낮았으며, 영아사망률도 출생아 1000명당 2.5명으로 평균(4.1명)을 하회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흡연율은 15.3%로 OECD 평균(13.2%)보다 소폭 높았다. 남성 흡연율은 26.8%, 여성은 3.8%였다. 주류 소비량은 연간 7.8ℓ(순수 알코올 기준)로 OECD 평균(8.6ℓ)을 밑돌았으며, 10년간 감소 추세를 보였다. 과체중·비만 인구 비율은 36.5%로 일본(26.0%) 다음으로 낮았다. 그러나 2013년(31.5%) 이후 상승세를 보여 남성 43.0%, 여성 29.9%로 집계됐다. 임상 의사는 인구 1000명당 2.7명으로, 일본·캐나다 등과 함께 최하위권에 머물렀다(OECD 평균 3.9명). 임상 간호인력은 9.5명(이 중 간호사 5.2명)으로, 각각 OECD 평균(9.7명, 8.4명)에 미치지 못했다. 의학계열 졸업자는 10만명당 7.4명으로, OECD 평균(14.3명)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반면 간호대 졸업자는 46.0명으로 평균(35.0명)을 상회했다. 병원 병상 수는 인구 1000명당 12.6개로 OECD 평균(4.2개)의 3배 수준이었다. 이 중 급성기 병상은 7.4개로 평균(3.4개)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의료장비는 CT가 100만 명당 45.3대, MRI가 38.7대로 각각 OECD 평균(CT 31.1대, MRI 21.2대)을 웃돌았다. 실제 검사 건수 기준으로는 CT가 1000명당 333.5건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많았고, MRI는 90.3건으로 평균(92.4건)과 유사했다. 외래 진료 횟수는 연간 1인당 18.0회로 OECD 평균(6.5회)의 약 2.8배에 달해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입원환자의 평균 재원일수는 17.5일로 일본(26.3일)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고, 급성기 환자는 평균 7.2일이었다. 제왕절개 건수는 출생아 1000명당 610.6건으로, OECD 평균(292.5건)의 2배 이상이며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65세 이상 인구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84.8%로, OECD 평균(51.8%)을 크게 웃돌며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은 재가 9.0%, 시설 2.7%로 각각 OECD 평균(재가 11.2%, 시설 3.5%)보다 낮지만, 고령화에 따라 증가 추세다. 돌봄종사자는 65세 이상 인구 100명당 5.3명, 장기요양 병상 및 침상 수는 1000명당 53.8개였다. 2023년 한국의 경상의료비는 GDP 대비 8.5%로 OECD 평균(9.1%)보다 낮았지만, 1인당 경상의료비는 4,586.3달러(PPP 기준)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7.8% 증가해 OECD 평균 증가율(5.2%)을 크게 웃돌았다. 지출 구조를 보면 정부·의무가입 지출 비중은 60.4%(2013년 55.9%)로 늘었고, 가계직접부담 비중은 31.2%(2013년 38.3%)로 감소했다.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968.9달러(PPP 기준)로 OECD 평균(658.1달러)보다 310.8달러 많았으며, 벨기에(1,057.1달러), 독일(971.8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보건복지부 임호근 정책기획관은 “국제 비교가 가능한 통계를 지속 생산하고,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한 정책 근거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6년 만에 보리 풍년…기상 덕에 마늘·양파도 늘었다

보리와 마늘, 양파 생산량이 모두 증가했다. 면적은 줄었지만, 날씨가 도우며 단위당 수확량이 크게 늘었다. 올해 보리 생산량은 9만 2천 톤으로 전년(7만 1천 톤)보다 30.1% 증가했다. 마늘과 양파 생산량도 각각 8.8%, 0.5% 늘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5년 보리, 마늘, 양파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리 재배면적은 2만 5,234ha로 전년 대비 8.3%(1,936ha) 증가했다. 전년 파종기(2024년 10~12월) 가격 상승 영향으로 쌀보리 재배면적이 17.1% 늘어난 것이 전체 면적 증가로 이어졌다. 겉보리 재배면적은 6,420ha로 0.3%(22ha) 증가했고, 쌀보리는 1만 3,384ha로 17.1%(1,952ha) 증가했으며, 맥주보리는 5,430ha로 0.7%(38ha) 감소했다. 10a당 생산량은 365kg으로 전년(304kg)보다 20.1%(61kg) 증가했다. 기상여건이 양호했던 1~3월 생육기 영향으로, 겉보리는 430kg(17.3%↑), 쌀보리는 361kg(22.1%↑), 맥주보리는 300kg(20.4%↑)으로 모두 상승했다. 시도별 보리 생산량은 전북이 4만 5,601톤으로 전체의 49.4%를 차지했고, 전남 3만 2,407톤(35.1%), 제주 5,076톤(5.5%) 순이었다. 