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재생에너지 1~2년만에 늘리려면 결국, 민간보다는 공공](http://www.ekn.kr/mnt/thum/202509/news-a.v1.20250915.a3c428beba6140558e03055a40862a27_T1.png)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방법은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라며 “1∼2년이면 되는 태양광과 풍력을 대대적으로 건설해야 한다"고 밝혔다. 발언의 타당성 논란과는 별개로, 재생에너지를 빠르게 늘리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재생에너지 전력가격을 무제한으로 풀겠다고 말한 건 아니다. 결국, 재생에너지 전력가격을 억제하면서도, 단기간에 확대하려면 공공 위주로 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공 주도로 재생에너지를 늘리려는 징조는 곳곳에서 나타난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이후 한국전력 산하 발전공기업의 통폐합과 재생에너지 전담 기구 신설이 검토될 전망이다. 전담 기구가 입지 개발·계통 확보·인허가 단축·주민 수용성 제고를 전담하고, 통합된 발전공기업이 설비를 빠르게 설치하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올해 풍력 고정가격계약에서는 공공 해상풍력 4건(총 0.7GW)이 모두 낙찰됐다. 반면 민간 해상풍력은 전부 탈락했다. 태양광 고정가격계약은 모집물량 1GW 중 4.6%만 낙찰되며 대부분 미달했다. 이 공백은 공공이 메울 가능성이 크다.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재생에너지 전력가격을 예상보다 높게 책정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 정부의 재생에너지 민간사업자에 대한 시각은 여전히 엄격하게 비칠 수 있다. 환경부는 환경규제 못지않게 기획재정부 눈치를 보며 물가 안정에도 신경을 써 왔다. 세간의 인식과 달리 기후위기 대응만을 앞세우지는 않는다. 체감상 산업통상자원부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일 정도다. 예를 들어 환경부는 전기차 보조금을 지난 2021년 700만원에서 올해 300만원까지 줄여왔다. 공공 전기차 충전요금은 민간 사업자들이 수익성 악화를 항변해도 동결 기조를 유지 중이다. 물 요금은 투자보수비용도 못 건지는 수준인데 9년째 동결이다. 생활폐기물 처리는 소각장이 더 엄격한 환경 규제를 받음에도, 처리비용이 저렴한 시멘트 소성로 의존을 염두하고 있다. 이런 흐름을 감안하면, 환경부가 재생에너지를 맡더라도 산업통상자원부와 비교해 민간사업자에게 높은 전력가격을 제공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전력가격 억제 기조를 유지한 채로 재생에너지를 늘리려면, 사업성에 덜 민감한 공공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에너지 안보를 위해 국산 설비를 더 써야 한다는 명분, 지역균형 발전 차원에서 수익을 지역주민에게 공유하는 '햇빛·바람 연금' 구상까지 고려하면, 말을 잘 안 듣는 민간보다 공공이 더 맞는 그릇일 수 있다. 다만, 공공 역할 확대는 공기업 비대화와 한전·발전공기업의 재무 부담 심화라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민간사업자는 선택의 기로에 설 것이다. 공공과 비슷한 조건에서 수익구조를 재설계하든지, 정부에 시장 논리 존중과 민간 참여 위축 완화를 요구하든지로 말이다. 이원희 기자 wonhee4544@ekn.kr
![[이슈&인사이트] 위기 속 드러난 비자 제도의 허점, 전화위복 삼아야](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40312.7d2f1a622c4f4773be91ae901b8be57a_T1.jpg)
![[EE칼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대한 우려](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50702.05b45b3b37754bef91670415ae38a4b8_T1.jpg)
![[데스크칼럼] 대통령의 선택적 실용주의](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50912.765bffdad903432599c24c06f9d4e412_T1.png)
![[EE칼럼] 이차전지 산업, 다시 일으켜야 한다](http://www.ekn.kr/mnt/thum/202509/news-a.v1.20240904.0066f456bc57489fb8c9d7d3379d316e_T1.jpg)
![[기자의 눈] 전세 옥죄기, 방향은 맞지만 보완해야](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50914.f9da3c7b21624774815a297e684f2364_T1.png)
![[기자의 눈] 대통령의 실용주의, ‘여의도 머슴’도 배워야](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50911.e82c482d6e3445b3aa54d47b129c9dfa_T1.jpeg)
![[신율의 정치 내시경] 협치의 착시와 리더십의 시험대: 이재명 정부 100일의 명암](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40313.1f247e053b244b5ea6520e18fff3921e_T1.jpg)
![[EE칼럼] 탄소세와 탄소 기본 소득](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40213.0699297389d4458a951394ef21f70f23_T1.jpg)
![[EE칼럼] 액화수소, 기체수소와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을까](http://www.ekn.kr/mnt/thum/202509/news-p.v1.20240321.6ca4afd8aac54bca9fc807e60a5d18b0_T1.jpg)
![[보험사 풍향계] 한화손해보험, 뉴년기 트렌드 리포트 2편 ‘건강리셋’ 공개 外](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9.6d6ff899ebb548faa7e1a48db33d8799_T1.jpg)
![[공시] KCC건설, 1440억 규모 성수동 복합시설 신축공사 계약 체결](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9.a76173d446ea422fb043fa6ab5c73ef9_T1.png)



![[2025국감] ‘10·15 대책’ 실효성·‘내로남불’ 부동산투자 공방](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9.d56533eec19f4e74a30835c0273ce1de_T1.jpg)
![[경주 APEC] 세계은행 사무총장 “AI, 개발도상국 일자리 창출 역량 충분”](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9.774aaa4b34f14affa2d8655ce8f88601_T1.jpg)



![[EE칼럼] 지속가능성의 시험대에 선 인류](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213.0699297389d4458a951394ef21f70f23_T1.jpg)
![[EE칼럼] 사이버 안보의 심각성, APEC에서 다뤄져야](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401.903d4dceea7f4101b87348a1dda435ac_T1.jpg)
![[김병헌의 체인지] 뜨거운 증시, 거품인가 회복인가](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625.3530431822ff48bda2856b497695650a_T1.jpg)
![[이슈&인사이트] 한국인의 캄보디아 국제범죄조직 가담은 새로운 국가 안보 위협](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325.ede85fe5012a473e85b00d975706e736_T1.jpg)
![[데스크 칼럼] 콜마 분쟁, 사회 이목도 생각할 때다](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6.6a37366727e44e8d8094384a61b786e1_T1.jpg)
![[기자의눈] ‘부동산 보유세’ 엇박자…지금이 골든타임](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9.024ceb98214f483faa7e2c05b4a20143_T1.jpg)