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김대종 경영학부 교수가 지난 7일 하이얏트호텔에서 한국인사관리협회 회원들에게 '2025년 경제大전망' 주제로 특강을 했다고 13일 밝혔다. 김대종 교수는 “2025년 환율은 최고 1600원을 넘을 수 있다. 환율은 1970년 200원에서 2025년 1480원까지 82% 확률로 상승했다. 매년 환율은 상승할 것이며 국제무역에서 달러비중은 70%로 확대된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외환보유고 9300억달러 비축, 한미·한일 통화 스와프를 맺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24년 12월 한국 외환보유고 4157억달러는 GDP 대비 23%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25년 한미 통화 스와프와 한일 통화 스와프가 없으며 외환보유고 중 현금은 4.6%로 당장 동원할 현금이 없다. 한국은 무역의존도 75%인 세계 2위로 국제금융위기에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환율상승은 1997년 국가부도 악몽을 다시 떠 올린다. 아르헨티나는 12번째 외환위기를 겪고 있으며 2025년 20개 나라가 IMF 구제금융을 받고 있다. 국제금융위기는 언제나 반복된다. 글로벌 시가총액 비중은 미국이 60%, 한국이 1.5%다. 미국 시가총액 1등 투자가 대안이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월 20일 취임한다. 한국 생존전략은 미국 중심 무역전환, 인공지능 도입, 구독경제와 온라인쇼핑, 그리고 모바일 전략"이라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의 가장 큰 이유는 미국 중산층 붕괴와 경제문제다. 그의 핵심정책은 미국 우선주의"라며 “한국은 중국산 부품을 줄이고 미국 수준으로 법인세를 낮추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자국 우선주의와 패권주의로 나갈 때 한국은 오히려 무역을 확대하고 교역을 다원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첫째, 한국은 법인세 26%를 세계 평균인 21%로 낮추고 친기업 정책을 펼쳐야 한다. 20일 트럼프 취임으로 한국 수출은 15% 급감한다. 한국 자동차, 배터리, 석유화학, 반도체가 어렵다. 법인세는 미국과 OECD가 21%, 싱가포르 17%, 아일랜드 12%다. 2024년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액보다 유출액이 2배 많다. 한국 기업이 미국과 베트남 등으로 공장을 옮기면서 대학생 청년취업률은 45%에 머물고 있다. 둘째, 국회는 4차 산업혁명 규제를 완화하고 혁신해야 한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가장 놀라는 것은 우버 금지다. 우버만 허용돼도 수백만 개 일자리가 생긴다. 셋째, 트럼프 정부와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트럼프는 탑다운 방식이며 사적관계를 중시한다. 트럼프 취임 후 한국 조선업과 방위산업은 기회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올해 6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식되면 해외건설업이 크게 성장한다. 심상운 한국인사관리협회 대표는 “김대종 교수의 특강으 매우 유익했다. 트럼프 취임으로 한국경제가 어렵지만 위기에 잘 대응하겠다. 구독경제와 4차 산업혁명을 적극 활용해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철훈 기자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