마늘 생산량은 31만 7톤으로 전년(28만 4,936톤) 대비 8.8%(2만 5,071톤) 증가했다. 반면 재배면적은 2만 2,947ha로 전년보다 1.5%(343ha) 줄었다. 한지형 마늘은 4,049ha로 7.2% 감소했고, 난지형 마늘은 1만 8,898ha로 0.1% 감소했다. 10a당 생산량은 1,351kg으로 10.4%(128kg) 증가했다. 생육기(2~3월) 강수량은 전년 165.7mm에서 올해 62.2mm로 줄었고, 일조시간은 305.0시간에서 413.1시간으로 늘어난 것이 수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생산량은 경남이 9만 8,087톤으로 전체의 31.6%, 경북이 7만 2,004톤(23.2%), 충남이 4만 8,926톤(15.8%)을 차지했다. 양파 생산량은 118만 1,556톤으로 전년(117만 5,276톤)보다 0.5%(6,280톤) 증가했다. 재배면적은 1만 7,677ha로 5.0%(937ha) 줄었지만, 10a당 생산량이 6,684kg으로 5.9%(370kg) 늘면서 전체 생산량이 소폭 증가했다. 조생종 양파 면적은 2,398ha로 5.4% 증가했고, 중만생종은 1만 5,279ha로 6.5% 감소했다. 기상여건은 마늘과 동일하게, 2~3월 강수량 감소와 일조시간 증가로 생육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생산량은 전남이 36만 4,157톤으로 전체의 30.8%, 경남 26만 9,403톤(22.8%), 경북 16만 6,111톤(14.1%)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보리 424필지, 마늘 1,076개 구역, 양파 748개 구역을 표본으로 시행됐다. 표본오차(RSE)는 보리 5.20%, 마늘 3.42%, 양파 4.01%이며, 겉보리·맥주보리 등 일부 항목은 10% 이상으로 신뢰도에 유의가 필요하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다단계판매 시장 매출 8.5% 감소…판매원 수익 상위 쏠림 여전

다단계판매업체에 등록된 687만명 중, 실제 후원수당을 받은 사람은 6명 중 1명뿐이었다. 그중 상위 1%가 전체 수당의 절반 이상을 가져갔고, 95만명은 연 50만원도 받지 못했다. 줄어든 시장보다 더 뚜렷해진 건 '쏠림'이었다. 3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2024년 말 기준 등록된 121개 다단계판매업체 가운데 2024년에 영업실적이 있고, 2025년 4월 말 기준 정상 영업 중인 105개사를 대상으로 주요 정보를 공개했다. 이들 업체에 중복 포함 기준으로 등록된 판매원 수는 총 687만명으로, 전년(720만명)보다 4.6% 감소했다. 하지만 실제로 후원수당을 한 차례 이상 지급받은 판매원은 115만여 명(16.7%)에 불과했다. 2024년 다단계판매시장 총 매출액은 4조5373억원으로, 전년(4조9606억원) 대비 8.5% 감소했다. 후원수당 총액도 1조5099억원으로 8.8% 줄었다. 등록된 판매업체 수는 105개로 전년보다 7개 감소했다. 전체 시장 매출액의 약 78%는 한국암웨이㈜, 애터미㈜ 등 상위 10개사가 차지했다. 이들 10개사의 등록 판매원 수는 약 522만명으로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 중 상위 1%에 해당하는 약 1만1000명은 1인당 연평균 7,016만 원, 월 기준으로는 약 580만 원의 수당을 받았다. 그보다 아래인 상위 1% 초과 6% 구간(약 5만7000명)은 연평균 721만 원, 상위 6% 초과 30%(약 27만8000명)은 연간 80만원 수준이었다. 반면, 하위 70%(약 81만명)의 1인당 연간 평균 수당은 8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전체 수당 수령자 중 82%에 해당하는 약 95만명은 연 50만원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 3000만 원 이상의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은 9105명(0.8%), 연 1억원 이상 수령자는 1736명(0.15%)이었다. 상위 10개사만 놓고 보면, 이들 기업이 지급한 후원수당 총액은 1조1870억원으로, 시장 전체 후원수당의 78.6%에 달했다. 판매 품목은 건강식품 중심의 구조가 유지됐다. 상위 10개사의 주요 품목을 분석한 결과, 건강식품이 전체 품목의 80%를 차지했고, 이는 전체 매출의 23.3%에 해당했다. 화장품(3.6%), 생활용품(2.2%)이 그 뒤를 이었다. 105개 다단계판매업체 중 102개사는 직접판매공제조합 또는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에 가입되어 있으며, 나머지 3개사는 은행과 채무지급보증계약을 체결해 소비자피해보상보험을 갖춘 상태다. 공정위는 “소비자는 거래 전 해당 업체가 등록업체인지, 소비자피해보상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과도한 후원수당 수령을 기대한 무리한 소비행위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또한 불법 미등록업체(피라미드 판매)에 대해서는 관계기관과 협조해 지속적인 점검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공정위가 같은 날 공개한 2025년 2분기(4월~6월)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현황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등록된 다단계판매업체 수는 총 117개로 집계됐다. 해당 분기 중 신규 등록한 업체는 △㈜엘바이오랩스(서울), △㈜유넥사코리아(부산), △㈜클로버유(경기) 등 3곳이며, 모두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과 공제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기간 폐업한 업체는 △㈜휴먼네이처코리아(서울), △㈜에이피(서울), △㈜파나티스(경남), △에이스제이엠㈜(부산) 등 4곳이다. 공정위는 “상호나 사업장 주소가 잦은 변경이 있는 업체는 거래 시 환불 지연 등 피해 가능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소비자피해보상보험이 해지된 업체는 정상 영업이 불가능하므로, 거래 전에 반드시 이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풀꽃 시인’의 공간, 새롭게 피어나다…나태주 풀꽃문학관 신관 개관

공주=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공주시는 29일 '나태주 풀꽃문학관' 신관 준공 및 개관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번 신축은 일제강점기 일본식 가옥을 활용하던 기존 문학관의 공간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추진됐으며, 총 78억 원이 투입됐다. 개관식에는 최원철 공주시장을 비롯해 나태주 시인, 한국문인협회 회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경과보고, 기념사 및 축사, 전시 관람 등의 순서로 행사가 진행됐다. 나태주 풀꽃문학관은 1910년대 지어진 일본식 건물을 활용해 2014년 10월 문을 열었다. 이후 10년 넘게 나 시인의 창작 활동과 문학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공주시를 문학 도시로 알리는 데 기여해왔다. 그러나 구조적 문제로 냉·난방에 취약하고 공간이 협소해 확장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시는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중심시가지형) 공모를 통해 확보한 예산을 포함해 신관 건립을 추진해왔으며, 지난 6월 공사를 마치고 이날 문을 열었다. 신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연면적 950㎡에 이르며, 기획·상설전시실, 풀꽃라운지, 주민공동공간, 휴게실, 수장고 등을 갖췄다. 체험형 전시와 지역 예술인 협업 프로젝트도 기획되고 있다. 기존 건물은 '시인의 집'으로 명명해 재정비 중이며, 문학인과 시민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창작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방될 예정이다. 문학관에는 나 시인의 시 작품뿐 아니라 그가 수집한 그림과 도자기 등 예술품도 함께 전시된다. 운영 측은 '시인의 날', '나만의 시 써보기', 'AI 시인과의 대화' 등 참여형 프로그램도 마련해 시민과 방문객에게 문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문학관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월요일과 설날·추석 당일은 휴관한다. 최원철 시장은 “문학관 신축을 계기로 공립문학관 등록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겠다"며 “새로운 공간이 시인의 문학적 가치를 조명하고, 문학을 사랑하는 이들의 거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나태주 시인은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해 (재)공주시한마음장학회에 장학금 1천만 원을 기탁했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세종 자율주행 셔틀, 주거지까지 간다…정부청사 노선 시범운행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세종시가 오는 30일부터 종촌동 주거단지와 정부세종청사를 잇는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시범 운행한다. 평일 오후와 퇴근 시간대에 시민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운행시간과 노선을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새롭게 운영되는 셔틀은 어진중학교를 출발해 종촌동 종합복지센터, 어진동 대형마트, 정부청사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간 등 총 9개 정류장을 순환한다. 하루 11차례, 약 4.9km 구간을 달린다. 운행은 평일 오후 12시 50분부터 저녁 8시까지이며, 매월 첫째 주 금요일은 운휴일이다. 기존에 청사 주변만을 낮 시간에 운행하던 셔틀보다 접근성과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다. 시는 시민들의 이동 데이터를 분석해 BRT와 주거지를 연결하는 이 노선을 설계했다. 올해 초 국토교통부의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에 선정돼 국비 1억5000만원을 확보했고, 당초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12월 말까지 운영된다. 시범운행 기간에는 요금을 받지 않으며, 일반 버스처럼 정류장에서 기다리면 탑승할 수 있다. 별도 앱 호출 없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정류장에는 자율주행 셔틀 전용 안내판이 설치돼 있으며, QR코드를 통해 차량 위치와 도착 예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입석은 허용되지 않으며, 차량은 좌석 12석으로만 운영된다. 탑승 전 잔여 좌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세종시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을 시민 생활 속으로 확대하고, 교통 사각지대 해소와 스마트 교통환경 조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윤정 미래산업과장은 “세종시는 다른 지자체들이 자율주행 기술을 배우러 올 만큼 앞서가고 있다"며 “시민과 방문객 모두가 스마트 미래도시를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줄어든 내국인·늘어난 외국인’…2024년 인구 5181만 명 기록

통계청이 29일 2024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우리나라 총인구가 5,180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같은 시점보다 3만1000명(0.1%) 증가한 수치다. 내국인은 4,976만3000명(전체의 96.1%)으로 전년보다 7만7000명 줄었지만, 외국인 인구는 204만3000명(3.9%)으로 10만8000명(5.6%) 증가해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어섰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3,626만3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70.0%를 차지했다. 반면 고령층(65세 이상)은 1,012만2000명(19.5%)으로 처음으로 1만명을 넘었고, 유소년 인구(0~14세)는 542만1000명(10.5%)으로 19만9000명(-3.5%) 감소했다. 인구 고령화의 속도도 빨라져, 노령화지수는 186.7을 기록해 전년보다 15.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4세 이하 유소년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가 약 187명이라는 의미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인구는 2,630만8000명(50.8%)으로 전년 대비 0.3% 증가하며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겼다. 경기·인천·세종·충북·충남·전남 등 6개 시도에서 인구가 증가한 반면, 서울·부산·광주를 포함한 11개 시도는 줄었다. 시군구 기준으로는 전체 229곳 중 87곳에서 인구가 늘고, 142곳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가구 수는 2,299만7000가구로 전년보다 26만9000가구(1.2%) 증가했다. 이 중 일반가구는 2,229만4000가구로 전체의 96.9%, 외국인 및 집단가구는 70만3000가구(3.1%)였다. 특히 1인 가구는 804만5000가구(36.1%)로 1년 새 21만6000가구(2.8%) 늘었고, 평균 가구원 수는 2.19명으로 0.03명 감소했다. 고령자만 구성된 가구는 400만7000가구(전년 대비 7.0% 증가), 그 중에서도 고령자 1인 가구는 228만7천 가구로 전체의 10.3에 이르렀다. 주택 현황을 보면, 전체 주택 수는 1,987만3000호로 1년 전보다 32만6000호(1.7%)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297만4000호(65.3%)로 가장 많았으며, 단독주택은 384만1000호(19.3%)로 2만 호(0.5%) 감소했다. 노후주택 비율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준공 후 30년이 넘은 주택은 557만4000호(28.0%), 20년 이상 된 주택은 1,090만8000호(54.9%)에 달했다. 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의 57.9%, 아파트의 19.4%가 30년 이상 노후주택에 해당했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42.8%로 노후주택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세종이 7.5%로 가장 낮았다. 한 채당 평균 거주 인원은 2.6명으로 5년 전보다 0.3명 감소했으며, 빈집(미거주 주택)은 159만9000호(8.0%)로 전년 대비 6만4000호(4.2%) 증가했다. 지하·반지하·옥탑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도 집계됐다. 반지하 주택은 26만1천 호(1.3%), 옥탑은 3만4천 호(0.2%)였으며, 각각 39만8천 가구와 3만6천 가구가 거주 중이었다. 해당 거주 형태는 9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외국인 분포를 보면, 수도권 거주 외국인은 117만6000명(57.6%)이었다. 국적별로는 중국계 한국인(53만8000명), 베트남(28만5000명), 중국(22만3000명) 순이었다. 외국인의 중위연령은 36.3세, 증가 폭이 컸던 국가는 베트남(+3만8000명), 미얀마(+1만2000명), 네팔(+1만명) 등으로 나타났다. 18세 이상 내국인 가운데 미혼 비율은 29.6%(1,273만6000명)였고, 유배우는 56.4%(2,430만8000명), 이혼·사별은 14.0%(602만2000명)였다. 남성의 미혼율은 34.3%, 여성은 25.0%로 성별 간 차이는 9.3%포인트로 확인됐다. 등록 장애인은 260만7000명(내국인의 5.2%), 이들이 포함된 일반가구는 228만7000가구로 전체 일반가구의 10.3%에 해당했다. 이 중 장애인 1인 가구는 58만5000가구였다. 다문화가구는 43만9000가구(전년 대비 5.7% 증가)였으며, 이 중 31.1%는 경기, 17.8%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었다. 유형별로는 귀화자가구가 42.6%, 결혼이민자가구는 35.2%를 차지했다. 이번 인구주택총조사는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주민등록부·외국인등록부·건축물대장·학적부 등 12개 기관과 약 400개 대학의 26종 행정자료를 연계·보완해 인구, 가구, 주택에 관한 기초통계를 집계한 결과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행정수도 완성, 예산 없인 멈춘다”…세종시, 기재부에 전략사업 패키지 제안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한글문화에서 지하차도까지, 세종시가 내년 국비 확보를 위한 전략적 패키지에 돌입했다. 이승원 경제부시장은 28일 기획재정부 예산 실무진과 만나 핵심 인프라 사업을 일괄 제안하며, '행정수도 실질 완성'을 위한 예산 지원을 촉구했다. 세종시가 내세운 첫 번째 전략 사업은 '국립한글문화단지' 조성이다. 현재 한글 관련 교육·전시·체험 기능은 △전시·유물 중심의 국립한글박물관(서울 용산) △문화공연 기능의 세종문화회관(광화문) △지역 체험형 한글박물관(용인) △해외 한국어 교육 기관인 세종학당 등으로 전국과 해외에 흩어져 있다. 이에 세종시는 이러한 기능을 집약하고, 한글과 한류 콘텐츠를 융합한 복합형 문화 거점을 국가 차원에서 조성해 '한글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을 구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승원 경제부시장은 “K-팝, K-드라마, 한국어 학습 수요가 세계적으로 폭발하고 있지만, 문화·교육·체험 기능이 흩어져 있어 전략적 대응이 어렵다"며 “한글과 한류를 결합한 세계화 플랫폼을 세종에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제안은 국지도 96호선의 단절 구간을 연결하는 제천 횡단 지하차도 건설이다. 이 구간은 제천~금강 합류지점 사이에 단절돼 시민 불편이 상시화된 곳이다. 세종시는 이를 단순한 교통 문제가 아닌 국정 운영 기반 시설로 바라보고 있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이 본격 운영되면 교통량이 폭증할 것이 예상되며, 해당 구간은 관내 주요 간선망 역할을 하게 된다. 시는 이 사업의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를 우선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 '행정'과 '국정'만 강조할 경우 시민 생활기반이 소외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세종시는 정주 기반 인프라도 전략사업 목록에 포함시켰다. 대표적인 과제가 △세종지방법원·검찰청 신설과 △운전면허시험장 조성이다. 현재 세종시민은 대전까지 이동해 면허시험을 치러야 하며, 법적 분쟁도 관할권 문제로 불편이 크다. 세종시는 “행정수도로서 정당성과 기능을 갖추려면 사법·행정 인프라 확충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와 함께 폐기물 처리와 에너지 재활용을 아우르는 친환경종합타운 조성도 함께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이번 예산 건의는 9월 정부안 편성 전 막판 협의 성격을 갖는다. 이승원 경제부시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유병서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박준호 사회예산심의관과 면담을 갖고 각 사업의 정책적 타당성과 예산 규모, 추진 시급성을 집중 설득했다. 하지만 관건은 예산 반영이다. 정치권의 지원 여부, 각 부처와의 협의 강도, 기재부 내부 우선순위 배분 논리 등이 실제 반영 여부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이승원 경제부시장은 남은 기간 기재부와 관계 부처를 상대로 실질 반영을 위한 협의를 지속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김은지 기자 elegance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